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2/21 23:38:18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2.78 MB), Download : 51
File #2 2.jpg (2.81 MB), Download : 33
출처 더쿠
Subject [기타] 블루라이트에 대한 안과 의사의 의견.jpg (수정됨)






분명히 자기 전에 침대에서 핸드폰 볼 때 블루라이트 필터 켰을 때가 더 눈이 덜 아프던데 이것도 플라시보 효과인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미운
21/02/21 23:40
수정 아이콘
블루라이트 필터 키면 밝기도 조금 내려가는데... 그 영향 아닌가 싶습니다.
블루라이트 필터보단 적정 밝기 조절이 더 유의미해보입니다.
VictoryFood
21/02/21 23:43
수정 아이콘
똑같이 가장 어두운 밝기로 하고 있어도 블루라이트 필터를 쓰면 더 어두워지는 거군요.
닉네임을바꾸다
21/02/22 00:08
수정 아이콘
뭐 파장 중 하나를 날려버리는데 안어두워지는게 이상하지 않을까요?
카미트리아
21/02/22 04:45
수정 아이콘
간단히 말하면 사람이 민감한 파장이 있고 둔감한 파장이 있는데
파랑색은 둔감한 파장입니다.

그래서 파란색을 줄이면 줄어드는 에너지 양에 비해서
밝기가 덜 어둡게 느낍니다
21/02/21 23:41
수정 아이콘
뭐 블루라이트보단 전 모니터 색온도를 낮추는게 더 좋더라구영
유머게시판
21/02/21 23:44
수정 아이콘
3파장 중첩 상태에서의 밝기조절과
단일파장 차단은 다른거라서요
눈에 들어오는 광량과 파장량 조절의 차이라서
필터링했을때 더 편안하게 느껴지긴 합니다.
유머게시판
21/02/21 23:45
수정 아이콘
어떤 밝기로 설정해놔도 흰색을 보는거랑 누우런색을 보는건 다른거니까요 흐흐
코우사카 호노카
21/02/21 23:44
수정 아이콘
색감이 너무 구려져서 모니터 자체 기능 있는데 켜본적이 없네요
제 눈 망가지는것보다 의학이 더 빨리 발전하리라 믿고 그냥..
부질없는닉네임
21/02/21 23:50
수정 아이콘
제가 라섹수술을 그래서 받았습니다. 부작용 생길 떄 정도면 인공각막,안구 개발될 거라 믿고...크크
사실 비슷한 이유로 담배 별 걱정 없이 피시는 분도 있더군요
아이고배야
21/02/21 23:46
수정 아이콘
리헨즈한테 보여줘야..
티모대위
21/02/21 23:48
수정 아이콘
저는 블루라이트 차단안경을 쓰는데, 이게 청색광이 유해해서라고 믿어서 그런게 아니라
청색광이 차단되어도 눈이 금방 총천연색으로 적응을 하는데 광량이 조금은 줄어들더라고요. 그니까 물체 식별에 아무 불편 없이 공짜로 눈부심을 줄일수 있다고 해야 하나..
어차피 값싸고 가벼운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들 많이 나와있어서. 잘 사서 쓰고 있습니다.
21/02/21 23:50
수정 아이콘
파란 하늘 > 소위 말하는 블루라이트... 인간이 극못 못할 것 이였다면 인간은 멸절 되었거나 지하인 혹은 지금과는 다른 형태로 진화 했겠죠.
김성수
21/02/21 23:51
수정 아이콘
https://www.aao.org/eye-health/news/smartphone-blue-light-is-not-blinding-you
실명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해당 글을 읽은 적이 있긴한데 활동일주기를 방해한다는 말은 있더라고요. 자세히는 안 읽어봐서 진짜 그러한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SkyClouD
21/02/21 23:57
수정 아이콘
전에도 이야기 했지만 청색광의 유해성은 저런 의미에서가 아니라 인간 활동주기의 변동과 눈의 피로 가중에 있습니다.
예전 사람들은 반사광을 봤지 발원광 자체를 바라보지 않았기 때문에 유의미한 광량으로 비교가 안됩니다.
블루라이트 필터 쓰시는게 눈이 덜아픈게 당연하고, 눈이 건조할 때 센 빛을 보면 눈이 피곤한것도 당연합니다.

블루라이트 차단에 대해서 너무 많은걸 기대하지 마시고, 그냥 쓰면 덜 피곤하다. 정도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모든 블루라이트의 유해성 관련 논문에서도 안구 피로와 수면장애 유발은 이미 검증되어 있으니 야간에는 디지털 기기를 되도록 바라보지 마세요.
(누워서 휴대폰을 보신다면 꼭 블루라이트 필터나 리더모드를 켜주시는게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죠르디
21/02/21 23:58
수정 아이콘
결국은 렌즈에서 옵션이라고 봐야지요.
과거보단 기술이 발달해서 아베수가 떨어져서 상이 흐려지는건 줄어들어서 좋긴합니다
스칼렛
21/02/22 00:00
수정 아이콘
안과적으로는 모르겠는데 일주기리듬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건 근거가 꽤 쌓여 있습니다. 잘 자려면 밤에는 청색광을 멀리하시는게 좋아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1/02/22 00:07
수정 아이콘
애초에 청색광이 색온도가 높고 관련 연구결과도 계속 진행중인데 저렇게 딱 잘라서 말하는 자신감이 대단하네요
Sensatez
21/02/22 00:21
수정 아이콘
댓글들 보는데 대체 뭐가 맞다는 건지 혼란스럽네요. 영상 속 저 분도 엄연히 안과의사신데.
이민들레
21/02/22 00:28
수정 아이콘
저의 이해력으로는 문제는 청색광이 아니고 빛의 세기와 빛온도다.. 청색광이 세서 눈에 안좋은게 당연... 하지만 청색광말고 다른 빛들 중에서 색온도가 더 높으면 더 구리다.. 청색광이 되인은 아니다..정도..
이선화
21/02/22 00:25
수정 아이콘
이건 좀 딴얘긴데 폰 캡쳐 스샷 올릴때 제발 블루라이트 필터는 끄고 스샷찍었으면 좋겠어요.. 그 누런 오줌색 스크린샷...
아케이드
21/02/22 00:31
수정 아이콘
블루라이트 장시간 노출이 당뇨, 비만, 불면증을 유발한다는 하버드 의대 논문도 있는 듯 하네요 (2020년 7월 논문)
별 해악이 없다고 잘라 말하는 건 조심해야 할것 같은데, 왜 저렇게 단언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https://www.health.harvard.edu/staying-healthy/blue-light-has-a-dark-side
설사왕
21/02/22 00:40
수정 아이콘
흠. 블루 계열이 아무래도 단파장 계열(자외선처럼)이다 보니 몸에 안 좋을 것이다라는 의견도 나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정도의 문제인데 우리가 보는 디스플레이 정도의 밝기라면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아무래도 장시간 시청을 하면 무리를 줄 가능성도 있어 보이네요.
BOHEMcigarNO.1
21/02/22 00:56
수정 아이콘
댓글을 보니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 때 블루라이트 필터를 끄고 핸드폰 빛을 보는게 효과가 있던게 맞는것 같네요
21/02/22 01:34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와이프가 아이들 블루라이트 안경 끼워줘야 하는거 아니냐고 하더군요. 어디서 들었나봐요...
근데 또 제가 이쪽에 지식이 좀 있어서..
블루라이트로 눈 안좋아질꺼면 태초에 빛보고 살았던 사람들 지금 다 맹인이라고 뻘소리 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런 유투브 좋아요. 또 아이들 눈보호 안경이라고 사기 제품들 주루룩 나오기 전에 빨리 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달의소녀
21/02/22 05:45
수정 아이콘
근시의 원인이 스마트폰과 책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실내활동 증가로 인해 햇빛을 못받아서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오히려 자외선을 받아서 안구내 도파민 수치를 늘리고 비타민D를 합성하는게 시력에 좋을 수도 있습니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9912
21/02/22 01:57
수정 아이콘
체감상으론 밤에 태블릿 볼때 밝기가 낮아져서 눈이 편하던데.. 블루라이트 필터 잠시 꺼지면 눈부셔서 와 이 밝기로 어떻게 봤나 싶더군요
LaStrada
21/02/22 02:35
수정 아이콘
어떤 색의 빛이 유해한가를 실험하려고 각 종류의 색의 빛을 쥐의 시각세포에 쬐었다는 실험 내용인데
우리 실생활에서 태양광 내의 파란빛만 분리해서 볼 일이 없으니 말이 안된다~ 라고 주장하는게 뭔 논리인지 크크
21/02/22 04:16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말이 안됐다고 생각했던게.. 모니터나 휴대폰 블루라이트정도가 문제라면 야외는 썬글라스 안쓰면 못나가는 수준이어야죠. 물론 전등강한 실내에서도 썬글라스 쓰고지내야함...
그 닉네임
21/02/22 09:04
수정 아이콘
블루라이트 자기전에 한시간 쬐어주면 유의미한 멜라토닌 변화가 일어납니다. 물론 나쁜쪽으로

어떻게 아냐구요? 제가 직접실험했거든요. 방학 한달동안 새벽마다 피실험자들 집앞에 가는데 죽을맛...
셀트리온
21/02/22 09:29
수정 아이콘
오 또 이런 논란이 있군요
의사라고 한 목소리만 낼 리는 없어서.. 사람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다 이럴 걸요
사고라스
21/02/22 09:35
수정 아이콘
사실 자기전에 핸드폰하는게 블루라이트보다 훨씬 해로울 거 같은데요 크크
이런이런이런
21/02/22 10:38
수정 아이콘
좀 다른 얘긴데 화학 조미료 이야기 생각나네요.
영원히하얀계곡
21/02/22 11:57
수정 아이콘
근데 확실히 블루라이트 차단키면 눈이 훨씬 편합니다.
특히 핸폰 리듬겜같이 뚫어져라 화면 쳐다보는 게임의 체감차는 엄청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4165 [유머] 반박불가능한 미국보다 러시아가 좋은 점 [9] 길갈10826 21/02/22 10826
414164 [유머] 삼국지 배우개그 [8] Davi4ever9733 21/02/22 9733
414163 [유머] 어떤 기후에도 준비된 민족 [21] 블랙번 록11688 21/02/22 11688
414161 [텍스트] [2ch] 갈 곳 잃은 증오 [24] 추천9766 21/02/22 9766
414160 [유머] 의외로 세세한 후라이펜 코팅 내구성 등급 [46] 추천11060 21/02/22 11060
414159 [유머] 악법도 법이다.jpg [42] KOS-MOS12137 21/02/22 12137
414158 [서브컬쳐] 욱일기, 군함, 군가 나온.manhwa [7] KOS-MOS7198 21/02/22 7198
414157 [게임] 위화감 제로 [10] 추천10146 21/02/22 10146
414156 [유머] 보초의 시대는 갔다 [15] 파랑파랑9412 21/02/22 9412
414155 [기타] 복잡한 경의중앙선의 사정 [28] 판을흔들어라11103 21/02/22 11103
414154 [유머] 에도시대 "똥"에도 신분이 있다. [1] Ambael7937 21/02/22 7937
414153 [게임] [카운터 사이드] [웹툰] MMM - 칭찬 받고 싶어! [4] 캬옹쉬바나6651 21/02/22 6651
414152 [스타1] 왕중왕전 우승 19주년 기념 콩자의 전성시대 [6] 구밀복검7976 21/02/22 7976
414151 [유머] 집에서 키우는 식물 특 [12] 한뫼소8476 21/02/22 8476
414150 [기타] 삼성,신제품 유출 [46] Lord Be Goja14195 21/02/22 14195
414149 [기타] 다이어트 시작 이후 변화 [16] Madmon10342 21/02/22 10342
414148 [유머] 복서들이라고 그리 빠른 것도 아니네 [28] 길갈10896 21/02/22 10896
414146 [스타1] 버거킹 의외의 신메뉴 [10] roqur9594 21/02/22 9594
414145 [기타] LG가 롤러블폰도 접었네요. [31] 우주전쟁10760 21/02/22 10760
414144 [방송] 왜냐맨+a 근황 [99] 시린비13392 21/02/22 13392
414143 [유머] 학폭논란 대비.. 무기 장전중..jpg [37] 마늘빵13934 21/02/22 13934
414142 [유머] 학폭 논란 속의 트위터 [71] KOS-MOS13554 21/02/22 13554
414141 [유머] 물 끊김.daddy [3] KOS-MOS8371 21/02/22 83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