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23 19:26
게임산업계가 뜨기위해서는 한번은 줘패야한다고봅니다.
개인적으로 기업규제 빡세게하는거 좋게보는 정치성향은 아닌데 이번건은 확실하게 법제로 줘패야 잠재력이 생긴다고 봐요
21/02/23 19:26
저들 마인드는 와레즈 넘치던 시절의 그때에 머무른것 같습니다. 그때 심어진 이용층에 대한 불신이 지금까지 이어진거면 저건 증오라고 봐도 될 정도 같아요.
21/02/23 19:38
(수정됨) 네. 그런 식으로 페이투윈을 옹호한 결과가 지금의 게임시장입니다. 여기선 그래도 되니까요.
컴플리트 가챠만 해도 게이머들이 이거에 대해 문제를 먼저 제기했어야죠. 그동안 사주던건 누굽니까? 이런 가챠가 있으면 단체로 이의를 제기하고 행동할 생각 없이 샀기 때문에 다른 게임사들이 다 도입한건데요.
21/02/23 19:41
죄송한데 범죄자가 잘못한거지 피해자는 잘못이 없다는 의미가 전혀 전달이 안되어서 제가 좀 혼란이 오네요.
스스로를 옹호한 범죄자가 잘못한거 맞죠? 강간당한 피해자는 잘못 없고 반성할 거 없는거 맞죠? 게이머들이 피해자인데 반성할 필요 없는거 맞죠?
21/02/23 19:44
아뇨. 피해자가 아니라 공범이죠. 게임사들이 그렇게 변화하게 만든.
댓글 단 분과 달리 전 게이머가 돈을 주고 산건 강간이 아니라 합의하에 관계를 한거랑 똑같다고 보거든요. 본인이 좋다고 관계를 갖고 나서 나중에 뒷맛이 쓰다고 화를 내는지 모르겠다고요.
21/02/23 19:44
뭐 페이투윈이 현재까진 압도적으로 게임시장지분율 1위를 차지하고있긴하니까요.
초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언젠간 규제해야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때는 허용해야죠
21/02/23 19:45
답변을 하실거면 수정말고 새로 달아주세요.....저런식으로 수정하시는 거는 저랑 커뮤니케이션 목적이 아니라 글 읽는 다른사람에게 자기는 그럴듯한 말 하고있었지만 제가 헛소리 한걸로 만드는 꼴인데요.
21/02/23 19:57
게임은 마약이 아닐지 몰라도 랜덤박스는 엄연히 도박이나 마약에 준하게 인간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물건입니다
그리고 인류 역사 이래로 마약이나 도박과 같은 초 자극을 주는 상품에 대해서 소비자의 자정은 불가능하며 애초에 기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증명되어 왔습니다 지금 이러한 흐름 자체가 오직 랜덤박스의 역사가 일천하기에 가능한 하나의 기적이라 생각합니다
21/02/23 19:29
근데 결제태도는 몰라도 게임에 돈 안쓰려해서 부분유료화 시대가 열린건 맞지 않나요? 패키지게임 시장이 국내에선 아예 크질 못한거같은데 국내게임뿐 아니라 외산도 국내에선 죽쒔기도하구요. 지금 콘솔쪽도 시장 커졌다커졌다 해도 게임백서 기준 5퍼센트내외던데
21/02/23 19:33
게이머들은 그걸 부정하는게 아닙니다
다만 자기들 확률조작질하는걸 저딴걸로 정당화하려는 맥락으로 발언하는게 역겹다는거죠 가챠자체가 나쁜게아니라 선넘은 가챠를 정당화하는게 역겹다고요, 그거아니어도 충분히 흑우흑우 거리면서 알아서들 돈꼴아박아주고있는데 저딴 말을 씨부리면 개빡치는거죠
21/02/23 20:01
거기까지는 별 말 없었고, 옹호하는 게이머도 많았습니다. 지금 말이 나온건 가챠죠.
지금 생각해보면 일단 가챠부터가 선 넘는 행동이었습니다.
21/02/23 19:32
발언에서 묻어나오는 태도는 둘째치고,
과도한 과금유도와 확률조작은 완전 다른차원 얘기 아닌가요? 저도 꼬접파인데도 확률공개는 전혀 다른얘긴데 왜이렇게 뻔뻔한지 좀 이해가 안감...
21/02/23 19:45
저는 이런기사들을 볼때마다 게임업계가 얼마나 후달리길래 이정도 수준의 규제에도 발작 버튼이 세게 눌리나 궁금합니다.
이번에 나온 법안은 가챠를 아예 금지하는것 아니고 천장을 무조건 만들어야 하는 강경한 수준의 법안도 아니거든요. 요지는 최소한의 정보는 제공해야한다인데 이렇게까지 반발할거리인가싶습니다.
21/02/23 19:32
어차피 해외에 먹히는 한국 게임 몇 없지 않나요? 리니지 이런 건 진짜 한국에서나 돈 벌어 먹으니까 아무 부담 없이 쥐어 팰 수 있겠네요.
21/02/23 20:03
이것도 저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가챠없을 때에는 블레이드 앤 소울이라던가 검은 사막이라던가, 뭔가 게임 시장이 나아진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요새는 심지어 신작도 안나오고 옛날 게임에 확률형 아이템만 늘어나고 있어요. 게임 시장이 확연하게 퇴보하고 있습니다.
21/02/23 19:34
그럼 무과금 유저들이 유료 아이템 구매하게 유인을 제공해야지 확률 공개 우회하는 꼼수 써서 변동 확률 만들어 과금 유저들 등쳐먹는 게 해법입니까?
21/02/23 19:37
공짜로 게임을 즐기려는 유저가 마음에 안 들면 돈 받고 팔라고... 지들이 공짜로 게임을 할 선택지를 만들어 놓고서 뭔 소리를 하는 거야...
저는 이 문제에 관해 다른 사람의 행동에 왈가왈부할 생각은 없고, 그저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꼬접을 실천해 왔습니다. 마음에 안 들면 내가 떠나는 게 가장 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언제라도 훌쩍 떠날 수 있는 패키지 게임을 더 선호하고요.
21/02/23 19:47
그래서 k-game 관심도 안주고 킹왕짱 갓겜 '랑그릿사 모바일' 하고 있읍니다...
1년 넘게 하고 있지만 과금 조금만 하면서도 정말 만족하면서 즐기고 있습니다. 저런 쓰레기 게임들 하지 마시고 갓겜 랑그릿사 하세요!
21/02/23 20:05
잠깐만..... 게임을 공짜로 즐기려는 유저가 많아져는 그래도 인정한다고 치자.. 그게 잘못이냐면 물론 아니지만 그래도 그렇다고 할 수는 있네
뭐? [유저들의 결제 태도가 좋지 않고]? 이건 진짜 개돼지네... 이야 이건 진짜 혼모노네... [유저들의 결제 태도가 좋지 않고] 우와...
21/02/23 20:06
아편도 등장하고 몇십년간은 제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국 사회에 주는 해악이 과도하여 현대에 와서는 금지되었습니다 랜덤박스도 최소 1세기 이내에 유사한 결말을 맞지 않을까 합니다 비디오게임은 담배처럼 살아남겠지만, 랜덤박스는 그렇게 살아남기에는 그 근간부터가 슬롯머신과 다를 바 없는 물건이므로
21/02/23 20:40
"캡콤은 엔터테인먼트 문화의 창조자로서, 복권에 당첨될 때의 스릴보다는 게임 플레이 자체가 주는 오락적 가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확률형 아이템을 두고 게임의 본질적인 재미 타령할때부터 알아봤습니다. 재미를 어떻게 만들것인가에 대한 고찰의 수준이 옆나라와 차원이 다르게 저질이라는걸
21/02/23 20:42
애플이 as 개떡같이 해도, 말같잖은 이유로 구성품 하나씩 빼도 사주는 사람들 많으니까 그래도 되는 것처럼 그냥 저사람들도 그래도 되니까 그래왔던거죠.
결제태도가 안좋은건지, 유저들이 결제할 마음이 들 정도 퀄리티가 되는 게임을 못 내놓은건지부터 일단 이야기를 좀 해봐야 할 것 같은데요. 그지같이 만들어도 사주는 사람들 있으면 발전할 이유가 없습니다.
21/02/23 21:30
마약류나 총기류 등과 같이 사회적 패악과 폐해의 극심함이 매우 두드러지거나 차별화되어 근본적으로 유통과 사용을 금할 정도의 경우가 아닌 이상 필수재나 생필품처럼 삶을 영위하는 데 매우 핵심적이라 판단된다든지 부동산처럼 매우 특수한 성격을 띠는 재화 정도의 제한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건 온전히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옳고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통상적으로 재화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적정 선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선악의 관점이 적용될 수도 없는 것이죠. 그런데 선을 넘었다는 말이 자꾸 언급되며 이를 근거로 규제를 논하는 게 일반적이니 개인적으로는 참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현 상황을 앞서 언급한 통상적이지 않은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고도 생각하지 않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