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3/15 00:57:02
Name 새님
Subject [일반] 물고기는 눈을 뜨고 자니까 나도 뜨고 잘거야
오늘 자게가 육아풍이라서 저도 써봅니다


혼자 31개월 9개월 아이 둘을 끼고 잠자리에 들어요
자기 전 동화책 읽기 시간에 웬일로 큰 아이가 <늑대와 일곱마리 아기염소>를 가지고 옵니다. 시커먼 늑대 그림이 무섭다고 안 꺼내오는 책인데... 읽어달라더니 두 장 넘겨 늑대가 등장하자마자 "엄마 근데 조금 무서워"라며 제 등 뒤에 숨어서 옷자락을 꼭 붙잡고 듣습니다.


<자동차 기차 비행기 배 대백과>, <타요와 띠띠뽀의 달리기 경주>까지 다 읽고 난 뒤에야 자리에 누워요. 9개월 둘째가 먼저 잠에 빠져들고 첫째가 훨씬 늦게 잠드는데, 문득 낮에 읽다만 육아서 내용이 생각났어요. 하루에 있었던 좋았던 일 하나, 아쉬웠던 일 하나, 내일 해야할 일 하나를 말해주래요.


"OO아, 오늘 엄마는 네가 <늑대와~> 책을 가져와서 너무 기뻤어. 조금 무서운 이야기인데 용기를 내서 용감하게 읽었구나. 참 잘했어~ 내일도 재미있게 책 읽자"


여기서 애가 헤헤 웃고 끝날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갑자기 아이가 말합니다.


"엄마 엄마 나는 나는, 공원에서 뱅글뱅글 미끄럼틀 내려와서 좋았어요. 엄마는 안 만지고 해서 좋았어. 한번 더 타고 싶어."


세상에나. 대화의 주제나 형식을 가르치지 않았는데 갑자기 치고 들어와서 깜짝 놀랐어요. 놀이터에 720도 회전 미끄럼틀이 있는데 혼자 타기를 어려워해서 데리고 타다가 오늘 처음 아이 혼자 탔거든요. 근데 그걸 이렇게 말하다니 못난 에미가 깜짝 놀랍니다.


"그래 그래. 혼자서 그 커다란 미끄럼틀을 타다니 너무 멋지더라~  내일 어린이집 끝나고 또 타러 가자"
"엄마 엄마 사랑해요"


에미는 쓸데없이 또 마음이 징~ 해지고


"오늘 어린이집에서 엄마 보고 싶었어?"
"보고 싶었어"
"그래서 어떻게 했어?"
"엄마 사진 봤어"


럴수럴수 이럴수가... 어린이집 한쪽 벽에는 아이들의 가족사진이 한장씩 붙어 있습니다. 그게 그 용도이긴 한데 그렇긴 한데...ㅠㅠ


에미 맘에 수도꼭지가 콸콸 틀어지려는 찰나를 틈타 잠자기 싫은
아이의 종알거림이 불빛 한 점 없는 방 안을 가득 채웁니다. 단 오분 십분이라도 빨리 재워보고자 전자시계도 천장의 야광별도 모두 뜯어버려 정말 불빛 한 점 없건만...


"엄마 엄마 나는 나는 그런데 잠이가 안 와"
(자는 척)
(벌떡 일어나 앉으며)"엄마 엄마 잠이가 달아나 버렸어"
(자는 척)
"엄마 엄마 밖이 환해졌다 어두워졌어"
"...OO이 눈 감고 자야지"
"엄마 잠이가 안 와..."
"OO아 눈 감고 몸 움직이지 말고 아무 말 안 해야 잠이 오는 거야"
"엄마 나 버스 운동장 놀이 하고 싶어요..."
"그래 엄마는 자고 있을 테니까 OO이 혼자 거실에서 놀고 와"
"엄마 나 졸려 잘 거야..."
"눈 감고"
"엄마 엄마 엄마 나는 나는"
"..."
"엄마 엄마 물고기는 눈을 뜨고 자니까 나도 뜨고 잘 거야"
(대환장)


그리고 둘째가 애앵 잠깨는 소리


"엄마 O이 깼다 깼어"
- 토닥토닥
"엄마 O이 아까 우유가 맛없었나봐"
"아냐 O이 이빨 나서 아프대"
"엄마 O이 이빨이 나서 아파? 이빨 몇 개 났어??"
"두 개~"
"O이 이빨이 두우개 났어 그래서 아파~"
"OO이도 이제 잘까???"
"엄마 나 기저귀가 빵빵해 기저귀 갈아주세요"
(안 만져봐도 이보다 더 뽀송할 수 없는 기저귀...)




9시에 들어가서 재우고 나오니 11시네요 ^-^


육아라는게 겪어보니 그 쪼그만한 애 하나 키우는게 뭐 그리 어렵다고 오백만가지 걱정을 달고 살아요. 쉽게 크는 아이는 있어도 풍파없이 쉬운 부모 속은 단 하나도 없을 겁니다. 맘 고생 그리 하는 만큼 몸 고생이라도 안하면 몰라...


그러다보니 애 키우기 힘들다 우는 소리는 쉽게 나오는데 어떻게 사랑스럽다고 말하기는 이 안물안궁 시대에 지나치게 구구절절한 거 같이 느껴져 말을 아끼게 됩니다. (어제 재우는데 두시간 걸렸어 vs. 애가 잠자리에서 너무 사랑스럽게 말해)


하지만 좋아요~ 이런 순간순간의 행복을 또 어디서 느낄 수 있겠어요. 세상 누가 또 나를 저렇게 맹목적으로 사랑해줄까요. 세상 누가 또 이렇게 따스한 몸으로 나를 꼬옥 안아줄까요. 이 또한 모두 지나가는 것이니 잊지 않으려 순간순간을 붙잡습니다. 그렇게 아이는 잊고 부모만 기억하는 나날들이 쌓여갑니다. 우리도 우리의 부모와 함께 그렇게 자라왔음을 깨닫는 순간, 우리는 성장하고 성숙하며, 이해한 줄 알았으나 미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던 세계로 나아갑니다. 이게 바로 애 낳고 사람됐다는 옛 부렁이겠죠


길지 않은(!) 호시절 마음껏 사랑하며 행복하게 보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잠잘까
23/03/15 01:00
수정 아이콘
아... 글만 읽었는데도 사진에서 울컥했습니다. ㅠㅠ
지탄다 에루
23/03/15 01:47
수정 아이콘
존댓말 반말 섞어서 쓰는게 진짜 귀엽네요 으아아
쩌글링
23/03/15 02:41
수정 아이콘
아이는 잊고 부모만 기억하는 나날이라니...

아이와 함께하는 기억 중 과연 덜 소중한 것이 있을까 싶지만, 아이가 아직 어릴 때 함께한 기억은 부모에게만 남기에 더 애틋하고 밀도가 충만한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정하라니
23/03/15 08:55
수정 아이콘
제에에엘 이쁠때네요 말배우기 시작할때 즐거운 시간이니 한껏 즐기시기 바래요
23/03/15 10:31
수정 아이콘
아휴 글로만 봐도 너무 예쁘네요. 저희 아기는 조만간 17개월되는데, 정말 항상 지금이 리즈인가보다 싶거든요. 언제까지 예쁜가요?
23/03/15 18:29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 34개월짜리 아이 키우는데 지금까지 매순간 더 이쁘고 귀여웠구요, 저는 지금 450개월이 넘었는데 저희 어머니는 제가 아직 이쁘다고 하십니다.. 흐흐
파프리카
23/03/15 10:54
수정 아이콘
이거 보니깐 저희 애기도 빨리 말할 수 있었음 좋겠습니다~ (그런데 선배님들 왈 말 못할 때가 좋은거라고..크크)
플토의부활乃
23/03/15 11:2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특(?)인 것 같은데 좋은 얘기는 잘 안하고 나쁜 얘기만 나누잖아요 보통은, 육아든 결혼이든 직장생활이든.
인터넷에서라도 좋은 얘기를 마음껏 나누면 좋겠어요 흐흐 너무 예쁜 잠자리 얘기네요
23/03/15 11:39
수정 아이콘
저도 10개월 아가 육아중인데... 정말 끝 문단에 말씀하신 내용 하나하나에 동감하며 울컥 눈물이 나네요. 나를 이토록 진심으로 사랑하고 필요로 하고 찾는 존재가 또 어디 있을까 싶거든요. 다시 한 번 모든 마음과 힘을 다해 사랑해주리라 다짐해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오후2시
23/03/15 12:31
수정 아이콘
이런 이야기 너무 좋아요.
서로가 날카로운 혀로 쿡쿡 쑤셔대는 시대에
마음이 따뜻해 집니다.
달랭이
23/03/15 14:51
수정 아이콘
아이구 말하는거 귀엽네요.
번아웃증후군
23/03/16 21:33
수정 아이콘
세상에 어쩜 이렇게 예쁜 아이가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283 [일반] 저는 이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38] 젤리롤12853 23/03/27 12853 121
98274 [일반] 미셸 푸코의 고고학으로 본 비트겐슈타인 [14] 나는모른다9845 23/03/26 9845 3
98258 [일반] 범죄자 이야기 [27] 쩜삼이11274 23/03/24 11274 25
98208 [일반] 심심해서 쓰는 무협 뻘글 10 [8] 具臣5759 23/03/19 5759 1
98169 [일반] 물고기는 눈을 뜨고 자니까 나도 뜨고 잘거야 [12] 새님8158 23/03/15 8158 18
98095 [일반] 제너럴일렉트릭이 실질적으론 에디슨이 아니었군요 [8] 흰둥9736 23/03/08 9736 1
98047 [일반] 나름 잘사는 주변 미국 또래들의 특이한 프로포즈/결혼식 사례들 [77] 건방진고양이14927 23/03/01 14927 17
98013 [일반] (스포)블루 피리어드 이거 수작이네요. [10] 그때가언제라도9036 23/02/26 9036 1
97996 [일반] 마법소녀의 33년 이야기 (2) : 70년대의 등장 1부, 토에이 대 전성시대 [8] 카드캡터체리7920 23/02/25 7920 13
97959 [일반] 뉴욕타임스 2. 8.일자 기사 번역(중국의 돼지 농장) [34] 오후2시13736 23/02/20 13736 6
97955 [정치] 계획적 구식화 응답하라 2023 2/2 [9] singularian11419 23/02/20 11419 0
97826 [일반] 버거 예찬 [61] 밥과글12988 23/02/02 12988 53
97791 [일반] 엄마와 키오스크. [56] v.Serum10893 23/01/29 10893 48
97752 [정치] [노스포] 교섭 후기, 냄새를 지우기 위해 공들였지만 실패 [45] 김유라16423 23/01/23 16423 0
97739 [일반] RTX 4090 전원부 티어표 [34] SAS Tony Parker 19913 23/01/19 19913 0
97704 [일반] 아바타2 보고 [16] 수국8432 23/01/14 8432 3
97675 [일반] 라오스 호스텔 알바 해보기 [24] reefer madness13335 23/01/12 13335 29
97674 [일반] 헬스하는 즐거움 [40] LuckyPop10695 23/01/11 10695 15
97653 [일반] 뉴욕타임스 읽는 법 도와주세요(영자신문을 선택한 이유 추가) [49] 오후2시17528 23/01/07 17528 5
97573 [일반] 2023년 주식 투자 [16] kien.10564 22/12/31 10564 3
97567 [일반] 이번에 산 만화책 세트들 감상 [54] Cand13603 22/12/30 13603 4
97503 [일반] 이대로 괜찮을까. [38] aDayInTheLife13953 22/12/23 13953 5
97497 [일반] [넋두리] 심각한 슬럼프가 왔습니다. [57] 카즈하12767 22/12/22 12767 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