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3/09 19:46:32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알파고
알파고와 이세돌간의 대국 기사가
메인 페이지에 떳길래 긁어옵니다...
((발번역 주의))

Google-Software gewinnt gegen Go-Weltmeister
구글 소프트웨어가 세계 바둑 챔피언을 이겼다.

Mensch unterliegt Maschine: 
Der Computer AlphaGo hat die erste Runde gegen den Go-Weltmeister gewonnen. 
Lee Sedol gab die Partie nach dreieinhalb Stunden auf.
인간이 기계에게 지고 말았다.
컴퓨터 알파고가 첫 게임에서 세계 바둑 챔피언을 이겼다.
이세돌은 3시간 반만에 그의 차례를 포기하였다.



Weltmeister Lee Sedol macht beim Duell mit dem Computer AlphaGo seinen ersten Zug. © Lee Jin-man/AP/dpa
바둑 챔피언 이세돌이 컴퓨터 알파고와의 대결에서 자신의 첫 수를 두고 있다. Ap통신 이진만 기자

Die erste Runde des Brettspielduells zwischen dem Weltmeister Lee Sedol und dem Computer AlphaGo hat die künstliche Intelligenz gewonnen. Nach dreieinhalb Stunden erklärte sich Lee Sedol für geschlagen, da er keine Siegeschancen mehr sah.  
AlphaGo ist eine Entwicklung von Google Deepmind, der Computer hat bereits den dreifachen Go-Europameister Fan Hui bezwungen. Das Duell zwischen Mensch und Maschine geht insgesamt über fünf Runden und findet in der südkoreanischen Hauptstadt Seoul statt. Der Gewinner erhält eine Million US-Dollar (900.000 Euro).
이세돌과 알파고 사이에서의 첫 바둑 대결에서 인공지능의 승리로 끝났다.
3시간 반만에 이세돌은 이길 수 있는 수가 더 이상 보이지 않자 패배를 인정했다.
알파고는 구글 딥마인드의 개량형이며 그 컴퓨터 인공지능은 이미 바둑 유럽 챔피언을 3회나 차지한 판 후이를 꺾은 적이 있다.
인간과 기계와의 대결은 5라운드까지 진행되며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개최된다.
승리자는 100만 달러를 받게 된다.(90만 유로)

Go ist ein traditionelles asiatisches Brettspiel. Es gilt als komplizierter als Schach und sollte daher eigentlich für eine künstliche Intelligenz schwer zu verstehen sein. Experten für künstliche Intelligenz hatten bis vor Kurzem noch prognostiziert, es würde ein weiteres Jahrzehnt dauern, bis Computer professionelle Go-Spieler schlagen könnten. Lee, der 18 internationale Titel gewann, zeigte sich vor dem Auftaktspiel noch siegessicher: Er werde "haushoch" gewinnen. AlphaGo wurde allerdings entworfen, um Einfühlungsvermögen beim Bewältigen komplexer Aufgaben zu imitieren.  
바둑은 아시아 전통의 보드게임이다.
체스보다 더 복잡하다고 여겨지며 그래서 정말 인공지능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인공지능 전문가들은 컴퓨터가 프로 바둑기사를 이기려면 적어도 1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예견했었다.
18번이나 세계대회 타이틀을 거머쥔 이세돌 기사는 이 개막전에 앞서서 승리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또 큰 점수 차이로 이길 것이라고도 하였다.
그렇지만 알파고는 어려운 과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한 감정이입능력을 흉내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Beim Go-Spiel müssen die Spieler versuchen, die gegnerischen Steine zu umzingeln und wegzunehmen. Wer die meisten Felder erobert hat, gewinnt. Es gibt eine fast unbegrenzte Zahl von Positionen auf dem Spielfeld. Das erfordert von den Spielern auch, sich bei Zügen auf ihre Intuition zu verlassen.
Die Partie zwischen AlphaGo und Lee folgt einer Reihe von Brettspielduellen zwische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und einem Menschen. Im Schach werden schon lange Computer eingesetzt. Für Aufsehen sorgte 1997 etwa der Computer Deep Blue von IBM, der gegen den Weltmeister Garri Kasparow gewann.
바둑에서 대국자는 상대의 돌을 포위하고 제거하도록 시도해야한다.
가장 많은 칸을 차지한 사람이 이긴다.
바둑판위에선 둘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거의 무한하다.
이것은 대국자에게 자신의 직관을 믿도록 만들기도 한다.
알파고와 이세돌 기사와의 대국은 인간과 기계와의 보드게임 대결과 맥을 같이 한다.
체스에서는 컴퓨터가 이미 오래전에 승리한 바 있다.
1997년에는 아이비엠 컴퓨터 딥블루가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겨서 주목 받은 바 있다.


2016년 3월 9일 10시 22분. 차이트지 온라인

Zeit라는 일간지입니다.. 굳이 한국어로 해석하자면 시대일보~(?) 쯤 됩니다..
어쨌든,,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마지막 보루가 깨졌다라는 측면에서
이 대국을 다뤘네요...

다음에도 또 올릴게요~슝~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원추리
16/03/09 19:51
수정 아이콘
판 후이가 유럽 챔피언이었군요. 그 사람을 이겼을 때의 알파고의 실력이 한국 연습생 실력이었다던데 한중일 3국과 나머지 국가의 바둑 실력 차이가 정말 엄청난가 보네요.
표절작곡가
16/03/09 19:57
수정 아이콘
기사에 그렇게 써있네요~크크

저는 바알못이라 아무것도 몰라요~~^^
16/03/09 20:00
수정 아이콘
한중일 제외하곤 사실상 바둑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니깐요.
아케르나르
16/03/09 20:01
수정 아이콘
원래 중국태생인데, 단을 따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 프랑스로 갔는데, 거기서 바둑을 보급중인 분이라고 하네요.
Korea_Republic
16/03/09 20:01
수정 아이콘
넘사벽입니다. 이미 전통과 역사에서 게임이 안됩니다. 한중일 3국 만큼 프로리그가 활성화 된 곳도 없기도 하고 저변도 차이가 비교가 안될만큼 어마어마합니다.
솔로11년차
16/03/09 20:02
수정 아이콘
3국의 연습생들 중에는 매년 프로가 나오지만, 동아시아를 벗어난 곳에서 정말 실력으로 프로가 나오기는...
16/03/09 19:53
수정 아이콘
오늘 퇴근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은별바둑을 두고 있는데,
버스 옆자리에 앉아 계시던 할머니(!)가 물어 보시네요.

"오늘 이세돌하고.. 어떻게 됐어요?"

"....컴퓨터가 이겼어요..."


바둑에 관심 없고 둘줄 모르는 사람들도 관심을 둘 만큼,
오늘 이세돌 vs 알파고 대국은 빅이벤트였나 봅니다.
거참.. 곧 닥치겠지만 적어도 이번 대전은 아닐 줄 알았는데, 기분이 싱숭생숭합니다.
해원맥
16/03/09 19:54
수정 아이콘
독일발 속보 감사합니다
아케르나르
16/03/09 20:00
수정 아이콘
http://stoo.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30917415681549 딥마인드측에서 알파고의 승리 후에 '우리는 달에 도달했다' 면서 자축했다네요. 충분히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후 이세돌9단에게 4번 연속으로 지더라도 말이죠.
포메라니안
16/03/09 20:54
수정 아이콘
근데 오늘 둔걸 보면 4번 연속으로 안질것같다는게...
카랑카
16/03/09 20:00
수정 아이콘
충격이 큽니다. 이세돌이 질 줄이야...
Korea_Republic
16/03/09 20:03
수정 아이콘
응팔 때문에 바둑 얘기가 좀 나오던데 이세돌-알파고 대전으로 더 많이 언급되는듯 하네요.
16/03/09 20:29
수정 아이콘
이세돌 기사~~ 힘 냅시다. 우리만 관심 있는게 아니라 세계적으로 관심이 큰 가 보네요. 내일 낼모레 계속 이깁시다.
바카스
16/03/09 21:52
수정 아이콘
딴지는 아닙니다만..^^
9일 10일 12일 13일 15일

이렇게 5국 입니다.
연환전신각
16/03/10 01:08
수정 아이콘
이세돌이 5전중 3승으로 이기건 말건 1패라도 하면 큰 의미가 있는 사건이 될 거라고 생각하긴 했는데 그게 첫 대국에서 벌어질줄은 몰랐습니다
밀물썰물
16/03/10 07:17
수정 아이콘
언제부턴가 음악가에서 번역가로 돌변하셨네요.
표절작곡가
16/03/10 21:27
수정 아이콘
독일 유학하면서 독일어 배운게 좀 아까워서 그렇습니다....
그나마 성과라면 독일어 문장을 봤을 때 조금 뜻이 파악된다 정도네요~ㅠㅠ
16/03/10 08:05
수정 아이콘
저번에 올려주신 기사, 이번거 참 재밌게 읽었습니다. 요즘에는 SPON에서도 한국기사를 심심찮게 찾을 수 있더군요.
빈도 수로는 윗동네가 훨씬 많지만.
여담으로 독일어 배우고 여러가지 기사나 좋은 글들 심심풀이로 번역해볼까? 생각해본 적이 있었는데,
번역이라는게 참 쉬운게 아니더군요. ㅠㅠ
다음 글도 빨리 올려주세요.
표절작곡가
16/03/10 21:26
수정 아이콘
다음에 번역올리면 딴지 좀 걸어주세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020 [일반] 한국기원에서 알파고 대국에 공정성 문제가 있다 보고 있네요 [151] 리오넬 호날두14459 16/03/11 14459 0
64019 [일반] <삼국지> 인물의 죽음에 대해 쓰인 한자. [6] 靑龍3805 16/03/11 3805 3
64018 [일반] 오소마츠상 감상문 [11] 좋아요4581 16/03/11 4581 0
64017 [일반] 북한 "우리측에 있는 남측 모든 자산 완전 청산" [160] 에버그린9484 16/03/11 9484 2
64016 [일반] 윤아/유주x선율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 효연덕후세우실3234 16/03/11 3234 0
64015 [일반] 조금 아쉬운 일본만화 원피스(다량스포) [58] 시오냥9046 16/03/11 9046 5
64013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17 (4. 쫓는 자와 쫓기는 자) [24] 글곰3977 16/03/11 3977 49
64012 [일반] 구글은 정말로 세계정복을 꿈꾸는가? [169] 은때까치18161 16/03/10 18161 28
64011 [일반]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알파고(2) [12] 표절작곡가6816 16/03/10 6816 5
64010 [일반] 취미로 바둑을 하는 컴퓨터다 [26] 좋아요8151 16/03/10 8151 8
64009 [일반] 룰라는 타락했는가? 브라질의 비극 [49] santacroce14657 16/03/10 14657 88
64008 [일반] 알파고의 승리에서 떠오르는 망상? [94] 마스터충달9470 16/03/10 9470 0
64007 [일반] 알파고... 지난 5개월간의 급격한 성능 향상에 대한 상상들... [24] jjune8501 16/03/10 8501 1
64006 [일반] [3.10]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이대호 1타점 적시타) [2] 김치찌개3152 16/03/10 3152 0
64005 [일반] 2016 ESPN 선정 NBA 역대 포인트 가드 TOP 10 [22] 김치찌개8111 16/03/10 8111 0
64004 [일반] [바둑] 인공지능의 도전 제2국 - 알파고 불계승 [187] 낭천18336 16/03/10 18336 1
64003 [일반] 개인의 신상정보를 단순히 공개한 것은 처벌받을 일인가요 아닌가요? [35] 삭제됨4983 16/03/10 4983 0
64002 [일반] 불평등의 딜레마: 피케티와 세계화 이슈 [22] santacroce6920 16/03/10 6920 16
64001 비밀글입니다 王天君13032 16/03/10 13032 69
64000 [일반] 음악 프로듀서 조지 마틴 별세 [4] 트라웃3027 16/03/10 3027 0
63999 [일반] 체스판은 딥블루 때문에 망했는가? [23] 최유형13643 16/03/10 13643 11
63998 [일반] 국어국문학과 전공책 나눔합니다. [20] 푸른봄3674 16/03/10 3674 2
63997 [일반] 애초에 바둑은 스포츠가 아닙니다 [90] threedragonmulti11920 16/03/10 11920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