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6/29 15:23:03
Name 삭제됨
출처 clien
Subject [유머] 위기의 오락실을 살릴 마지막 희망..jpg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6/29 15:25
수정 아이콘
진작에 나왔어야...
돼지도살자
19/06/29 15:26
수정 아이콘
ㅜㅜ 너무 늦었어
광개토태왕
19/06/29 15:28
수정 아이콘
소잃고 외양간 고치면 뭐하나......
Dr.RopeMann
19/06/29 15:28
수정 아이콘
코노도 이렇게 안되나..
사비알론소
19/06/29 15:36
수정 아이콘
번화가에 있는곳들은 종종 신용카드가 되더라구요
19/06/29 15:38
수정 아이콘
코노 저희 동네는 회원제 카드나 현금 충전 사용식으로 많이 바꼈습니다.
그런거없어
19/06/29 15:41
수정 아이콘
집 주변 코노들은 다 신용카드 가능하더라구요.
비바램
19/06/29 16:02
수정 아이콘
요즘 코노는 다 신용카드에요.
강미나
19/06/29 18:09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안되던데....
다람쥐룰루
19/06/29 15:29
수정 아이콘
고쳐진 외양간아 기다려라 신선한 A급 흑우가 간다
19/06/29 15:48
수정 아이콘
아니 여기서 흑우가 크크크
탈리스만
19/06/30 14:0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19/06/30 16:2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킄
Lord Be Goja
19/06/29 15:30
수정 아이콘
바다이야기의 상업적 후계작들을 잡겠다고 신설했던 기술적 규제들이(오토버튼도우미 제한 ,시간당투입액수제한,ic카드나 랜 포트 사용까다롭게,)죄 실패해버렸죠. 그 종류는 소규모업체들이 싼 개발비로 만드는거라 새로 나오는 규제를 회피한 새 게임으로 심의받는게 쉬웠는데 일반게임기들은 그게 안되서... 게임기들만 피해를 봤죠.
결국 제한이 하나씩 무효화되고 철폐되었습니다.

요즘은 그쪽이 시들한데,단속이 심해지고 유효해져서가 아니라 사설토토,모바일로 하는 뽑기나 도박성게임들,암호화폐등 뽕맛이 훨씬 큰게임들이 많아져서...
러블세가족
19/06/29 15:31
수정 아이콘
락성근이 등판했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19/06/29 15:33
수정 아이콘
오락실에 제발 아케페스좀... 1일 1출근 가능..
19/06/29 15:37
수정 아이콘
너무 늦은거 같은...
55만루홈런
19/06/29 15:45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 곳이 서울이고 사는 곳도 구의 중심가인데 오락실이 없어요 크크..
유일하게 있던 곳도 (코노도 있던) 망해버린 흑흑 진짜 오락하려면 버스 지하철타고 가야하는 상황이... 그럴바에 걍 안감;;
파이몬
19/06/29 15:46
수정 아이콘
빨리도 한다 진짜
리나시타
19/06/29 15:50
수정 아이콘
너무 늦었습니다 흑흑..
물론 지금이라도 되면 저야 좋긴 한데 문제는 저게 바로 도입될게 아니라는거죠
점주 입장에서도 카드 단말기 설치를 따로 하던지 해야할텐데 어휴...
대신 이렇게 하면 전 정말 현금 쓸 일이 없어서 좋네요
19/06/29 16:03
수정 아이콘
오락실 진짜 그립네요. 그나마 노량진 쪽에 좀 있었는데 아직도 있을지..
리나시타
19/06/29 17:09
수정 아이콘
정인이랑 어뮤즈타운은 남아있습니다
19/06/29 17:21
수정 아이콘
오 정보 감사합니다. 언제 한 번 가봐야겠네요
내장미남
19/06/29 16:03
수정 아이콘
카드를 500원 이렇게 받을텐더 1945도 500원될것같아서 좀 그렇구 전화카드마냥 1만원권을 카드로 파는것도 좋아보이는데요 1천원이하 환불가능 이런거해서요.
서린언니
19/06/29 17:37
수정 아이콘
10년전에도 말씀하신 게임카드같은거 도입한 오락실들이 많았는데 없는데도 많고 그러다보니까 다시 사라진걸로 기억합니다.
-안군-
19/06/29 16:07
수정 아이콘
카드가 될거라고? 요시! 답은 유사빠찡코다!!
ChloeCreative
19/06/29 16:25
수정 아이콘
응 오락실이 이제 없어...
정답은해체입니다
19/06/29 16:38
수정 아이콘
동전을 쓸 필요가 없다는 것도 있습니다만 특히 500원 이상의 게임에서 가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는게 좋아보입니다
접은 후였지만 모 게임이 신작 업데이트를 했더니 1플레이 당 실질적 가격이 5백원에서 천원이 됐더라는 소식에 벙졌던 기억이 있네요
하지만 윗분 말씀처럼 결제기능이 탑재된 기기나 기존 기기에 장착가능한 단말기를 사는 것도 점주 부담일텐데 얼마나 바뀔까싶기도 합니다
마법두부
19/06/29 17:00
수정 아이콘
그나마 홈플러스에는 오락실이 하나씩 있더라고요.
Ryan_0410
19/06/29 17:05
수정 아이콘
이걸 진작에 했어야지 ㅠㅜ
카드에서 페이로 넘어가고 있는 시대에
지옥에서온강광배
19/06/29 17:15
수정 아이콘
늦어도 너무 늦었......
Tyler Durden
19/06/29 17:40
수정 아이콘
다들 결제방식이 문제가 아닌거 아시지 않나요...
동전으로도 잘만 영업했던 그린게임장도 없어지고..
유념유상
19/06/29 17:46
수정 아이콘
오락실이야 물가 생각하면 500원 받아야 하는것이 맞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 스럽죠. 특히 격겜쪽은..
수부왘
19/06/29 17:50
수정 아이콘
오락실을 스크린야구처럼 재미삼아 '즐기러' 가는거면 500원도 솔직히 싼 편인데
PC방처럼 진짜 특정 게임을 '파러' 간다고 생각해보면 판당 500원은 상당한 압박이죠.
제리드
19/06/29 17:50
수정 아이콘
카드 꽂아놓고 후불제하면 편하지 않을까요?
욕심쟁이
19/06/29 18:10
수정 아이콘
흑우 잃고 외양간 고친다
지니팅커벨여행
19/06/29 18:15
수정 아이콘
카드 결제 안 받아서 오락실 망한 게 아니죠.
PC방 보급 되면서 쇠락하다가 스마트폰 등장으로 몰락한 건데 이걸 너무 늦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하는 건 좀 억지 같네요.
19/06/29 19:04
수정 아이콘
카드 때문이었으면 플스 격겜이 이렇게 침체했을리가...
거믄별
19/06/29 19:57
수정 아이콘
만약 인기 게임이 생기면 동전을 쌓아두는게 아니라 카드를 쌓아둬야 하는건가...
19/06/30 01:04
수정 아이콘
게임이 PC방 대비 엄청 비싼게 문제인데... 저 결제시스템을 모든 게임기에 달면 흠.....
차라리 PC방처럼 시간제로 끊어서 제한없이 즐길 수 있게 어떤가 싶지만, 그러기엔 아케이드 게임기가 너무나 비싸고... 여러모로 사양화가 될 수 밖에 없다 봅니다. 최종테크는 PC방에 소형화된 VR 장비가 보급화 되지 않을까 싶네요.
19/06/30 12:07
수정 아이콘
카드든 뭐든간에 가격 경쟁력이 없죠. 오락실 갈 돈 절반이면 피방에서 먹을것까지 시켜먹으며 놀수 있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6348 [유머] 민폐 끼치는 여주와는 급이 다름 [14] 길갈10564 19/06/29 10564
356347 [LOL] 상호야 너 오늘 정말 잘했어 [19] roqur9259 19/06/29 9259
356346 [유머] 모노폴리 근황.JPG [4] TWICE쯔위9640 19/06/29 9640
356344 [유머] 의문의 트럼프 공부법 [29] 카루오스12537 19/06/29 12537
356343 [게임] 개막 두 달 앞둔 도타2 TI9, 총상금 255억 돌파 [5] 이호철4690 19/06/29 4690
356342 [게임] 톱 아이돌을 노려라! 아이돌 마스터! [12] 가난7497 19/06/29 7497
356341 [동물&귀욤] 아기를 위협하는 맹수 [6] 검은우산7687 19/06/29 7687
356340 [텍스트] 의문의 성인 인증 [8] Lord Be Goja9675 19/06/29 9675
356339 [유머] 위기의 오락실을 살릴 마지막 희망..jpg [41] 삭제됨14159 19/06/29 14159
356338 [유머] 구글 검색어 1위가 타노스인 이유.avi [14] 홍승식11717 19/06/29 11717
356337 [유머] 투철한 직업정신 [6] roqur7531 19/06/29 7531
356336 [기타] 유인원들의 악력 비교 [25] swear10132 19/06/29 10132
356335 [기타] 애플과 화웨이의 부품 공급처 비중 [9] Lord Be Goja8110 19/06/29 8110
356334 [스포츠] 야 대체 누가 똑같은걸 세번당하냐 바보도 아니고 [8] 동네형8992 19/06/29 8992
356333 [동물&귀욤] 유럽 멍뭉이들 상황 [9] 검은우산7380 19/06/29 7380
356332 [기타] 신도시에 새롭게 생겨나는 깡패조직.jpg [30] 감별사12928 19/06/29 12928
356331 [서브컬쳐] 어벤져스 엔드게임 마지막 전투 16비트 애니메이션.avi [9] 홍승식6654 19/06/29 6654
356330 [유머] 불편한 문신 [2] 연필깍이6820 19/06/29 6820
356329 [유머] 엄마 없니? 죽었니? [8] 길갈8395 19/06/29 8395
356328 [유머] 구글 최다검색어 [7] 퀀텀리프7828 19/06/29 7828
356326 [스타1] 브루드워 카봇 스킨 근황 [10] 달포르스9583 19/06/29 9583
356325 [게임] [슈마메2] 풍형 슈마메2 플레이 [4] 나와 같다면5383 19/06/29 5383
356324 [유머] 보정 사진 믿으면 안 되는 이유. [14] 옥토패스13988 19/06/29 139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