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0/09 22:27:48
Name ofbyfor
Subject [일반] 늦었지만... 한글날 기념으로 지금은 안쓰는 순 우리말~
미르 : 용 의 순수 우리말

푸르미르 : 청룡의 순수 우리말

미리내 : 은하수 의 우리말

커리쉴하프 : 마을수장의 전쟁도구장비들

온새미로 :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시나브로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가람 : 강의 우리말

해류뭄해리 : 가뭄후에 오는 시원한빗줄기.

그린비 : 그리운 남자라는뜻의 우리말

그린내 : 연인의 우리말

아라 : 바다의 우리말

마루 : 하늘의 우리말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어라연히프제 : 치마를입고 화살쏘는여성들

가온누리 :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가시버시 :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예그리나 : 사랑하는 우리사이

비나리 : '축복의 말'의 우리말

한울 : 우주

길가온 : 길 가운데

꽃가람 : 꽃이 있는 강 (가람 : 강의 우리말)

늘솔길 :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윤슬 :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듀륏체리: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자식

물비늘 : 잔잔한 물결이 햇살 따위에 비치는 모양

타니 : 귀걸이

나린 : 하늘이 내린

아리아 : 요정의 우리말

수피아: 숲의 요정

푸실 : 풀이 우거진 마을

달보드레하다 : 연하고 달콤하다

아토 : 선물

까미 :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꼬두람이 : 맨 꼬리 또는 막내

희나리 : 마른장작 의 우리말

단미 : 달콤한 여자, 사랑스러운 여자

물마 :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휘들램 :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헤윰 : 생각을 뜻하는 우리말

라온하제 : 즐거운 내일를 뜻하는 우리말 (라온 : '즐거운' 이라는 순 우리말)

라온제나 : 기쁜 우리

라온힐조 :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 : '이른 아침'의 순 우리말)

안다미로 : [부사]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에멜무지로 :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꽃잠 : 신혼부부의 첫날밤을 이르는 우리말

사나래 : 천사의 날개를 뜻하는 우리말

나르샤 : 날아 오르다를 뜻하는 우리말

베리, 벼리 : 벼루

흐노니 : 누군가를 굉장히 그리워 하는것

노고지리 : 종달새

아미 : 눈썹과 눈썹사이(=미간)

이든 : 착한, 어진

이내 : 저녁나절에 어르스름한 기운

너울 :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너비 : 널리

온누리 : 온세상

아사 : 아침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말이어서 현재일본어(아사=일어로아침) 와 뜻이같습니다
흥미롭네요 ^^;...)

하제 : 내일

아스라이 : 아득히, 흐릿한

슈룹 : 지금은 사라져버린 우산의 옛말

가라사니 : 사물을 판단할 수 있는 지각이나 실마리

초아 : 초처럼 자신을 태워 세상을 비추는 사람

하나린 : 하늘에서 어질게 살기를 바람.

하야로비 : 해오라기.

맨드라미 : 흔히 알고 있는 식물. 순 우리말이다.

꼬리별 : 혜성

별찌 : 유성

그루잠 : 깨었다가 다시 든 잠

옛살비 : 고향

다흰 : 흰 눈꽃같이, 세상을 다 희게 하는 사람

다원 : 모두 다 원하는, 모두 다 사랑하는 사람

바오 : 보기 좋게.

은가람 : 은은히 흐르는 강(가람)을 줄여 만듦.

은가비 : 은은한 가운데 빛을 발하라.

파니 : 아무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양.

퍼르퍼르 : 가벼운 물체가 가볍게 날리는 모양.

포롱거리다 : 작은 새가 가볍게 날아오르는 소리.

늘해랑 :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강한 사람

나릿물 : 냇물

타래 :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도담도담 : (어린아이 등이) 별탈없이 잘 자라는 모습

올리사랑 :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또는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사랑

벗 : 친구의 순수 우리말

도래솔 :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한울 : 한은 바른, 진실한, 가득하다는 뜻이고 울은 울타리 우리 터전의 의미

비마중 : 비를 나가 맞이하는 일

서리서리 :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여우비 :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하람 : 꿈의 뜻,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가론 :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맛조이 :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아름드리 : 한 아람이 넘는 큰 나무나 물건 또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것

아련하다 : 보기에 부드러우며 가냘프고 약하다

도투락 : 어린아이 머리댕기

우수리 :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가우리 : 고구려(중앙)

구다라 : 백제(큰 나라)

미쁘다 : 진실하다

아띠 : 친구

새라 : 새롭다

다솜 : 애틋한 사랑

다소다 :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소니 : 사랑하는 사람

난이 : 공주의 순수한 우리말

는개 : 안개비와 이슬비 사이의 가는 비

늦마 : 늦은 장마 비

샘바리 : 어떠한 일에 샘이 많아 안달하는 마음이 강한 사람
'바리'는 어떤 한 분야에 집중적인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우리말.예)악바리, 군바리

마소두래기 : 말(言)을 이곳저곳 옮겨 퍼뜨리는 것

산돌림 : 옮겨 다니면서 내리는 비(소나기)

호드기 : 버들피리. 사투리로 호들기(소설'동백꽃')

볼우물 : 보조개를 뜻함

여우별 : 궂은 날 잠깐 났다가 숨는 별

매지구름 :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아람 : 탐스러운 가을 햇살을 받아서 저절로 충분히 익어 벌어 진 그 과실

아람치 : 자기의 차지가 된 것

느루 : 한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꼬꼬지 : 아주 오랜 옛날.

겨르로이 : [옛] 한가로이, 겨를 있게.

눈바래기 :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애오라지 : 마음에 부족하나마, 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미쁘다 : 진실하다

그미 : 그 여자.

숯 : 신선한 힘

즈믄 : 천(1000)

온 : 백(100)

소담하다 : 생김새가 탐스럽다

마닐마닐 : 음식이 씹어먹기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

산다라 : 굳세고 꾿꾿하다
(신라 김유신 장군의 순 우리말 아명)

하슬라 : 강릉의 순 우리말

고타야 : 안동의 순 우리말

아라가야 : 함안의 순 우리말

새, 하, 마, 노 : 순서대로 동,서,남,북의 우리말

부라퀴 :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덤비는 사람

핫어미 : 유부녀의 우리말

핫아비 : 유부남의 우리말

아리수 : 한강의 우리

한 별 : 크고 밝은 별

샛 별 :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빛나는 금성을 이르는 말

닻 별 : 별자리 중에서 '카시오페아'를 달리 이르는 말

꽃샘바람 :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 바람

소소리바람 : 이른 봄에 살 속으로 기어드는 차고 음산한 바람

돌개바람 : 회오리 바람

섬서하다 : 지내는 사이가 서먹서먹하다

산돌림 : 옮겨다니며 한줄기씩 내리는 소나기

사시랑이 : 가늘고 힘없는 사람

사부랑사부랑 : 물건을 느슨하게 묶거나 쌓아놓은 모양

앙짜 : 앳되게 점잔을 빼는 짓

옴니암니 : 아주 자질구레한 것 (예 : 그렇게 옴니암니 따지지 말게)

모꼬지 :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오비다 : 좁은 틈이나 구멍속을 갉아내거나 도려내다

나비잠 : 갓난 아이가 두팔을 머리위로 벌리고 편히 자는 잠

집알이 : 새 집 또는 이사한 집을 인사차 찾아보는 일

건잠머리 : 일을 시킬 때에 방법을 일러주고 도구를 챙겨주는 일
(예 : 그는 건잠머리가 있으니 잘 가르쳐 줄게다)

하늬바람 : 서풍

북새바람, 됫바람, 된 바람 : 북풍

마파람, 앞바람 : 남풍

자귀 : 짐승의 발자국

다님길 : 사람이 다니는 길

도닐다 : 가장자리를 빙빙 돌아다니다

소마 : 오줌을 점잖게 이르는 말

고수머리 : 곱슬머리

하마하마 : 어떤 기회가 계속 닥쳐오는 모양, 어떤 기회를 마음조이며 기다리는 모양

----------------------------------------------------------------------------------------
처음 올려보는데 뭔가 문제가 있으면 삭제하겠습니다....

출처는 어디서 퍼왔는지 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그냥 컴퓨터에 저장되있던거라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위원장
12/10/09 22:28
수정 아이콘
제가 꽤 쓰는게 몇개 보이는 군요.
하카세
12/10/09 22:36
수정 아이콘
예쁜말들 많네요. 닉네임 변경기간에 알았으면 바꾸고 싶은게 몇개 보이는데 흐흐
12/10/09 22:39
수정 아이콘
다솜이가 죠기 있네요~
홍삼먹는남자
12/10/09 22:39
수정 아이콘
딸을 낳으면 '초아'라고 지어야겠어요.
12/10/09 22:44
수정 아이콘
노고지리는 한자어 인 줄 알았는데 종달새라는 뜻이였군요

너무진하지않은 향기를 담고~~
인생은금물
12/10/09 22:46
수정 아이콘
커리쉴하프 : 마을수장의 전쟁도구장비들
은 뭐죠;;

저것도 우리말이란건가요?; 무슨 게임 아이템 이름 같은데 ..;;
먹고살기힘들다
12/10/09 22:47
수정 아이콘
게임관련해서 종종 보던 단어들도 있네요.

그리고 특정 단어에서 빵 터졌습니다.
늘푸른솔솔솔솔
12/10/09 22:53
수정 아이콘
하람이 예전부터 있던 단어인가요?
특정종교 사람들이 최근에 쓰기 시작한 단어가 아니구요?
하람 하랑 하선 하율 등등
송화경
12/10/09 22:53
수정 아이콘
커리쉴하프...이건 뭐 어느나라 말인지. 조금 검색해보면 반박글이 나오더군요. http://jersuji.tistory.com/74

개인적으로 순 우리말로 이름 짓는 풍토가 정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공안9과
12/10/09 23:08
수정 아이콘
취지는 공감하는데 수 많은 80년대생 '보람, 아람'이들의 예에서 볼 수 있듯, pool(?)이 훨씬 더 다양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임옥희
12/10/09 23:00
수정 아이콘
고타야가.. 안동의 순우리말이라니.. 고향인데도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풀빵군
12/10/09 23:07
수정 아이콘
호오, 꽤 잘 정리되어있네요. 가끔 보면서 되새길 겸 북마크 해 둡니다. 그리고 이런 글엔 추천.......하려 했으나 어째 다시 읽다보니 중간중간 함정들이.......?!
12/10/09 23:08
수정 아이콘
아닌게 엄청 많네요. 대충 검색해봐도
"해류뭄해리
그린내
가온길
어라연히프제
그린나래
예그리나
비나리 - 뜻이 상이함
한울 - 순우리말이 아니라 증산도 용어
길가온
꽃가람
늘솔길
듀륏체리
나린
아리아
수피아
아토
헤윰 - 헤엄"

이정도가 사전에도 없는 말입니다. 무슨 환타지 설정집에서 온 말들도 많이 보이구요. 라온은 맞지만 그 뒤에 라온제나 이런식으로 쓰지도 않았습니다. 잘못된 정보가 너무 많네요.
12/10/09 23:31
수정 아이콘
12/10/09 23:31
수정 아이콘
은가람처럼 단어를 합쳐 만든 경우는 대부분 만들어낸 말이네요.(가령 가장 첫번째의 푸르미르 이런 말은 딱 생각해봐도 푸르다에 미르 끼어맞춘 말이지요.) 일부 순우리말은 뜻이 없는, 그냥 순우리말일 뿐이고 저런 단어가 없는 경우도 있네요. 당장 따져봐도 사나래-천사의 날개란 말은 순우리말이면 있을 수가 없는 말이고요. 어라연히프제 같은 말은 출처조차 불투명하네요. 그리고 아미 같은 경우는 우리말이 아닙니다. 蛾眉, 한자어입니다.

예전에 이거 그대로 옮겨온 글이 너무 많이 퍼져서 일일이 찾아봤는데 아닌게 정말 많더군요.
자갈치
12/10/09 23:41
수정 아이콘
미르는 예전에 SK와이번스에서 심판에게 공 갖다주는 역할을 했던 개 이름이죠. 순 우리말인지 처음 알았습니다.
낭만토스
12/10/10 00:06
수정 아이콘
시나브로 쓰잖아요 주훈 감독님이 (?)
냉면과열무
12/10/10 00:3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출처도 정확하지 않은 글을... 흐음;;;;
항즐이
12/10/10 00:40
수정 아이콘
상당수가 잘못된 조어이거나 없는 말이네요. 출처가 불분명한 이런 목록은 좀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12/10/10 00:41
수정 아이콘
'아미'같이 흔하게 알려진 수준의 한자어도 있는 걸 보니 글의 다른 단어들도 신뢰가 안가네요.
게다가 잘 안쓰이는 순 우리말이라지만, 많이 쓰이는 말들도 많구요. '벗이라던가 타래라던가 샛별이라던가. 온 같은 경우도 100이라는 숫자의 의미로는 잘 안쓰이지만, 온누리니 온백성이니 모두를 뜻하는 뜻으로 계속 쓰여왔죠.
미르나 시나브로 미리내 같은 경우도 흔하게 알려진 경우고...
12/10/10 00:50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다음부턴 좀 더 확인하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셔 코단테
12/10/10 01:50
수정 아이콘
아닌게 많다 하더라도 틀린 부분에 대해서 많이 지적을 해 주셨고
개인적으로는 한글날 순우리말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12/10/10 02:12
수정 아이콘
나르나르 나르샤...
레지엔
12/10/10 08:16
수정 아이콘
돌고 돌아 여기까지 오네요. 대충 지어내도 사람들이 참 잘 속아줘요 의도만 그럴듯하게 해놓으면...
12/10/10 10:34
수정 아이콘
역시나 엔하위키에 잘 정리되어있네요 누군가 이런거 정리 해놓으면 좋겠다 싶은건 다 있어요 크크
12/10/10 12:54
수정 아이콘
마루치 아라치 기억나시는분?
마음속의빛
12/10/10 16:49
수정 아이콘
희나리 - 마른 장작?
오히려 반대 아닌가요? 제가 알기로 물에 젖은 장작이 아직 다 마르지 않은 상태의 장작으로 알고 있어요.

나는 가수다에서 희나리 곡을 듣고 궁금해서 검색했을 때 저런 뜻으로 표현되더군요.

약간 젖은 상태라 장작에 불을 피워도 쉽게 불이 붙지 않는 장작... 희나리 같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691 댓글잠금 [일반] 홍어, 운지 그리고 일베(혐오주의) [143] 엄배코11706 13/06/23 11706 3
44595 [일반] 누가 짝사랑이 아니라고 말해주세요. [17] 내맘이야4480 13/06/19 4480 0
44565 [일반] 간단한 영화 감상기 [25] 예바우드6131 13/06/17 6131 0
44284 [일반] [책 소개] 주기자 - 주진우의 정통 시사 활극 [10] DarkSide7907 13/06/05 7907 2
44221 [일반] 개그콘서트 "황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70] JunStyle10060 13/06/03 10060 0
44206 [일반] 꽃의 안드로이드 학원 [22] 순두부11133 13/06/02 11133 0
43809 [일반] PC방에서 만난 민주화 청년들 [372] 유유히9370 13/05/16 9370 3
43629 [일반] [단편] 어느 게임 마니아의 일상생활 [14] 트린6885 13/05/08 6885 2
43117 [일반] [소개] 뫼신사냥꾼 -윤현승 [22] par333k9638 13/04/10 9638 0
42609 [일반] 여대생과 카풀 체험후기 (part3.비상사태) [56] Eva01010430 13/03/08 10430 7
42438 [일반] 미지와의 조우 - 벨테브레와 하멜 [5] 눈시BBbr8529 13/02/25 8529 1
42426 [일반] [리뷰] 베를린(2013) - 한국형 첩보 영화의 미래를 말하다 (스포 있음) [82] Eternity13966 13/02/10 13966 5
42099 [일반] 바른 생활 [29] 헥스밤7480 13/02/03 7480 24
41882 [일반] 지고나서야 비로소 꽃인 줄을 알았다.-2 [10] 영혼5945 13/01/24 5945 1
41846 [일반] 펌 - (정보글) 지역드립과 관련된 총설 [144] 장어의심장7912 13/01/23 7912 5
41727 [일반] [리뷰] 박수건달 - 용두사미, 하지만 기본은 한다 (스포 있음) [13] Eternity6630 13/01/16 6630 0
41719 [일반] [펌] 지역감정에 대하여 -유시민- [59] Pray4u8581 13/01/16 8581 2
41237 [일반] 개인적으로 꼽는 올해의 드라마 세편 그리고 대사 [60] classic7639 12/12/24 7639 0
41235 [일반] 난 한 게 없었다 [19] 눈시BBbr7842 12/12/24 7842 1
40418 [일반] 두 사람 이야기 - 앞에 서거나 뒤에 서거나 [6] 글곰3644 12/11/16 3644 4
40354 [일반] 원효상가에서 돌아오며 [18] 항즐이5790 12/11/14 5790 0
39970 [일반] 고쳤으면 하는, 개인적으로 신경쓰이는 국어습관. [91] 곰주6092 12/10/29 6092 0
39591 [일반] 늦었지만... 한글날 기념으로 지금은 안쓰는 순 우리말~ [33] ofbyfor10723 12/10/09 1072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