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3/12 05:46:23
Name 눈시BBver.2
Subject [일반] 표준어로 옮기기 참 애매한 부산사투리 몇 개
https://pgr21.co.kr/zboard4/zboard.php?id=freedom&page=1&sn1=&divpage=6&sn=off&ss=on&sc=on&keyword=사투리&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3814
이전에 썼던 부산 사투리 글.

... 쓰던 거 날렸습니다. 흙 orz;;; 뭐 절반 정도는 백업해 놨으니 괜찮지만 힘이 빠지네요.

그런 의미에서 _-)/ 심심해서 하나 써 봅니다. "부산" 사투리라 하는 이유는 경상도도 지역마다 참 다른 게 많아서죠. 경상도 다른 지역이든 아예 다른 지방에서도 쓰인다면 제보 부탁드립니다 _-)!

마 : 이건 야로 쉽게 번역이 되긴 합니다. 재밌는 건 이게 여기저기 응용된다는 거죠. 어릴 때 많이 불렀던 노래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마마마 자로 끝나는 말은~
임마 점마 우리집 고구마 훔쳐먹지 마~

... 재미 없나요? -_-a 여기 유게 아니잖아요.

임마(이놈아) 점마(저 놈) 금마(그 놈) 이런 식으로 쓰였죠. 임마는 상대에게 하는 말, 점마 금마는 3인칭 대명사죠. 표준어인 줄 알았는데 의외로 못 알아듣는 분이 많아서 우선 부산 사투리라고 생각하렵니다. 임마는 인마, 금마는 글마로 쓰는 사람도 있던데 이게 다른 지방에서 그렇게 쓰이는 건지는 모르겠네요.

윽(억)수로 : 어렸을 때는 "나쁜 말이니까 쓰지 마"라고 배웠던 말입니다. 그냥 많~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 ( - -)a 이거야 뭐 많이 알려졌죠. 은어라 생각하면 절라라든가 이런 걸로 떼울 수 있지만, 욕으로 쓰이진 않습니다.

천지빽가리 : 발음은 [천](강조)지빽↗까↘리입니다. 대충 아~주 많다는 정도의 뜻입니다. 천지라는 말이 있으니 그만큼 널리 있다 이런 저도겠죠. 사용 예입니다. 여기에 경상도 특유의 발음까지 섞여서 천이 츤과 츈 사이 정도의 발음으로 말 합니다.
"그런 생각 하는 애가 정말 많아" -> "그른 생각 하는 놈이 천지빽가리다 임마"

내나 : 대체 표준어로 뭘로 옮겨야 될 지 애매한 말입니다. 사용 예는 이렇습니다.
"내나 그서 그 아이가" -> "(  ) 거기서 거기잖아."
"내나 그 말 하는 거 아이가?" -> "(  ) 그거 말하는 거 맞지?
이렇게 하면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짐작 가시겠습니다만, 대체 여기에 어울리는 단어가 어디 있을까요? 발음할 땐 내↗나라고 합니다.

서른마흔다섯개 : ... 서울에선 안 쓰더라구요. 다른 지방 분들도 모르시더라구요. -_-a 다른 경상도 분들은 아시나요? 부산에서만 쓰이는 말 맞나요? 그냥 수를 얘기하는 척 하면서 웃으라고 쓰이는 농담입니다만.

좀 : 분명히 "조금"을 줄인 거겠는데 그 뜻을 훨씬 넘어서 쓰이죠. 전라도의 "거시기"가 참 많이 알려졌는데 거기에 대응할 정도의 말입니다. 표준어에 대비해 경상도 말의 축약에 크게 이바지하죠.
"야 좀!" -> 해석해 보세요.
"그런 거는 좀..." -> 이건 쉽게 해석이 되죠?
"그게 좀~ 그렇지" -> 여기선 "조금"이랑 대응되겠지만 이걸 "조금 그렇다"라고 생각하는 부산 사람은 없을 겁니다. 하지 말라는 거죠 (...) 경상도라고 직설적으로만 말하는 건 아닙니다.

보시다시피 부정적인 말을 축약할 때 많이 쓰입니다.

공구다 -> 갈구다... 정도겠죠? 이건 부산에서만 쓰이는 게 아닌 것 같군요. 사용 예
"니 공가삘라"

짭시리, 쨉시리, 짜비리, 야비리 : 비겁한 행위 뭐 이런 정도죠. 특히 게임할 때 많이 썼습니다. '-') 이응과 지읒이 공존하는 건 시옷과 이응이 그만큼 가깝다는 얘기겠죠. 사용 예입니다.
"니 짜비리 쓸래?"

쌔비다 : 훔치다입니다. 이건 번역하기 쉬운 거죠. 그리고 사투리라기보다는 부산 고딩끼리 쓰던 은어였던 거 같은데 "감다"로 하기도 했습니다. 사용 예입니다.
"그거 니가 쌔빈 거가?"
"이거 내가 감았다."

일단 생각나는 건 이 정도.

다음 시간에 만나요 _-)/ 아래는 다음 글 예고입니다.

[경상도가 말이 짧다는 것은 왜곡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12 06:45
수정 아이콘
'내나' 는 '그니까' '그러니까' 정도의 의미인가요?
용호동갈매기
12/03/12 06:50
수정 아이콘
저는 아래.. 아래께가 사투리인지 군대가서 처음알앗지요 흐흐..
가새. 가새로 (옆.옆으로) [m]
LionBlues
12/03/12 07:04
수정 아이콘
공구다라는 표현은 대게 괴다(사물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시키다.-네이버-)의 경상방언으로 쓰입니다.
예) 마! 저거 안넘어가게 벽돌하나 공가놔라.
봄바람
12/03/12 07:07
수정 아이콘
어릴때 가장 큰 충격은 언니야~ 오빠야~ 였습니다.

아니 어떻게 손 윗사람한테 야 라고 할 수가 있지!!! 대충격이었고

나이 좀 더 먹고 진짜 점마 금마 이거 뭔 말인지 못 알아들었어요.
12/03/12 07:15
수정 아이콘
내나는 어차피, 그래봤자 라는 의미죠
12/03/12 07:18
수정 아이콘
전 마산 거제 11년살고 서울산지는 9년정도되는데 서른마흔다섯개는 처음 들어보네요
나머지는 지금도 주로 쓰는 말이고 그외로 자주 쓰는말은 쌔빠지다 되죽겠다 섯나 정도 생각나네요..
12/03/12 07:26
수정 아이콘
아 재미지네요

각지역별로 다른분들도 정리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근데 서른마흔다섯개는 몇개인가요?
비소:D
12/03/12 07:32
수정 아이콘
좀 많은걸 뜻합니다
천지빼까리보다는 적고 몇개(맻개) 보다는 많다고 할수 있지요 크크크

대략 사오십개 정도 열손가락으로 꼽기에는 많고 엄청 많다고하기엔 좀 적고? 크크
fish of the season
12/03/12 07:32
수정 아이콘
부산사람으로서 제가 생각하는 "좀"은 4가지 정도의 유형이 있는 것 같습니다.
1. 아 좀!
2. 제발 좀!
3. 그건 좀..
4. 조금

1번을 제일 많이 사용할 겁니다. 강조와 닥달의 의미죠. 뭔가 빨리 재촉하는 뜻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ex>아 좀 빨리해라
2번같은 경우 1번과 비슷해보이나 조금 다릅니다. 1번이 재촉이라면 2번은 부탁의 뜻이죠.
ex>마 제발 좀 빌리도
사실 이렇게 형식상 구분지었을 뿐이지 실상 재촉과 부탁의 중의적 표현이 올바를 겁니다.
3번은 조금 아니다 의 축약어입니다.
ex>A: 마 오늘 야자 쨀래?
B: 그건 좀..
4번은 말 그대로 조금의 축약어입니다.
ex> 니 좀 마이 킀네~
이모 양 좀 많은데에~
비소:D
12/03/12 07:35
수정 아이콘
내나는 어차피?여기나 저기나? 이런건데 아 진짜 이건 좀 애매합니다
너나 나나 할때랑은 좀 또 달라요

거의 '내나(거기서 거기다)' 이렇게 많이 쓰는데 '대부분' + '어차피' 이런 느낌인것같네요

여튼 마~ 는 꼭 임마의 줄임말인건 아닙니다 꼭 알려드리고싶어서

아 경상남도에서 할머니들은 가위를 가새라고 하기도 합니다
근데 전 가장자리를 뜻하는 가새도 들어봤네요
LionBlues
12/03/12 07:50
수정 아이콘
궁금한데 대구에서 많이 쓰이는 "히야"라는 명사는 정말 대구인근 지방에서 쓰이는 건가요?
제가 경남쪽에서 살때도 아는 사람이 없었고 포항에서 온 친구도 모르더군요
가장 안타까웠던건 경남 중국집 사장님들이 "야끼우동"을 모른다는 겁니다!!!!!!!
석양속으로
12/03/12 07:54
수정 아이콘
"아나" 도 많이 애매한 말이죠.
용례는 주로 뭔가 상대방에게 건네줄때 "아나, 빨리 받아라" 요렇게 쓰이는데요.
표준어로 어떻게 번역해야할 지 전 모르겠네요.
12/03/12 09:23
수정 아이콘
'자' 로 해석하면 맞는거 같아요.
"아나, 여기 있다" = "자, 여기 있다"
망고스퀘어
12/03/12 07:57
수정 아이콘
부산에서 28년을 살았지만 저도 서른마흔 다섯개는 처음 들어보네요..
아케르나르
12/03/12 07:59
수정 아이콘
천지삐까리는 널렸다 정도로 표현하면 될듯요
또다른나
12/03/12 08:11
수정 아이콘
몇년전에 아는분들이 은다라는표현을 대화에서 쓰시길래 뜻을 물어보니 싫다라는뜻이라고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마재윤은다(예를들어) 이러니까 막 웃더라구요...크크
뭐 하길 꺼려한다라는뜻의 '싫다'라고 정정해주더군요.(맞나요? 몇년전기억이라 가물가물..)크크
메롱약오르징까꿍
12/03/12 08:16
수정 아이콘
아- 빌어먹을 서른마흔다섯!!!!
취사병때 부산출신 선임한테 메뉴 몇시에 들어갈꺼냐고 물어보면 돌아오는 대답은 항상 서른마흔다섯분 .... 같이 밥하던 부산출신 아저씨 한테 물어보니 모르냐고 물으면서 선임하고 같이 그걸로 절 놀렸던 서른마흔다섯분...그런데 그게 부산 사투리였군요 [IU♥I]
항즐이
12/03/12 08:23
수정 아이콘
"내나"는 "매나"(매한가지)의 변형처럼 느껴집니다.

경북 방언 중에도 재미있는게 몇 가지 있지요.

점나새나 : (날이)저물거나 새거나, 즉 밤낮으로, 항상.

매란없다(매라이 없다) : 일이나 상황이 형편없다.

우리하다 : 음식이 얼큰하거나 몸이 뻐근한 느낌. 어떤 감각이나 일이 가볍지 않고 묵직하여 오래 지속되는 쉽지 않은 상황. (아따 좀 뛰니까 우리하네. 아지매 국물이 진짜 우리하네. 임마, 일 한번 우리하이 해보자.)
면역결핍
12/03/12 08:26
수정 아이콘
포병출신인데 군대에서 훈련때 서울 출신 막내가 “분대장님 오줌마렵습니다. 하길래”
“작은거면 그냥 저짜 발통에 싸고 온나.”라고 하니 못알아 듣더군요.
대구출신 막둘이 “차 바퀴에 싸라고~” 하는거 보니 경상도 사투리 인가 봅니다.

친구사이에 자주 쓰이는 비속어 임마 와이래 씹딱꾸리하노? 도 생각나네요.

단디 해라~ 도 있죠. 똑바로 해라~ 제대로 해라~
단디 들어라~

부산내에서도 기장쪽은 주가라는 어미를 많이 쓰더군요.
이거 좀 해주가. 라던데...
12/03/12 08:40
수정 아이콘
크크. 잘 보고 갑니다.
그닥 길게 살진 않았습니다만 경상방언의 정수는
쫌! 맞나? 은지예~ 같습니다.


+) 서른마흔다섯개란 말을 정말 쓰는군요;
이동네에서는 전혀 못들어봤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발음하는지(???)는 알 것 같네요 크크 [m]
12/03/12 09:05
수정 아이콘
아 전 눈시비비님 이쪽(?) 얘기하실 때 너무 재밌습니다 크크 제 전공이 인류학-민속학쪽이다보니 이건 뭐 자리 잡아서 인터뷰하는 기분까지 드네요. 다음 글 기다리겠습니다!
Around30
12/03/12 09:16
수정 아이콘
일본에 살고있는데 일본어와 경상도 사투리의 비슷한점이 가끔 눈에 띕니다. 마 를 일본사람들도 추임새처럼 쓰거든요. 마 소데스네 와 같은. 억양이나 엑센트도 서울보단 부산이 확실히 비슷하고요 [m]
앉은뱅이 늑대
12/03/12 09:17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다 표준말로 번역이 가능한데 저 '내나' 는 번역이 참 어려운 말이죠. 일대일로 대응하는 단어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전라도의 무담시 같은 말도 표준말로 일대일 대응하는 단어 찾기 어려운 말이죠.

그리고 '임마'라는 말도 자주 쓰지만 임마는 얌마 와 같은 의미로 쓰고 이놈아 란 뜻으로는 일마 를 많이 쓰지 않나요?
와룡선생
12/03/12 09:18
수정 아이콘
서른 마흔 다섯개는 사투리라고 하기보단
그냥 말 장난에서 나온말 같은데요...
제가 어릴때(77년생입니다)는 이런말이 없었던거 같은데
20살 이후로 서른 마흔 다섯개라는 말을 듣기 시작한거 같습니다.

군대있을때 병기창고에서 후임들에게 부산사투리로 "총 세라"
했더니 후다닥 뛰어가더니 청소도구 들고 청소 하더라는... ㅡㅡ;;
라리사리켈메v
12/03/12 09:29
수정 아이콘
가장 충격의 단어는 역시 뽕아..........................
불량공돌이
12/03/12 09:44
수정 아이콘
서른마흔다섯개는 부산에서 20년간 살면서 못듣다가
서울로 대학와서 고등학교동문회 선배들로 부터 들어서 익숙해진 케이스 입니다.
특수 지역에서 쓰는 사투리와 특수 연령대에서만 사용하는 은어의 교집합에 속하는것 같습니다.
지니-_-V
12/03/12 09:54
수정 아이콘
조금 야한말이긴 하지만.. DDR같은 경우는.. 경남 지방에서 슬리퍼를 뜻하는 말이였는데 다른데서 와보니.. 이게왠 -_-;;;
그리고 892같은 경우는 경남이랑 전라도랑 완전히 뜻이 틀리더군요...

전라도에서는 뜻이 땡땡이 쳤다라고 쓰이는데.. 경남 지방에서는.. 응응이니.. -_-;

전라도에서 아 어제 학교에서 892했다. 이러면 경남 지방에서는 기절초풍합니다;
12/03/12 09:55
수정 아이콘
서른마흔다섯개는 저도 첨듣네요
태연효성수지
12/03/12 09:57
수정 아이콘
쌔비다는 대전에서도 썼었는데, 다른 지역분들 중에서도 쌔비다를 쓰셨던 분들 계시나요?
파벨네드베드
12/03/12 10:18
수정 아이콘
추집구로 그게 뭐꼬..이것도 못알아 듣는 사람이 많고
이거 억수로 헐네예~~ 이것도 못알아 듣는 사람이 많고

서울 처음올라왔을때 참 의사소통하기 힘들었습니다 ..
12/03/12 10:37
수정 아이콘
기여?

여기는 대전입니다.

쌔비다 쌥치다 등등..
망고스퀘어
12/03/12 11:09
수정 아이콘
훔치다 라는 뜻의 감다 라는 표현도 썻는데 이건 어디건가요?
감정과잉
12/03/12 11:38
수정 아이콘
어릴 때 게임 할 때 '꼼삼이'라는 표현 많이 썼는데... '얌샘이'이런 말하고 비스한 뜻인 것 같은데
알파스
12/03/12 11:40
수정 아이콘
친구들끼리 장난삼아 야룰때 빙시야~ 라는 말을 많이 쓰죠.

야이 빙시야~~ 뭐하노 빙시야~~집에있나 빙시야~~그러니까 니가 안되는거다 빙시야~~ 이런식으로 응용가능
12/03/12 12:49
수정 아이콘
정겹다 크크크 대구사는 1人
12/03/12 13:01
수정 아이콘
전라도 광양 출신인데 '내나' '쌔비다' 는 이 쪽에서도 썼습니다. 광양이 전라도와 경상도 사이에 있어서 양쪽 방언이 혼재된 곳이거든요.
내나는 진짜 치환이 힘든 단어네요. 기껏해야, 고작의 뜻으로 주로 썼지만 (내나 한시간 공부해놓고 징징대냐? 내나 거기서 거기구만 등등 ) 다른 뜻으로도 많이 썼습니다. (내나 지금까지 말했는데 뭐 들었냐 등등 )

광양-순천 쪽이 사투리가 진짜 다양한데 제일 독특한 건 편한 손윗사람에게 높임법으로 하게체를 쓴다는 점입니다.
"엄마, 뭐하는가?" "이모, 이번에 내려온가?"등등... 딴 지역 친구들이 듣고 놀랍니다 크크 [m]
12/03/12 13:09
수정 아이콘
후배가 예전에 폰 산지 얼마 안 되서 작동이 잘 안되서 휴대폰 가게에 가서 작동 방법에 대해 문의를 했는데
직원이 "언제 사셨어요?" 이렇게 물어보자
후배가 "아래께요"

직원이 당황하며... "언제 사셨어요?"라고 다시 물어보자
후배가 다시 "아래께요"라고 하자

휴대폰 가게 직원이 ..." 외국분이시구나..." 이랬다던 일화가 생각나네요 ^^
Cazellnu
12/03/12 13:36
수정 아이콘
은다, 언지 이런 부정형의 말들도 있지요
12/03/12 14:29
수정 아이콘
"아이가?" 나이가 어린 사람을 지칭하는게 아닙니다.

"그거 문때지마라"

"아이가? 거 뭉개진다고 문때지마라 안카나"



놀이터에서 친구와 놀고 있는데 친구누나가 찾아와서 친구에게 하는 말

"니 빨리 안오몬 아빠...시꺼묵는데이"

친구 아빠가 친구를 씻어서 먹어버린다는 말인 줄 알고 너무 무서웠다며...
12/03/12 17:43
수정 아이콘
대구사는 형
"아, 맞나."
많이쓰더군요
왼손잡이
12/03/12 18:44
수정 아이콘
영화 바람이 생각나는군요..

"니 매쌀이고?"
"서른마은다섯쌀이다 임마"
Love&Hate
12/03/12 20:48
수정 아이콘
씨사이(?)라는 말 아시나요?

용법

니도 참 씨사이다.
요거 번역이 참 까다롭던데..

아 찾아보니 요건 진주사투리네요. 할머니가 진주분이셨는데 저만 보시면 씨사이라고 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155 [일반] 응답하라 1997과 미츠루 아다치 [21] 김연아17413 12/09/16 17413 0
38965 [일반] 낙동강 - 7. 결국 피였다 [11] 눈시BBver.26247 12/09/01 6247 6
38952 [일반] [소개] 인물 차지연이 알고 싶어요. [4] cba10926504 12/08/31 6504 0
38663 [일반] 와이프님의 하소연 글-남자들의 판단을 기다립니다. [180] 행복자12212 12/08/17 12212 0
37823 [일반] 방학했는데 기분이 싱숭생숭하네요. [24] 행신동유희열4336 12/06/22 4336 1
36911 [일반] 김동완의 광복절 특집극, 절정 [12] 제이나4495 12/04/24 4495 0
36264 [일반] 영어는 언어다. [46] 곰주7493 12/03/28 7493 1
35883 [일반] 표준어로 옮기기 참 애매한 부산사투리 몇 개 [76] 눈시BBver.214164 12/03/12 14164 1
35667 [일반] 왜 아이들은 상납의 고리에 빠져든 것일까? [12] happyend4856 12/03/02 4856 9
35347 [일반] YTN의 승부조작 관련 '전직 야구선수 인터뷰'가 허위 기사로 드러났습니다. [41] 13롯데우승10269 12/02/15 10269 0
35309 [일반] 위대한 탄생2, 최후의 여성참가자 4人을 소개합니다. [48] 컴퓨터8537 12/02/13 8537 0
34946 [일반] 대몽항쟁 2부 - 4. 외침보다 중요했던 것은... [6] 눈시BBver.24632 12/01/28 4632 1
34565 [일반] 학부형이 됩니다. [18] 퀘이샤5209 12/01/10 5209 0
34476 [일반] 여요전쟁 - 1. 썩지 않은 세 치 혀 [22] 눈시H7188 12/01/06 7188 2
34441 [일반] 부산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27] Eva0105631 12/01/05 5631 0
34216 [일반] 뿌리깊은 나무 등장인물들 평가 [31] 눈시BBver.210721 11/12/27 10721 1
34031 [일반] 1년 동안 쓴 글들을 돌아보며... 총정리! [52] 눈시BBbr10499 11/12/21 10499 24
33814 [일반] 경상도 혹은 부산사투리 강좌 [64] 눈시BBver.215048 11/12/12 15048 0
33421 [일반] 광개토 - (2) 전광석화 [16] 눈시BBver.27602 11/11/27 7602 1
33378 [일반]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 - (3)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27] 눈시BBver.28568 11/11/25 8568 1
32241 [일반] 글을 써 보아요. [24] 눈시BB5519 11/10/10 5519 5
31811 [일반] 써니 그 감동의 이야기 ^^ 잘 봤네요 써니 [37] 정우우6591 11/09/19 6591 0
31785 [일반] 호남 몰표에 대한 생각 [43] Crescent7633 11/09/18 76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