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29 16:58:11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태평양 전쟁 - 18. 과달카날 해전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시BBver.2
12/04/29 17:03
수정 아이콘
그런 가운데서도 일본 육군은 과달카날을 포기하지 않아 남방을 맡는 17군에서 병력을 떼 과달카날만 전담하는 18군을 만듭니다. 그래봐야 과달카날의 상황은 변하지 않습니다. 라바울에 아무리 많은 물자를 쌓아 놔도 과달카날로 전달되지 않으면 끝이었죠. 해군은 계속 발을 빼고 싶어하면서도 포기할 수 없어서 수송 작전을 계속했는데, 구축함의 피해가 늘어나자 아예 잠수함으로 바꿉니다. 하지만 잠수함이 수송할 수 있는 건 더 적었고, 양륙을 위해 부상하는 틈을 타 미군의 어뢰정이 달려들었죠. 나중에는 어뢰에 폭탄 대신 보급품을 넣어서 발사하는 형식이었지만 달라질 건 없었습니다.

42년이 끝나면서 미군의 승리는 뚜렷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미군은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지 않습니다. 그 동안 고생한 해병 1사단을 후방으로 보내고 병력을 교체하려 했죠. 12월까지 1사단은 전사 및 실종 681명, 부상 1278명 등 총 1959명의 사상자를 기록합니다. 철수 당시에도 말리라아 감염율은 무려 75%였죠. 이들에게 필요한 건 휴식이었습니다.

"먹을 게 좋아졌으니 우리는 쫓겨나겠구만" - 과달카날 다이어리

어려운 상륙전을 도맡아 하고 보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싸워야 하는 해병대에게는 보급이 좋아진 건 곧 자기들은 다른 데로 간다는 걸 뜻 했죠. (...) 이렇게 헨더슨 비행장을 끝까지 사수하며 큰 공을 세운 해병 1사단은 호주로 떠납니다. 전쟁은 이제 시작이었고 훈련과 실전으로 상륙전의 최고 정예가 된 그들이 할 일은 아직 많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들을 이끈 반데그리프트 소장은 명예훈장을 받았고, 해병 1사단은 미군 사단 중 처음으로 사단 고유의 표식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과달카날 해전이 벌어졌던 42년 11월은 태평양 전쟁의 분수령이었습니다. 맥아더는 뉴기니아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북아프리카에서도 미군이 상륙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는 소련군의 반격이 시작됐을 때였죠. 처칠은 그 때를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시작의 끝(the end of the begining)"

다음 편으로 과달카날 해전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12/04/29 17:20
수정 아이콘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간단히 읽기만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감사 인사는 드려야 할 것 같아서 :)
12/04/29 17:27
수정 아이콘
후아 재밌네요. 1사단 마크에는 과달카날이라고 씌여 있을 정도니 1사단이 과달카날에서 한 일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겠네요.
12/04/29 18:19
수정 아이콘
원츄 머겅, 두번 머겅
사티레브
12/04/29 18:28
수정 아이콘
오늘 껀 한번 완독으론 제가알고있는거하고 매칭하기도 벅찬듯
항상 감사해요
오크의심장
12/04/29 19:51
수정 아이콘
이거 더 퍼시픽에서 본 해전이네요.
포프의대모험
12/04/29 21:38
수정 아이콘
진짜 일본도 대단하긴 하네요 ㅡㅡ; 돌격 안했다고 공적을 깎는 엉망진창인 수뇌부를 갖고서 근대화 수십년만에 세계최강이랑 맞짱을 떴으니
12/04/29 22:55
수정 아이콘
감사히 봤습니다.
불곰드랍
12/04/30 00:27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태평양전쟁은 우리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쟁임에도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느낌인데 눈시님 덕분에 알게되서 정말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Je ne sais quoi
12/04/30 05:59
수정 아이콘
일본의 힘이란게 정말 만만치가 않았군요. 하나라도 삐끗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끔찍하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017 [일반] 독점 KTX에서 벗어난, 저비용 KTX의 이름을 공모합니다..... [84] 마르키아르7425 12/04/30 7425 0
37016 [일반] [야구] 클래스를 입증하고 있는 KBO투타 복귀(및 데뷔?)생들 [35] 슬러거7091 12/04/30 7091 0
37015 [일반] 새누리당은 대선경쟁, 민주통합당은 담합타령 [21] 타테시5276 12/04/30 5276 0
37014 [일반] 배틀크루저, 전함도 순양함도 아닌 [51] 눈시BBver.212644 12/04/30 12644 2
37013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32] k`6461 12/04/30 6461 0
37012 [일반] [리버풀] 달글리시의 '탈'영연방 영입 움직임이 보입니다 [30] 리신OP5072 12/04/30 5072 0
37011 [일반] 디씨에서 퍼왔습니다~<중국의 미래와 현실> [50] MeineLiebe12714 12/04/30 12714 0
37010 [일반] 태평양 전쟁 - 19. 시작의 끝 [10] 삭제됨7449 12/04/30 7449 1
37009 [일반] 태티서 Twinkle... 나름 분석과 잉여짓 [8] rossa7209 12/04/30 7209 1
37007 [일반] 제가 참여한 웹진 '미스터리 매거진' 4월호가 발간되었습니다. [9] VKRKO 4349 12/04/30 4349 0
37006 [일반] 2달 반만에 '나는 가수다'가 돌아왔습니다. [90] claud779597 12/04/29 9597 0
37005 [일반] 정말이지, 첫 정이란 무섭습니다. [7] 레이드7032 12/04/29 7032 0
37003 [일반] K팝스타가 끝이났습니다^^ [30] C.K5698 12/04/29 5698 0
37001 [일반] [야구] 2012 팔도 프로야구 4월 총 정리 [81] 강한구6501 12/04/29 6501 1
37000 [일반] 태평양 전쟁 - 18. 과달카날 해전 [17] 삭제됨5653 12/04/29 5653 5
36999 [일반] 삼년산성 답사 다녀왔습니다. [4] 자이체프3298 12/04/29 3298 0
36998 [일반] 여러분들은 지금의 결혼문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16] empier8668 12/04/29 8668 0
36997 [일반] (매우 슬픈 동영상입니다. 특히 자식을 둔분들 한테) 우리모두 항시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한다. [23] 여기웃겨7460 12/04/29 7460 0
36995 [일반] 칭찬의 역효과.jpg [18] 김치찌개10423 12/04/29 10423 2
36994 [일반] , [35] 삭제됨4731 12/04/29 4731 0
36992 [일반] 대한민국 제2의도시 부산의 위엄 [41] 김치찌개8282 12/04/29 8282 0
36991 [일반] 나는 버스커 버스커가 싫다 [69] 리니시아10447 12/04/28 10447 3
36990 [일반] 사랑 하고 싶네요 ... [18] 메롱약오르징까꿍4514 12/04/28 451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