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1/06 03:13:16
Name 눈시H
Subject [일반]  여요전쟁 - 1. 썩지 않은 세 치 혀
d0103687_4f060eaf8d52c.jpg
당시 고려의 방어선은 안북대도호부 휘하의 안수진, 안융진 등, 즉 현재의 안주와 개천을 중심으로 한 청천강 방어선이었습니다. 예~전에 병자호란에서 했던 얘기가 기억나실 지 모르겠네요. 해안가의 남로와 내륙의 북로, 편하게 오는 길은 이거밖에 없었죠. 거란이 선택한 건 북로였습니다.

이 때 거란이 자처한 병력은 무려 80만, 하지만 -_-; 전후 사정을 보면 뻥이죠 (...) 어쨌든 이들에게 봉상군, 후에 귀주(귀성)으로 이어지는 곳에서 급사중 윤서안이 이끄는 선봉이 패하고 그도 사로잡힙니다. 이 때 성종은 직접 안주까지 나와서 작전을 보고 있었죠. 일단 패배 소식을 들은 성종은 서경으로 귀환합니다. 왕 잡히면 안 되니까요. 고려도 보통 일이 아니다는 걸 확실히 느끼게 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소손녕의 사자가 도착합니다.

"대조(거란)가 이미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했는데, 이제 너희 나라가 강토의 경계를 침탈하니 이 때문에 정토한다." 하였다. 또 글을 보내 말하기를, “대조가 사방을 통일하는데 귀부하지 않은 자는 기필코 소탕할 것이니, 속히 와서 항복하고 지체하지 말라"

어익후 말은 좋군요. 이에 화친의 가능성을 성종에게 알린 장수가 있으니...

20080617000933_0.jpg
서희입니다. 이 말은 들은 성종은 이몽진을 거란의 진영으로 보내 화친을 청합니다. 여기에 대한 소손녕의 답은 항복하라는 거였죠.

"80만의 군사가 다다르리라. 만약 강(대동강)에 나와 항복하지 않으면 마땅히 모두 멸할 것이니, 군신이 빨리 진영 앞에 와서 항복하라"

휘유 -_-; 무시무시하죠? 고려 조정은 더 무서워 했습니다. 여러 가지 방안이 나오죠.

- 일단 개성으로 돌아가서 정식으로 항복하자
- 평양 이북 땅 떼 주고 황주를 국경으로 하자

한 마디로 고려의 상황은 버틸 수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_-; 아예 서경이라 하던 평양 자체를 떼 줄 생각이었나 봐요. 성종도 그 쪽으로 기울어서 아예 평양의 곡식을 백성들에게 가져가게 하고, 남은 건 그냥 대동강에 버리려 했습니다. 이 때 나선 사람이 있었죠.

20080617000933_0.jpg
서희요.

"먹을 것이 넉넉하면 성도 지킬 수 있을 것이며, 싸움도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전쟁의 승부는 군사의 강약에 달린 것이 아니요, 다만 능히 틈을 보아 움직이는 데 있을 뿐인데 어찌 대번에 쌀을 버리도록 하십니까. 하물며 먹을 것은 백성의 생명이니, 차라리 적군에게 이용되었으면 되었지 헛되이 강물 속에 버리는 것은 또한 하늘의 뜻에 맞지 않을 듯합니다"

이어 그는 말 합니다.

- 거란의 동경부터 우리나라 안북부 수백리 땅은 여진에게 점령돼 있는 우리 땅이다. 거란의 목표는 여기 뺏는 거다. 고구려 옛 땅? 지... 아니 그냥 놀고 자빠진 얘기다.
- 지금 쟤네가 힘 세다고 땅 떼 주면, 남은 땅은 어쩔 건데? 삼각산 이북(그러니까 현 서울 이북)도 다 고구려 옛 땅인데 달라면 다 줄라고?

이어 민관어사 이지백이 그 삼국지의 유선 -_- 에 빗대 이 할지론을 비판합니다. 결국 성종은 마음을 고쳐 먹죠. 한편, 좋은 소식이 들려옵니다. 기다리다 지친 소손녕은 안융진을 공격하는데 중랑장 대도수가 막아낸 것이죠. 성에서 볼 수 있듯 귀순한 발해인입니다. 거란에서도 항복한 발해 출신이 잔뜩 있었다 하니 -_-; 거 참 기분이 복잡했겠네요. 아무튼 이걸로 거란군이 그리 대단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제 남은 건 역공이죠. 병력은 필요 없었습니다. 성종은 사람 한 명만 보냈죠.

20080617000933_0.jpg
서희요. (우려먹기 orz)

이렇게 한국사에 참 보기 드문 키배, 아니 외교전이 시작됩니다.

--------------------------------------------------

IE000939925_STD.jpg
성종이 직접 손을 잡고 위로하면서 보낸 서희, 그는 거란의 진영에 가자마자 신경전을 시작합니다. 그냥 대등하게 행동한 서희를 보고 소손녕은 이렇게 말 했죠.

"동작 그만! 감히 대국의 귀(貴)인에게 예절 안 차리냐?"

서희는 재치 있게 답 합니다.

"니가 왕이라도 되냐? 나도 신하고 너도 신하면 동등한 거지 어따 대고 눈을 시프렇게 뜨고 그라냐이? 난 그냥 돌아가 불련다. 쫄리면 다이하시든가."

그렇게 아예 돌아가 버린 서희 -_-; 결국 먼저 gg 친 쪽은 소손녕이었죠. 다시 회담이 시작됩니다.

소손녕 : 느덜은 신라에서 일어났지 않았는가? 근디 감히 고구려 옛 땅을 치는 것이여? 거기다 우덜이랑 국경 맞대믄서 감히 송을 섬긴다고라? 나가 열 안 받게 생겼는가?"

... 에 왜 계속 사투리가...; 아니다 싶은 부분 있으면 조언해 주세요 (...) 아무튼 서희는 이에 이렇게 대답합니다.

e0019531_4e9c25e7f3d40.jpg

"어따 대고 약을 팔어? 고구려의 후계는 바로 우덜이여. 나라 이름을 왜 고려라 했고 평양이 수도인데 이게 고구려 후예 아니면 또 뭐당가? 따지고 보면 느이 동경도 우리 땅이랑께."

... 명분 싸움 승리 _-)v 실제 고려의 입장에서 거란은 옛 고구려의 땅을 강점한 것일 뿐이었습니다. "발해는 당연히 우리 땅인 고구려의 땅을 강점한 괴뢰 정권"이고 (현재의 북한처럼요 (...)) 글안(혹은 계단이라고 썼습니다. 글안이라... 왠지 경상도 사투리 같네요. -_-; 하긴 신라어가 꽤 큰 영향 미쳤겠죠)은 그 발해도 없애고 역시 땅을 강점한 적일 뿐이었죠.

어버버거리는 소손녕에게 서희는 다른 얘기를 시작합니다. 명분에 가려진 본론이었죠.

"솔까말 우리끼리 싸울 이유가 어디 있음둥? 다 여진 놈들이 나쁜 거지비. 우리 둘 사이를 막고 있는 여진을 쫓아 버리고 우리 옛 땅 돌려줘서 두 나라가 연결되면 우리가 조빙(외교)하지 못 할 이유가 없지 않음둥?

이에 소손녕은 요 성종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철수합니다. 서희는 7일간 거란 진영에서 환대를 받고 돌아오고, 성종은 시중 박양유를 거란에 사신으로 보내며 이 일을 마무리 짓죠.

이 때 서희가 돌아와서 성종에게 보고한 내용이 좀 특이합니다.

“신이 소손녕과 약속하기를, '여진을 소탕하여 평정하고 옛 땅을 수복한 후에 조빙을 통하겠다.' 하였는데 이제 겨우 압록강 안쪽만 수복하였으니, 청컨대 강 바깥쪽까지 수복하기를 기다렸다가 조빙을 하더라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즉 서희는 압록강 이북까지 탈환할 명분을 얻었다고 생각한 것이죠. 하지만 성종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오래도록 조빙을 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다."

요나라가 꽤나 넓었지만, 유목민의 특성상 대부분의 땅은 간접 지배로 만족해야 했고, 특히 이 때 만주부터 한반도 북부를 할거하던 여진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들을 몰아내고 영토로 삼는 것에 대해 고려에 우선권을 준다는 것은 확실히 합의된 사항입니다. 문제는 어디까지냐는 것이죠. 서희는 이를 동경까지는 아니더라도 압록강 북쪽까지도 된다는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하지만 성종은 거부했죠.

따지고 보면 이건 합의를 넘어 "공식화"에 가깝습니다. 이미 요와 고려는 부지런히 발해 부흥 세력과 여진족을 흡수하거나 내쫓으면서 영토를 확장하고 있었고, 곳곳에 성을 쌓아가면서 그걸 공고히 하고 있었죠. 결국 이 문제는 불분명한 두 나라의 국경을 확고히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점에서 요가 압록강 부근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면 서희의 주장은 타당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성종이 너무 약하게 나간 것이죠.

다만 이후 여요전쟁의 전개와, 지금 당장은 모르더라도 거란이 계속 보여준 압록강 유역에 대한 집착을 본다면 설령 서희의 계획이 됐더라도 그 후까지도 제대로 지배했을지는 의문입니다. 강은 좋은 방어선이고, 무작정 뻗어서 거란을 자극하는 것보단 최대한 안전하게 얻을 수 있는 것만 확보하는 게 맞긴 하니까요. 당시 거란은 고려의 북진에 맞서 압록강 이북에 계속 성을 쌓고 있었으니까요.

어느 쪽이든 이 1차 침공의 결과는 요나라에서 영토를 할양받은 게 아닙니다. 압록강 남쪽에 대한 고려의 지배를 요에 인정 받은 것이죠. 그리고, 서북쪽의 국경이 압록강이 된 것은 이 때가 시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어찌 보면, 거란은 고려의 확장을 압록강 이남으로 제한한 것을 오히려 성과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최선의 결과야 고려 전체의 항복이겠지만요. 하지만, 그 후에 이게 크나큰 실수라는 것을 알게 되죠.

이렇게 고려는 거란에 이 지역의 지배를 보장받았고, 실질적인 지배를 위한 작업에 착수합니다.
(994년) 평장사 서희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여진을 공격하여 쫓아내고, 장흥진ㆍ귀화진 두 진과 곽주(정주)ㆍ귀주(귀성) 두 주에 성을 쌓았다.
(995년) 이해에 평장사 서희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안의진ㆍ흥화진 두 진에 성을 쌓게 하였다.
(996년) 이해에 서희가 선주(선천)ㆍ맹주(맹산) 두 주에 성을 쌓았다.

이 강동 6주는 이후 거란의 공격을 막는 최고의 요새가 되었습니다. 이건 조선까지도 이어지죠. 거란도 고려가 이렇게 빨리 완성할 거라고는 예상 못 했을 겁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총괄한 사람은 서희였습니다. 아마 여요전쟁 최고의 영웅을 꼽으라면 바로 서희일 것입니다.

--------------------------------------------------

d0103687_4f060eaca91ed.jpg

뭐 대략 이 쯤 됩니다. =_=a 참고로 병자호란 얘기에서 넣은 서북의 모습입니다.

%EC%84%9C%EB%B6%81%EC%A7%80%EB%8F%84.JPG

음... 흥화진과 용주는 좀 서쪽으로 가야겠네요. -_-; 아무튼 이 강동 6주가 거의 그대로 이어진 걸 볼 수 있죠. 강동 6주는 고려가 이 지역에 새로 세운, 상징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도 계속 개발을 해서 완전히 우주방어를 이루죠.

문제는 대몽항쟁 때나 호란 때는 제대로 활용을 못 했다는 거겠지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시BBver.2
12/01/06 03:27
수정 아이콘
알바 도중 몰래 (...) 쓰다가 일 생겨서 일단 이대로 올려둡니다 한두시간 후에 마저 쓸게요 [깨류]
Je ne sais quoi
12/01/06 03:4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후후 완성을 기다립니다 ^^
12/01/06 04:45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모금을 해서 눈시님이 알바 안하고 글만 쓰시도록 해야합니다.!
12/01/06 06:08
수정 아이콘
좀 더 긴 케이스였지만, 이번에도 클릭할 때마다 글이 늘어나는군요. 흐흐.
우주모함
12/01/06 06:31
수정 아이콘
몽골이나 청나라는 어떻게 저걸 다 뚫고 내려온건가요...방어라인 참 아름답네
선데이그후
12/01/06 09:23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들여다보는데 가끔 비비님 글을 클릭하면 음악소리에...ㅡㅡ; 주변 시선 이빠이 집중.
쪽지가 많이 들어오는 편이라 음향을 줄일순없고... 오늘도 주변 시선 이빠이 집중.... (저런 미친놈 지금 음악 들을 상황이냐고...: 이건 주변에서 저한테 날라오는 눈빛들의 외침)
12/01/06 13:30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역시 역사 이야긴 재밌네요.
한반도 출신의 나라 중 저 시기 고려만큼 당당한 외교를 펼친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눈시BBver.2
12/01/06 17:08
수정 아이콘
~_~ 감사합니다.
뭐 결국 그것도 국력이랑 주변 상황이 따라줘야 되죠 - -;
영원한초보
12/01/06 16:39
수정 아이콘
외교는 솔직히 남한보다 북한이 훨 잘하는 것 같아요. 그 지역 사람들은 배짱이 뛰어난거 같아요.
TV에서 누가 그러던데 북한의 리영호가 그렇게 외교술이 뛰어나다고 하네요.
ChojjAReacH
12/01/06 18:53
수정 아이콘
여요전쟁으로 눈시BBver.2 님 연재글 읽어보기 시작하겠습니다. 헤헤
사진자료는 물조로 보니 더 재밌네요.. 특히 서희. (뭐가 나올지는 알고 있지만 열기를 눌러야 알 수 있는 기대되는 그런 느낌?)
어쨌든 연재 고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155 [일반] 응답하라 1997과 미츠루 아다치 [21] 김연아17415 12/09/16 17415 0
38965 [일반] 낙동강 - 7. 결국 피였다 [11] 눈시BBver.26247 12/09/01 6247 6
38952 [일반] [소개] 인물 차지연이 알고 싶어요. [4] cba10926505 12/08/31 6505 0
38663 [일반] 와이프님의 하소연 글-남자들의 판단을 기다립니다. [180] 행복자12212 12/08/17 12212 0
37823 [일반] 방학했는데 기분이 싱숭생숭하네요. [24] 행신동유희열4337 12/06/22 4337 1
36911 [일반] 김동완의 광복절 특집극, 절정 [12] 제이나4496 12/04/24 4496 0
36264 [일반] 영어는 언어다. [46] 곰주7493 12/03/28 7493 1
35883 [일반] 표준어로 옮기기 참 애매한 부산사투리 몇 개 [76] 눈시BBver.214164 12/03/12 14164 1
35667 [일반] 왜 아이들은 상납의 고리에 빠져든 것일까? [12] happyend4857 12/03/02 4857 9
35347 [일반] YTN의 승부조작 관련 '전직 야구선수 인터뷰'가 허위 기사로 드러났습니다. [41] 13롯데우승10269 12/02/15 10269 0
35309 [일반] 위대한 탄생2, 최후의 여성참가자 4人을 소개합니다. [48] 컴퓨터8537 12/02/13 8537 0
34946 [일반] 대몽항쟁 2부 - 4. 외침보다 중요했던 것은... [6] 눈시BBver.24633 12/01/28 4633 1
34565 [일반] 학부형이 됩니다. [18] 퀘이샤5210 12/01/10 5210 0
34476 [일반] 여요전쟁 - 1. 썩지 않은 세 치 혀 [22] 눈시H7189 12/01/06 7189 2
34441 [일반] 부산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27] Eva0105632 12/01/05 5632 0
34216 [일반] 뿌리깊은 나무 등장인물들 평가 [31] 눈시BBver.210722 11/12/27 10722 1
34031 [일반] 1년 동안 쓴 글들을 돌아보며... 총정리! [52] 눈시BBbr10500 11/12/21 10500 24
33814 [일반] 경상도 혹은 부산사투리 강좌 [64] 눈시BBver.215049 11/12/12 15049 0
33421 [일반] 광개토 - (2) 전광석화 [16] 눈시BBver.27602 11/11/27 7602 1
33378 [일반]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 - (3)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27] 눈시BBver.28568 11/11/25 8568 1
32241 [일반] 글을 써 보아요. [24] 눈시BB5519 11/10/10 5519 5
31811 [일반] 써니 그 감동의 이야기 ^^ 잘 봤네요 써니 [37] 정우우6591 11/09/19 6591 0
31785 [일반] 호남 몰표에 대한 생각 [43] Crescent7633 11/09/18 76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