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3/05 21:52:31
Name 마음속의빛
File #1 하일생소묵(마이선샤인).jpg (163.8 KB), Download : 59
File #2 하일생소묵(마이선샤인)2.jpg (137.2 KB), Download : 7
Subject [일반] [중드 추천] 하이생소묵 (마이 선샤인) (스포 최소화) (수정됨)




중국 드라마 초보... 라기엔 꽤 많이 본 거 같지만...
어쨌든 이런 저런 드라마들을 훑어보고 있는데,

유튜브를 통해 캐릭터가 괜찮다고 소문난(중국 웨이보에서) 작품 목록을 훑어보다가
'하이생소묵 (=마이 선샤인, 2015)'을 알게 되어 현재 절반 정도 보고 있네요.



'패도총재' ?
(능력있고, 거만하며, 여자에게 관심이 없는 잘난 남자를 칭하는 중국 표현으로
대개 재벌이나 회사 중역 남주인공이 이런 성격을 가지고 여주인공을 흔들어놓는 역할을 맡고 있음)

앞에 설명한 '패도총재' 캐릭터에 가장 어울리는 캐릭터로 후웨이쩐의 공작실이라는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되어
드라마를 보고 있는데, 이 작품의 남주인공 '허이천'이 1위로 뽑혔다고 하네요.

작품 자체의 재미는 아직 모르겠지만,
중드를 많이 보신 분들 중 색다른 연출을 원하는 분들께 추천해볼만 할 거 같아 글을 적어봅니다.



제목 ; 하이생소묵 ((마이 선샤인)
          -  우리는 어찌하여 이별을 해야했는가(의역됨. 원 제목이 시의 구절이라 해석이 분분함)
출연 : 종한량(금심사옥으로 유명), 아역 배우 : 라운희 (반시밀당반시상으로 유명)
         당언(금수미앙으로 유명),    아역 배우 : 오천(빙당돈설리로 유명)
줄거리 : 헤어졌던 연인이 다시 만나 일어나는 이야기

중국에서는 '타임슬립', '계약 결혼', '선결혼 후연애' 처럼 유행있는 소재는
금방 비슷비슷한 소재로 복제 제작되는 경향이 많은 거 같은데,
'패도총재'라는 캐릭터 컨셉마저도 하나의 소재가 분류되나봅니다.


기존의 패도총재 드라마와의 차이점?

대개 '계약 결혼' 소재와 합쳐져서 잘난 남주가 평범한 여주의 삶을 뒤흔드는 역할을 하는 게 '패도총재'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현빈이 이 역할을 기가막히게 잘 수행해서 인상깊었던 기억이 있네요.

'패도총재' 캐릭터는 대개 부유하고, 잘 생겼으며,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지위나 능력을 가지고 있고,
까칠한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대개 결벽증 같은 것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는데,

이 작품에서의 '허이천'은 잘 나가는 변호사 중 한 명일뿐, 재벌도 아니고, 결벽증을 지닌 것도 아니었네요.
흔하디 흔한 패도총재 설정이 아닌 것이 오히려 특별함을 가져다준 거 같네요.



이 작품의 관전 포인트는?

제가 요즘 로맨틱한 달달 드라마(대개 남주와 여주가 쿵짝이 잘 맞아 찐한 스킨쉽으로 드라마 분위기를 들뜨게 만드는 장르)
를 자주 접하다가 이 작품을 접하니 캐릭터 성격이나 드라마 초반 분위기가 매우 인상깊게 다가오네요.
(이 드라마는 기존의 달달한 드라마가 아닌 어른들의 이야기가 담긴 드라마였네요.)

드라마 시작 배경부터, 남주와 여주는 헤어진지 7년이 지난 시점이네요.

'패도총재' 캐릭터가 맘에 드는 여성을 독점하기 위해 다가가는 게 아닌,
이미 사귀던 캐릭터들이 모종의 이유로 헤어졌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만나는 장면부터 시작하니

남주와 여주가 아직 만나지도 않은 상황에서도 배우나 시청자 모두 감정소모가 꽤 큰 작품이네요.
헤어졌음에도 서로가 서로를 그리워하는 티가 역력하고(= 뚜렷하다, 분명하다), 그럼에도 서로가 서로를 만나기 꺼려하는 무거운 분위기...

7년의 세월동안, 이별의 아픔으로 일에만 몰두하며 워커홀릭이 된 남주 '허이천'과
어떻게 세월을 보냈는지 밝고 활달하던 여주가 과묵하고 침울한 캐릭터로 변해있는 '자오모성'



대개 '패도총재' 캐릭터가 나올 때는 이렇게 진중하고 무거운.. 슬프고 아련한 분위기하고는 거리가 먼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작품은 뭘까요...  

독특하기 때문에 특별하게 다가오는 작품이네요.

리뷰를 위해 간략하게 드라마를 검색해보니, 중국에서 16억명이 시청하며 호평을 했던 작품이라고 하네요.



어디서 보나요?

OTT 서비스 중 '웨이브', '왓챠' 에서 볼 수 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롯데지발
22/03/05 21:58
수정 아이콘
중드를 보는 분들은 왜 보는 건가요? 한드나 일드 또는 미드 와 다른 특색이 있는 건가요?
마음속의빛
22/03/05 22: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경우,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사극(역사물), 고장극(과거 배경의 다양한 시대극)을 보기 위해 중드를 접했습니다.

이를 위해 OTT 서비스를 접했다가, 몇몇 배우들 작품을 보기 위해 다른 드라마를 찾아보게 되고,
현대물까지 두루 훑어보게 되었네요. 물론, 종영된 한국 드라마도 눈에 띄면 봅니다.

특색이 있긴 한데, 이게 딱 이거다! 라고 표현하기는 어렵네요.
일단 한 해에 방영되는 드라마 수가 국내에 비해 많기 때문에
독특한 소재나 양산형 소재도 다양해서 인형뽑기 하듯 골라서 찾아보는 재미가 있겠네요.

보다 자세한 설명은 나무위키를 참조해서...
https://namu.wiki/w/%EC%A4%91%EA%B5%AD%20%EB%93%9C%EB%9D%BC%EB%A7%88
에린의음유시인
22/03/05 22:51
수정 아이콘
중드는 무협물(선협물 제외)만 괜찮은 거 있음 보는데... 현대물은 손이 안 가드라구요. 한드만 봐도 충분해서 그런지...
마음속의빛
22/03/05 23:2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선협물, 현대물 모두 연출이 적응이 안 되는 게 많더군요.
초반만 재미있는 작품을 찾으면 꽤 많은데, 중반까지 연출이 살아있는 작품이 드물고,
엔딩까지 괜찮은 작품은 더더욱 드물더라구요.

OTT 기간이 남아서 이거 저거 훑어보다보니 중드 현대물까지 두루 보게 되긴 했지만,
만족스럽게 본 작품은 몇 없네요.

다른 사람들 리뷰 글을 봐도 배우들 얼굴 보는 재미로 엉성한 스토리와 연출을 참고 넘긴다는 말도 많았구요.
(흐린 눈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던데, 빠른 스킵이나 대충대충 이해해주고 내용을 넘기면서 보나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185 [일반] 라이젠 7 7800X3D 유럽에서 최소 530 유로 등록 [21] SAS Tony Parker 12978 23/03/16 12978 0
98183 [정치] G7에게 동성혼 법제화 압박을 받고 있는 일본총리 [45] 기찻길14582 23/03/16 14582 0
98182 [정치] 대통령실 "尹, 주 60시간 이상 근무 무리… 상한 보완 지시" [178] 동훈22052 23/03/16 22052 0
98181 [일반] RTX 4070 출시 엠바고 유출 [46] SAS Tony Parker 12954 23/03/16 12954 0
98180 [일반]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가득한 슬램덩크 [82] 비와별13403 23/03/16 13403 7
98179 [정치] 근로시간과 출산율의 상관관계 [80] 마스터충달17494 23/03/15 17494 0
98178 [일반] 심심해서 쓰는 무협 뻘글 9 [5] 具臣8078 23/03/15 8078 1
98176 [일반] 외부 성기 요소와 성전환 인정은 이제 아무 관련이 없는것인가 [104] 라이언 덕후17170 23/03/15 17170 2
98175 [정치] 전당대회효과 소멸? 친일 논란 직격? 대통령 지지율 및 정당지지도 등 [144] 동훈19528 23/03/15 19528 0
98174 [일반] 20일부터 대중교통에서도 마스크 의무가 해제됩니다. [89] BitSae12946 23/03/15 12946 7
98173 [정치] 尹 "한일관계 정상화는 공통이익…징용 재점화 걱정 안해도 돼" + 추가 [301] 덴드로븀25533 23/03/15 25533 0
98172 [정치] 실시간 폭주하는 전두환 손자 [125] 헛스윙어34857 23/03/15 34857 0
98171 [일반] 파벨만스. 스필버그가 울 수밖에 없었던 이유 [2] 트럭10489 23/03/15 10489 2
98169 [일반] 물고기는 눈을 뜨고 자니까 나도 뜨고 잘거야 [12] 새님11482 23/03/15 11482 18
98168 [일반] 사회 초년생 직장인을 위한 소개팅 팁 [9] 멍하니하늘만10629 23/03/15 10629 7
98167 [정치] 뉴스타파가 대장동 50억 클럽 녹음파일을 공개했습니다 [117] 쟁글23703 23/03/14 23703 0
98166 [일반] 60년대생이 보는 MCU 페이즈 2 감상기 [30] 이르23782 23/03/14 23782 32
98165 [일반] 어젯밤 아이를 재우는데 아이가 절 안아줬어요 [37] 플토의부활乃13933 23/03/14 13933 79
98164 [일반] 아빠. 동물원! 동물원에 가고 싶어요! [73] 쉬군12978 23/03/14 12978 132
98163 [일반] [잡담] 20년을 일했는데, 좀 쉬어도 괜찮아 [39] 엘케인13842 23/03/14 13842 33
98162 [일반] 이글루스 서비스 종료 - 너무 많은것들이 잊혀져가고 있다. [25] 된장까스11060 23/03/14 11060 31
98161 [일반] 스즈메의 문단속 본 쓸데없이 긴 감상 (강스포) [15] TheWeeknd10618 23/03/14 10618 4
98160 [정치] "한국도 핵무기 보유할 때 다가오고 있다" [307] 동훈22468 23/03/14 224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