::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16 14:47
4학년1학기때 졸업전에 인문대 교양에서 a+한번 받아보고 싶어서 전공만큼 시간 할애한적이 있었는데 2문제에 앞뒤 꽉채워서 2장+@는 되더라구요
문제가 예상이 되서 인터넷이나 책으로 준비를 빡쎄게 할수있긴 했지만.. 그 전에는 교양시험인데 뭔할말이 저래많지? 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쓰기시작하니 내가 이것도 찾아봣고 저것도 찾아봣고 이것도 생각해봣고 저것도 고민해봣고 그래서 이런 고민도 해봣는데 그래서 이런게 답인것 같아요 잘했죠 교수님? 이제 학점주세요 처럼 술술 나오더라구요 그리고 개박살난 전공
21/03/16 15:15
모대학에 처음 문창과 개설되던 해에 입학했었는데 예대 소속이라고 등록금도 예대 등록금 받았던 거 생각나네요. 어디서 뻰찌 먹었는지 나중에 좀 돌려주더군요.
21/03/16 15:41
이게 대학마다 기준이 다를거에요. 문창과를 인문대에 넣는데도 있고, 예술대에 넣는데도 있고요. 솔직히 등록금 기준이면 예대보다는 인문대가 맞긴 한데...
21/03/16 14:48
법학 교양수업 들었는데 논술형 답안지 작성시 법학과 고학년 기준 가이드라인 잡아주고 이렇게 안쓰면 점수 없다고 이야기 하는거보고 혀를 내둘렀던 기억이 납니다
21/03/16 14:50
주제에 관한 목차를 머리속에 띄우고 달달외운 서본결쓰고나면 2장정돈 쉽죠. 그렇게 졸업한 인문대생은 공대생이 그렇게 부러워지죠 크크크..
21/03/16 14:54
학부 교양 수업 때 교수님 께서 하신 말,
- 공대생들, 답안 쓸 때 완전한 문장으로 써요. 목차 쓰듯이 점찍고 단어 몇 개 쓰고, 점 찍고 단어 몇 개 쓰고 하지마세요. - 인문대생들, 모르면 쓰지마세요.
21/03/16 15:01
그런데 자연대쪽 교양 수업 조교를 해 보니까,
과제 답안을 한 페이지를 적었는데 다 읽어보니까 정답과는 진짜 하나도 관계없을 때 좀 화(?)가 나긴 하더라고요 크크크크
21/03/16 14:58
시험 문제야 최대 2장 정도만을 써내야 한다면 레포트, 서평은 기본이 3장이고 매 주 내야 했던 간단한 보고서나 느낀 점을 제출하는 과제는 A4 1장을 제출하는 것이 제가 다니고 있는 인문대생의 일생입니다. 차라리 시험은 나오는 주제가 한정되어 있으니 그 내용의 핵심적인 내용만 외워서 시험 문제 때 자신의 문장과 레퍼런스를 끼얹으면 되는거라... 차라리 더 길게 쓰고 자료를 찾아야 되는 레포트가 항상 매 학기 때 고역인 것 같네요.
21/03/16 15:22
공대생도 시험 없는 과목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제출할 때는 수십장이 기본이죠. 설계 과목 조장이어서 200장 분량으로 파이널 써서 냈더니 교수가 감탄하며 A+ 주더라는..
시험도 풀이 과정이 길다 보니 4장짜리 답안지 두 세트 가져가서 꽉 채우는 학우 많았습니다.
21/03/16 15:25
공대생으로써 글 쓸 때 길게 쓰던 인문대생이 그렇게 대단해보일 수 없더라구요.
저는 반페이지에 허덕일 때 한장 더 주세요 시전하시는 분들.. 지금은 수많은 사업계획서로 단련되서 그 때의 저보다는 2배쯤 잘 쓸것 같긴합니다.
21/03/16 16:05
전 우주의 이해였나 교양 수업 한학기 내내 폭풍 강의하시고 기말고사 딱 한번 시험쳤는데 문제가 “황금비는 왜 이상적인 비인가?” 라고 물어봐서 벙 쪘던 기억이...
그때 아무말 대잔치로 2장 쓴게 레전드...
21/03/16 16:31
인문쪽 교양들은게 경영이랑 법학에 하나씩 들아봤는데
강의 첫시간에 교수님이 자연대, 농대, 공대 같은 이과쪽 친구들은 시험칠때 약간 어드밴티지 준다고 해서 좋았어요. 반대로 이쪽 전공인데 이거 들으러 온 사람들은 철저하게 채잠한다고 하더군요.
21/03/16 16:43
자연대, 공대쪽은 교양과목 개설 수 자체가 적을겁니다. 학교마다 다르긴 하겠지만요. 하여튼 그래서 이과쪽 사람들이 듣고 점수 따라고 그런 식으로 채점할거에요.
21/03/16 16:44
사회과학 수업이었는데, 교수님의 평가 기준이 질보단 양... 이었음이 선배들을 통해 암암리에 전해 내려오다보니 시험시간 내내 다들 죽도록 많이 쓰다 나온 기억이 나네요. 해당 시험의 별명이 천하제일필기대회 였으니 말 다했죠.
21/03/16 18:01
(수정됨) 첫 직장 팀장님 말씀
보고서 A4 한 장 넘게 써서 가져오면 찢어버릴거다^^ 강력한 츤이셨지만 또 데레데레하셔서 크크 퇴사한 지금도 팀장님 생신 때 되면 제철과일 한박스씩 보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