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8/27 15:36:27
Name 블레이드
Subject [일반] 알기쉬운 보험이야기 (1) 초기 모델
안녕하세요. 눈팅회원입니다.

그냥 요새 PGR자게에 유익한 글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자신도 뭔가 기여를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몇자 적어보려고 합니다.

제목에서 눈치채셨겠지만 저는 보험업계에서 일하고 있고, 사무실의 신입사원을 받을때마다 보험의 기초에 대해 교육을 시켰던 내용이 있어서

조금 공유를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보험이라는 것이 알면서도 모르겠고, 가까우면서도 멀게 느껴지는 그런 존재니까요..

하지만 저 역시도 업무에 치이는 일개 직장인이라 자주 올리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틈틈히 시간나는대로 올려보도록 할테니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저 역시도 잘못알고있는 부분이 많이 있을 테니, 여러분들의 과감한 지적 및 오류 수정이 글을 더욱 완성도 있게 해주리라 믿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
(이해를 돕기위해 예로 들 마을을 하나 가정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아주 극단적인 단순화를 통해 변수를 제거한 상태에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후 이 모델을 점점 더 확장키면서 깊이 있게 가보려고 합니다.)

<<모델 세팅>>

* 어느 한 마을이 있습니다.
1) 그 마을의 인구는 1천명입니다.
2)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이 암이 발병하고, 죽습니다.
3)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의 신생아가 태어납니다. (즉 인구는 유지됩니다.)

1. 초기 모델

이 마을 사람들은 암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가족을 위해 일종의 기금을 마련하기로 결정합니다. 그래서 암으로 인해 죽은 사람의 가족에게 1천2백만원의 금액을 지급하기로 합니다. 그 재원은 마을 구성원 각자가 매년 1만2천원씩 걷어서 그 돈으로 만들기로 합니다. 즉, 한달에 천원씩 모아서 그 기금으로 매년 1명씩 발생하는 환자에게 지급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돈의 관리는 이장 A씨가 하기로 합니다.

이것이 보험의 기본 원리입니다. 사실 이런 식의 "상호부조" 시스템은 꼭 보험이 아니더라도 우리 사회 곳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모델 세팅>>

* 어느 한 마을이 있습니다.
1) 그 마을의 인구는 1천명입니다.
2)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이 암이 발병하고, 죽습니다.
3)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의 신생아가 태어납니다. (즉 인구는 유지됩니다.)
4) 이 마을에서는 2)의 환자를 위해 각 구성원이 매달 1천원씩 모아서 2)의 환자가 발생할 때마다 금액 1천2백만원을 지급하기로 합니다.
5) 그 기금의 모집 및 지급, 제반 관리를 마을 이장 A 씨가 수고해주기로 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A씨가 불만이 생깁니다. '나는 내 본래 일과 이장 업무를 보는 것만으로도 벅찬데 기금 관리까지 하다니 이건 불공평하다.' 이런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A씨는 이 기금관리를 자신의 놀고있는 백수 조카 B씨에게 전담을 해버립니다.

갑자기 일이 생겨 신이난 B씨는 처음에는 열심히 일을 했습니다. 납부가 빠진 사람들을 일일히 확인해서 찾아가 돈을 받아내기도 하고, 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가정에 가서 위로와 함께 금액을 전달하기도 하고...

그런데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무보수로 일하기가 너무 힘이 드는 것입니다. 찾아가는 교통비나 전화비도 만만치 않은 것이지요. 결국 버티다 못한 B씨는 "나 일 못하겠소!" 하면서 드러누워버립니다.

갑자기 기금 업무가 마비가 되자 마을 전체는 비상사태에 빠집니다. 결국 마을 회의에서 "기금 관리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B씨에게 최소한의 비용을 지급하는 것으로 하자."는 결정을 내리고, 그 금액은 각 사람에게서 받는 금액의 20%로 하기로 합니다.

즉, 마을 주민 1인당 매년 내는 금액은 "기금"용 1만2천원, B씨의 업무수수료 2,400원(12,000 X 20%) 합쳐서 14,400원입니다. (매달 1,200원씩)

자, 이렇게 없던 직장이 생긴 B씨는 다시금 열심히 업무를 수행하기 시작합니다. 물론 B씨의 연봉은 240만원입니다. (업무수수로 2,400원 X 마을주민 1,000명)


<<모델 세팅>>

* 어느 한 마을이 있습니다.
1) 그 마을의 인구는 1천명입니다.
2)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이 암이 발병하고, 죽습니다.
3) 이 마을에서는 매년 1명의 신생아가 태어납니다. (즉 인구는 유지됩니다.)
4) 이 마을에서는 2)의 환자를 위해 각 구성원이 매달 1천원씩 모아서 2)의 환자가 발생할 때마다 금액 1천2백만원을 지급하기로 합니다.
5-수정) 그 기금의 모집 및 지급, 제반 관리를 B씨가 전담해주기로 합니다.
6) B씨의 수수료는 납입금액의 20%로 합니다.

------
전문용어로 4)의 금액을 "위험보험료", 6)의 금액을 "사업비"라고 합니다.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순찰자
12/08/27 15:42
수정 아이콘
이해가 잘 되네요.연재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판매원
12/08/27 15:44
수정 아이콘
재미있을 것 같아요~~~
파란무테
12/08/27 15:49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알기 쉽네요^^ 기대됩니다.
오줌똥토
12/08/27 15:50
수정 아이콘
사무실에서 졸고 있다가 번뜩 깼습니다. 기대 되네요 ^^
청바지
12/08/27 16:22
수정 아이콘
1억2천만원이 아니라 천2백만원이겠죠? 잘 읽었습니다.
12/08/27 16:38
수정 아이콘
연재 기대할게요!!
12/08/27 16:48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봤습니다. 사실 사람들은 기금운용자의 보수보다 설계사가 가져가는 뻥튀기 비용에 더 큰 관심을 갖습니다.
또 우리가 오프라인으로 보험을 드는 이유중 하나가 보험사고 발생시 설계사와의 인맥으로 조금이라도 보험금을 더 타먹자는 의도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을 해줘야할 분들은 조금만 지나보면 직업을 그만두고 어딘가에서 치킨집을 한다던가 혹은 건강보조식품을 팔고 있습니다.
우리네 어머니들 얘기죠.
나중에 여력이 되시면 이런 뒷얘기도 부탁드립니다.
보험얘기 들으니 5년전인가 변액보험 갖고 사기치던 직장선배가 생각나네요.
Neandertal
12/08/27 16:50
수정 아이콘
재미있고 유익한 글 기대하겠습니다...^^
12/08/27 21:0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864 [일반] 알기쉬운 보험이야기 (2) 가격의 결정 [17] 블레이드4369 12/08/27 4369 1
38863 [일반] [해축] 월요일의 BBC 가십... [37] pioren4108 12/08/27 4108 0
38861 [일반] 알기쉬운 보험이야기 (1) 초기 모델 [11] 블레이드4684 12/08/27 4684 3
38860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26] k`6942 12/08/27 6942 1
38859 [일반] "피지알씨 직장 가다." 제1편 잃어버린 알바비여...... [13] 터치터치4910 12/08/27 4910 2
38858 [일반]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무효표 논란은 비문주자의 억지로 밝혀졌네요. [26] 타테시5327 12/08/27 5327 1
38856 [일반] [해축] 이청용 위건과 링크 떳네요. [53] 어리버리6606 12/08/27 6606 0
38855 [일반] 칠종칠금(3) 태풍이 불기 직전 [6] 후추통7072 12/08/27 7072 3
38853 [일반] 두 명의 암스트롱 [13] cheme8684 12/08/27 8684 0
38852 [일반] [음악] GD 솔로 앨범을 듣고 찾아본 'GD&TOP' 의 음악들 [12] 잭윌셔4394 12/08/27 4394 0
38851 [일반] 두번째 강등과 복구 [30] 헬리제의우울6789 12/08/27 6789 4
38850 [일반] [슈스케] 천재 뮤지션의 탄생? 인터넷에서 화제되고 있는 김훈씨 [33] Alan_Baxter8262 12/08/27 8262 0
38849 [일반] [영화공간] 가슴 찡한 한국영화 속 명장면 17선 [76] Eternity22103 12/08/27 22103 1
38848 [일반] 일요일, 9시의 무거운 달빛 아래서의 후추통 [7] 후추통4124 12/08/26 4124 0
38847 [일반] [공지] 건의 게시판 신설 안내 [23] Toby3602 12/08/26 3602 1
38846 [일반] [국축] K리그 정규리그가 끝났습니다. 이제부터 스플릿 입니다.(30R 관중수 추가) [39] ㈜스틸야드4368 12/08/26 4368 1
38845 [일반] 푸른 피의 에이스!!! [29] Charles8717 12/08/26 8717 0
38844 [일반] 총기 소유의 자유는 과연 보호되어야 하는가? [62] bachistar7102 12/08/26 7102 1
38843 [일반] [해축] 일요일의 BBC 가십... [18] 반니스텔루이4632 12/08/26 4632 0
38842 [일반] [영화공간] 2012년, 가장 주목해야 할 조연 배우 7인 [43] Eternity9489 12/08/26 9489 1
38841 [일반] 지능 연구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깊은 지식을 얻을 수 있나? [47] TimeLord6665 12/08/26 6665 0
38840 [일반] 내일드디어군대를 갑니다! [34] Cherish3457 12/08/26 3457 2
38839 [일반] 낙동강 - 5. 낙동강 돌출부 [14] 눈시BBver.26248 12/08/26 6248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