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20 07:59
질게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 운영자 멍충이님께서 열심히 수정하고 계십니다만..
아직까지 원인파악이 어려워서 고생하고 계십니다. https://pgr21.co.kr/?b=10&n=127976 https://pgr21.co.kr/?b=10&n=128143 https://pgr21.co.kr/?b=10&n=128374 https://pgr21.co.kr/?b=9&n=139764 https://pgr21.co.kr/?b=9&n=140126
12/07/20 08:50
저 현상이 계속 되고, 안전모드서 백신(V3 Lite)를 돌려도 안되서, 결국 컴퓨터 맡겼었지요. ㅜㅜ 데이터 보존한다고 만원 더 떼가고...
흠;
12/07/20 08:59
안녕하세요? 멍충이 입니다.
먼저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현재 pgr 내에 삽입되어 있는 구글 광고를 뺐습니다. 구글 광고와 관련되어 있는지는 확실치 않습니다만, 모든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확인중에 있어요..
12/07/20 09:01
제 pc에서의 현상을 말씀드리면 메인 화면에서 보여지는 게시판 카테고리에서 글 목록중 최신 글을 클릭하면 아바스트가 감지하여 정지 시킵니다. 하지만 동일한 글을 일단 게시판을 선택해서 들어간 다음에 전체 게시판 글 목록을 표시한후 클릭하면 그러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동 조건이 메인화면에서 글을 직접 클릭하는 경우인 것 같습니다. 참조하십시오.
12/07/20 09:04
혹시 접속장소 혹은 ip에 따라서 트로이목마 감지와 연관이 있을 수 있나요?
일단 다른분들과 다를수도 있으니까요, 저는 미국에 있는데 아직까지 트로이목마 감지는 없었습니다.
12/07/20 10:51
1. 유게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어떤 게시판이든 가능한 것 같습니다.
2. pdf와 관련된 무엇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3. 유독 I.E에서 그럽니다. 6은 자주 그러고 8은 한번, 크롬은 납치당한 적이 없습니다.
12/07/20 11:21
집에서는 안그러는데 게임방에서 접속하면 꼭 납치되더라구요ㅠ
저는 pgr메인 화면에서 맨위 '게시판' 위에 커서 올려서 밑에 게시판들 목록 나오면 그걸 찍어서 들어갑니다.
12/07/20 11:46
운영자분들께서 고생하시네요. 하필 고약한 놈이 걸려가지고.... ㅠ-ㅠ
이번 악성코드 유포는 블랙홀이라고 굉장히 유명한 취약점 공격 세트 도구를 이용한 것입니다. 사용하는 취약점이 한 두개가 아닙니다. 윈도우와 IE, adobe pdf viewer, adobe flash player, java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혹은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사용합니다. 윈도우와 위의 프로그램들을 모두 최신으로 업데이트를 하셔야 감염을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관공서나 공공기업 다니시는 분들은 한글 오피스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도 반드시 해야하구요... pgr을 비롯한 이런 저런 사이트에 접속하셨다가 감염되셔서 국내외 보안 제품이 꺼지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는 분들은 pc 관리에 조금 더 신경을 쓰셔야합니다.
12/07/20 13:01
집은 윈7 얼티 64비트 익스는 9버젼을 쓰는데 증상이 한번도 안나탔었습니다.
오늘 외부 나와서 잠깐 게임방에서 접속을 해봤더니 증상이 나왔네요. 제가 모 잘못 눌렀나 했습니다. 여기는 윈도우 xp 익스는 8버젼을 쓰네요.
12/07/20 13:43
윈도우 7/IE/pdf viewer/flash player/java를 전부 최신버전으로 유지중인데 한번도 그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오피스 프로그램 계열도 전부 최신버전이구요. 지금 언급한 프로그램들은 게임 하시는 분들이라면 해킹 방지 목적에서라도 전부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전 백신을 v3 platinum 을 쓰고 있지만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네요.
12/07/20 15:16
물여우님이 지적하신데로 이번 공격은 사용하시는 PC에 깔려있는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입니다. 특히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많이 이용하는데 PC방 같은 곳은 이런 업데이트가 잘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요 감염대상이 되는 것이죠. 집에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OS, Browser, Adobe 제품군류 등의 제품 업데이트를 꼭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보안 제품은 국산 제품은 비추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바이러스, 맬웨어, PUP 등이 엄청나게 발견되는데 국내 회사들은 규모가 작아 그런 바이러스, 맬웨어, PUP 샘플들 수집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https://www.virustotal.com/ 이라고 보안 업계의 사람들이 공조하는 무료 커뮤니티가 있는데 여기에 무료로 바이러스, 맬웨어, URL 스캐너가 제공되니 참고하시구요.
12/07/20 19:43
저도 이거 때문에 한 참 고생하다가 악성 바이러스 감염이 되서 결국 거금 3만원이나 주고 포맷을 했답니다.T_T
그래도 끊을 수 없는 PGR, 너란 여석 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