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1/12 15:26:04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 기업 Top10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 기업 Top10..

글로벌 컨설팅 업체 부즈앤컴퍼니가 2013년 10월 24일에 발표한

최근 1년간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한 기업 상위 10선입니다

연구개발비 투자 집계 기간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rwmania
13/11/12 15:2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제약회사가 왜 성공하기 힘든지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아닌가 합니다.
결과물이 나오는 데는 디립다 오래 걸리고, 돈은 정말 많이 먹다 못해 처먹는(...) 수준이니까요.
2막3장
13/11/12 16:03
수정 아이콘
음.. 제약업계는... 사실 미국회사 또는 미국에 연구소를 둔 회사들이 평정했습니다.
원래 미국회사들이 10위권 안에 7개인가 있었는데, (나머지는 유럽) 유럽의 나머지 회사들이 미국회사에 상대가 안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미국에 연구소를
앞다투어 설립했다고 하네요.

상당수의 제약회사들이 유망한 미국 대학의 생명공학 연구실과 NIH(미국립보건원)의 연구센터등등에 입도선매 비스무리하게 투자해서
가급적 빠른 임상시험을 거쳐서.. 특허를 내죠.. 원래는 학교 연구실에서 생산된 논문?이나 자료?들에 특허나 뭐 그런걸 걸지 못하게 되어있었는데
미국의 모 국회의원이 특허권을 신청할 수있게끔 법안 발의를 해서 통과했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제약회사들이 자기네들 연구도 하지만, 학교에다 돈을 퍼부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학교에서 특허를 내죠. 그 제조 권한을 제약회사에서 가지고.. 유효기간이 7년인가 그랬는데.. 더 길었는지는 책을 읽은지 오래되서 생각이 안나네요.
그래서 특허기간이 끝나기 전에 쫙쫙 빨아먹고, 국내의 제너릭 제약회사들이 특허기간이후에 제조 권한을 얻으면 약을 복제해서 파는게 우리나라 현실입니다.. 그래서 '획기적인 신약'의 가격은 어마어마 한게 많습니다.
장기 투여가 필요한 환자들에게는 어떻게 보면 지옥과도 같은 현실이죠.. 저걸 먹으면 내가 낫는데.. 돈이없어서 죽어야 하는 상황..

오리지날은 비아그라.. 제네릭은 일나그라, 자하자, 그날엔포르테 등등... 얼마전에 비아그라 특허가 풀렸죠.

이에 반해 국내에서 순수하게 개발되서 임상시험을 통과한 국산신약은 200개도 안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치명적인 부작용 없이 수차례/장기간의 임상테스트를 통과하기가 쉽지 않나봐요.
위 액수를 봐서 알듯이 투자비용이 압도적입니다. 저걸 감당할 수 있는 국내회사는 삼성전자 밖에 없죠..
도로시-Mk2
13/11/12 15:28
수정 아이콘
10위...좋은 회사다...

저기 주식 얼마요? 내가..내가 사겟소!!
srwmania
13/11/12 15:29
수정 아이콘
9위가 더 좋은 회사입니다. 그걸 만든 회사니까요.
힘세그라 굳세그라 크지그라!! (...)
도로시-Mk2
13/11/12 15:31
수정 아이콘
역시...좋은 기업은 다 이유가 있었소...
13/11/12 15:43
수정 아이콘
삼성이 1조 5천억원 정도 차이로 2등이군요..
그러고 보면 삼성이라는 회사 기술적으로는 참 대단한 회사인거 같습니다.
쿨 그레이
13/11/12 16:02
수정 아이콘
삼숭이 저렇게나 연구비를 많이 쓸 줄은 몰랐네요.
공밀레... 공밀레...
yurilike
13/11/12 16:04
수정 아이콘
삼성이 연구비를 많이 쓰는것은 일타쌍피죠.
걸스데이
13/11/12 16:21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가까운 곳에 있는 Novartis 에 이력서 넣었는데 설마 이런 대기업이었다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673 [일반] 포퓰리즘에 대한 생각 [9] 요정 칼괴기4037 13/11/12 4037 4
47672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 기업 Top10 [9] 김치찌개4998 13/11/12 4998 0
47671 [일반] 라면 먹고 와서 쓰는 라면 이야기. [75] 화잇밀크러버7045 13/11/12 7045 6
47670 [일반] 저는 당당합니다. [18] 당근매니아4624 13/11/12 4624 8
47669 [일반] 할머니, 안녕히 계세요 다음에 또 올게요.jpg [3] 김치찌개3867 13/11/12 3867 1
47668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막강한 50세 이하 젊은 인물 Top10 [9] 김치찌개4455 13/11/12 4455 0
47667 [일반] 한국인, "비정상적으로 마른체형을 극단적으로 선호" [42] 김치찌개7264 13/11/12 7264 0
47666 [일반]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이유, 말하기 싫은 이유. [348] 삭제됨8656 13/11/12 8656 13
47665 [일반] [중독 예방ㆍ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일명 신의진법)]의 문제점과 근거자료의 오류, 그리고 제 의견 [25] 클리스4840 13/11/12 4840 1
47664 [일반] 한국의 조직문화, 회식문화에 환멸을 느낍니다. [64] 송파사랑11285 13/11/12 11285 4
47663 [일반] 계속되는 연예계 사건사고는 정말 정치계 가리기인가? [147] 김신욱8742 13/11/12 8742 2
47662 [일반] 응답하라 2002 [32] Duvet7545 13/11/12 7545 0
47661 [일반] 현 여당의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 "환생경제" [50] 곰주5422 13/11/12 5422 2
47660 [일반] 대학가에도 피바람(?)이 불어 닥치나? [39] Neandertal8306 13/11/12 8306 2
47659 [일반] 잤냐 [45] 삭제됨7269 13/11/12 7269 0
47658 [일반] 응사를 보다가 되돌아보는 1994년.. [87] OrBef9101 13/11/12 9101 1
47657 [일반] 오늘까지 프로야구 fa 썰 정리. [112] 일체유심조9656 13/11/12 9656 0
47656 [일반] (연재) 14살차이 여고딩 얘기 11 [43] AraTa_Higgs8451 13/11/12 8451 4
47655 [일반] 이번 분기 애니메이션 노래중에 가장 귀에 들어오는 곡 [5] 투투피치4551 13/11/12 4551 0
47654 [일반] 11월 1주차 스맛폰 판매량 Top10 [64] B와D사이의C7890 13/11/11 7890 1
47653 [일반] 영국 출신 듣보잡 가수 제임스 블런트 [16] Neandertal9187 13/11/11 9187 1
47652 [일반] 난, 오늘도 여전히 행복하고 설레는 내일을 기다린다.Jpg [3] 김치찌개3446 13/11/11 3446 3
47651 [일반] 싸이월드에서 샀던 국내 노래 10곡이요. [12] 4207 13/11/11 42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