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0/08 22:18:23
Name 곰주
Subject [일반] 네번째를 맞는 양승태 주거 압수수색 기각, 그리고 그 웃지못할 사유 (수정됨)
제목: 현직 부장판사 압수수색…양승태 집 영장은 또 기각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0082155015&code=940301#csidxc014db418ac434bbcaf33e1da3df034

제목: 양승태 자택 압수수색 또 기각…영장판사 "주거 안정 중요"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008_0000436897&cID=10201&pID=10200



양승태 전 대법원장에 대한 자택 압수수색 영장이 이번에도 기각되었습니다. 벌써 네번째네요. 지난 7월에 두 차례, 9월에 한 차례 기각되었고 이번이 네번째 입니다. 그런데, 영장의 기각사유가 가관입니다.



“주거, 사생활의 비밀 등에 대한 기본권 보장의 취지에 따라 압수수색은 신중해야 한다”


라고 하네요.



한국의 사법부를 상징하는 정의의 여신은 역시나 상대를 봐가면서 법을 적용하는 사법부를 제대로 표현하는 것 같아 아주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200896260_1280.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상 그 막연함
18/10/08 22:23
수정 아이콘
저울은 가볍고 법전은 무거워서 법전편을 들어줘야 하나 보군요
난 왜 저울을 높이 들고 있나 했더니만 법전이 무거운거였어
법전이 무거워 법전이 더 중요하군
대한민국의 정의는 그런 것이군
페로몬아돌
18/10/08 22:30
수정 아이콘
천룡인 화이팅!
최종병기캐리어
18/10/08 23:06
수정 아이콘
권력의 시녀는 검사가 아니라 법관이었던걸로 확정.

검사가 아무리 구형해도 판사가 선고하지 않으면 안되는 법체계라서 법관이 최고시녀가 될 수밖에 없네요.
뻐꾸기둘
18/10/08 23:13
수정 아이콘
시험에 통과했다는 이유로 민주적 정당성도 빈약한 애들에게 견제와 감시 없이 권력 쥐어주니 이모양 이꼴 난거죠.

같은 수준으로 막장인 검찰/경찰/군인들도 하다못해 대통령 바뀌면 반성하는 척이라도 합니다.
공고리
18/10/08 23:14
수정 아이콘
우리가 남이가~
人在江湖身不由己
18/10/08 23:16
수정 아이콘
집 안에 방사성 동위원소들이 사나... =_=
글루타민산나룻터
18/10/08 23: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솔로13년차
18/10/08 23:36
수정 아이콘
법집행을 공정하게 하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위직, 사법부 관련자들에 대한 법집행은 보다 더 강력하게 해야합니다.
그렇지않다면 그냥 쓰레기 인증이죠.
내일은
18/10/08 23:38
수정 아이콘
법잘알들이라 이미 법적으로 문제가 될만한 건 싹 다 치웠을텐데도 구속영장 기각하는건 천룡인에 대한 예우 때문이겠죠.
녹용젤리
18/10/08 23:51
수정 아이콘
법전 모서리로 정수리를 그냥 딱! 하고싶어요
태엽감는새
18/10/09 00:08
수정 아이콘
주거
18/10/09 00:52
수정 아이콘
수정하겠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18/10/09 01: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제 사람들이 법원이 판결 내리는 거에 무슨 권위를 인정할지......
저런 것들이 불법시위 판결 내려서 징역살리고 파업노동자 자살하게 만들었다니 끔찍하네요...

심지어 이석기도 북한에서 억울해 할 득..
(물론 통진당 해산은 503 몇 안되는 업적 중 하나로 인정합니다만, 그 정당성이 확 떨어지네요......)
18/10/09 02:22
수정 아이콘
1. 통진당 해산은 법원과 상관없는 헌법재판소에서 이루어졌습니다. 따라서 사법부와는 관계가 없는 일입니다.
2. 통진당 해산의 일련의 과정은 민주주의 기초인 '정당의 자유' 훼손했다는 점, 그리고 절차적 부당성이 분명한 정치적 탄압사건으로 봐야합니다.

사법부의 작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하겠지만 사실관계는 바로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치킨너겟은사랑
18/10/09 01:35
수정 아이콘
진짜 하루에 혈압오르는 기사를 몇번을 봐야되는건지
도들도들
18/10/09 01:58
수정 아이콘
말이야 맞는 말이죠. 주거 압수수색 당해서 좋을 사람 아무도 없으니 영장 발부는 신중해야 합니다.
그런데 왜 지금까지는 하나도 안 신중하게 죄다 발급해줘놓고, 이제 와서 판사들 주거에만 신중하는 거냐구요.
모두 평등하게 신중히 발부하든가 아님 예전 하던 대로 하든가 하나만 하라고.
독수리가아니라닭
18/10/09 02:18
수정 아이콘
언제부터 압수수색하면서 사생활을 존중했었다고...
오프 더 레코드
18/10/09 03:08
수정 아이콘
탄핵가야합니다. 진짜
뽀롱뽀롱
18/10/09 05:47
수정 아이콘
사법부에서 양승태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익이 없는 면박주기라고 생각했다면 가능한 일이나

한 번도 안해보고 어떻게 아는건지
미리 없다는 점을 들은건지

사법부가 엘지와 박현준보다 나은게 뭔지

참 아리송합니다
순규성소민아쑥
18/10/09 07:19
수정 아이콘
뚝배기속에 두부만 들었나...
알테어
18/10/09 07:19
수정 아이콘
사법부를 견제할 시스템이 없으니...
사법부 견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텐데요.

검찰은 어차피 청와대 눈치보니 견제가 되는데 판사들은 견제가 안되는 현실입니다.

사법부 개혁을 반드시 해야 하는데, 국회의원들이 개헌을 통해 그 방안을 마련해줬음 싶네요.

사법부가 국민들 우습게 아는데, 뭔 장치를 해야 할거 아닙니까
18/10/09 08:59
수정 아이콘
국회에서 탄핵이 가능 합니다. 이미 신익철 대법관 당시 탄핵 시도가 있었죠.

민주, 신영철 대법관 탄핵소추 추진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378738.html
하늘하늘
18/10/09 09:49
수정 아이콘
자한당때문에 불가능하죠.
민주당이 특판, 대법관탄핵 같은 걸로 이슈몰이를 해서 자한당을 궁지로 좀 몰아야하는데
능력이 없는건지 의지가 없는건지 너무 조용한것 같습니다.
18/10/09 10:13
수정 아이콘
자한당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해서 탄핵 시도를 하지 말라는 법은 없으니까요.
하늘하늘
18/10/09 11:12
수정 아이콘
제말은 탄핵시도를 좀더 시끄럽게 하라는 뜻이에요.
어차피 현실적으로 자한당때문에 불가능하니까 국민들에게 사법부에 어떤 문제가 있고
또 이걸 해결하는데 뭐가 걸림돌이 되고 있는지 확실히 알리려면 지금처럼 조용히 추진하는건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겁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10/09 12:20
수정 아이콘
법관 탄핵은 과반만 의결해도 되기때문에 자한당 없어도 가능합니다.
18/10/09 09:51
수정 아이콘
저들이 수장이 양승태였고, 사법부 수준을 보여주는 거죠. 게다가 좀 나을줄 알고 뽑은 김명수도 적폐임을 스스로 증명하는 중입니다.
교강용
18/10/09 10:57
수정 아이콘
저정도면 제가 판사하면 양심있는 판사 되겠네요.
Liberalist
18/10/09 11:42
수정 아이콘
법룡인들 참 대단하네요 크크크
앞으로 법조인들은 법알못들 까분다고 나대지나 말길.
본인들에 대한 대중의 불신은 본인들이 만든건데 전문가를 무시하네 뭐네 하는건 무슨...
18/10/09 12:40
수정 아이콘
사법 농단 사태 보면서 드는 생각이 얘네는 눈치도 안 보는거 같아요
보통 이정도면 눈가리고 아웅이라도 하는데 얘네는 진짜 낯짝 두께가........
앞으론 법조인이 법리 어쩌구 하면 실소부터 나올듯
IZONE김채원
18/10/09 13:21
수정 아이콘
그동안 고귀한 사법권 어쩌고 지껄이던게 한낮 개소리임을 전국민이 알게 되는 아주 중요한 사건의 연속이네요.
후마니무스
18/10/09 15:52
수정 아이콘
사법부의 권위는 투명성과 합리성 그리고 이에 근거한 합법성에서 나옵니다.

이를 모른다면 우둔함을 드러낸거도
이를 알면서 아러한 작태를 보인건 나이브한 권위주의죠.

알든모르든 어리석다는 표현은 틀리지 않아 보입니다.

무엇보다 열심히들 사시는 법조인들이 많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527 [일반] 32년만에 '여권 색깔'이 바뀐다네용 [74]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171 18/10/15 13171 0
78526 [일반] 당신은 지금 생각하고 있습니까? [24] Eterna6042 18/10/15 6042 3
78525 [일반]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다고 믿은 아인슈타인 [142] asdqwea19326 18/10/15 19326 3
78524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2부 #1 (들어가며 - 구이의 역사) [34] BibGourmand8890 18/10/15 8890 37
78523 [일반] 쇼미더머니 시즌인김에 써보는 루피(Loopy) 이야기 [43] backtoback18681 18/10/14 18681 16
78522 [일반] [뉴스 모음] No.201.5. 이재명 지사의 충언 [63] The xian11281 18/10/14 11281 15
78521 [일반] 중국의심각한아동실종문제를 다룬영화 디어리스트 [21] noname1112055 18/10/14 12055 0
78520 [일반] 찐따의 헬스 입문기 [30] 삭제됨8669 18/10/14 8669 17
78519 [일반] 북한ICBM과 웃으면 복이 와요. [2] 미사모쯔13065 18/10/14 13065 3
78518 [일반] 2009년 이명박 정부때 살인범 320명을 사면해준 이유는 뭘까요? [58] 삭제됨14102 18/10/14 14102 7
78517 [일반] 최근 번역기의 발전 수준이 매우 놀랍네요 [90] asdqwea20333 18/10/14 20333 2
78516 [일반]  [뉴스 모음] No.201. 이재명 지사 논란 / 문재인 대통령 국회 비판 / 이해찬 대표 논란 등 [19] The xian11802 18/10/14 11802 21
78515 [일반] 부산국제영화제 영화들 한줄평 [31] 물만난고기7816 18/10/14 7816 0
78514 [일반] 쉽게 감정에 욱하는 댓글들에 대해 [184] 삭제됨13162 18/10/13 13162 5
78513 [일반] 미래에 과학이 예술이나 법에 도입되는 날이 올까요? [17] asdqwea5294 18/10/13 5294 1
78512 [일반] 우리나라 음악의 해외인기 원인은 바로 '선율'에 있습니다. [76] 무플방지협회12256 18/10/13 12256 1
78511 [일반] 7세 여아에게 '야동' 보여준 어린이집 [51] 혜우-惠雨13893 18/10/13 13893 3
78510 [일반] 9월 일반고용동향, 취업자 4만 5천명 증가! [88] 여망11202 18/10/13 11202 0
78509 [일반] 日, 국제관함식서 '이순신 깃발' 게양에 항의 [372] 삭제됨16877 18/10/13 16877 2
78508 [일반] 국정감사 도중 열받은 백종원 [141] 삭제됨25872 18/10/12 25872 20
78507 [일반] 어제 공개된 보스턴 다이나믹스 로봇 근황 [84] asdqwea13188 18/10/12 13188 2
78506 [일반] 모든 사람이 대기업에 취업하는게 아닐텐데 [43] 분당선13606 18/10/12 13606 4
78505 [일반] 이준석 "정치권은 젠더이슈 피해선 안돼…지향점 합의 주도해야" [332] 마재17224 18/10/12 17224 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