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1/27 13:46:55
Name 눈시BB
Subject [일반] 평양성 감상 (스포 최대한 없게 할게요)
하나 쓰다가 날려버렸네요. -_-; 에휴... 그냥 스포 최대한 없게 하는 쪽으로 짧게 쓰겠습니다.

0. 결론적으로, 주변에 추천해도 될 만한 괜찮은 수작입니다. 명작인지는 좀 머리가 식은 다음에 판단하겠지만요. 은퇴작으로 생각할 만큼 열심히 만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1. 전투 장면. 볼 만 합니다. 반지의 제왕이나 영웅 식의 어마어마한 규모는 아니지만 상당한 규모가 나오고, 다양한 모습이 연출됩니다.
2. 명나라 장수들이 전부 한국인이더군요. 근데 중국 말이 영화 내에 잘 녹아듭니다. 발음이야 중국인이나 배우신 분들이 알겠지만, 꽤 괜찮더군요.
3. 황산벌처럼 시작할 때 각 군주들의 대화로 시작됩니다. 여기에 특수효과까지 가미돼 있네요.
4. 김유신-김흠순-김품일의 배우들이 똑같습니다. 반갑더군요. 김인문도 그대로구요. 아쉽게도 김법민의 배우가 바뀐 건데 참 황산벌의 김춘추처럼 나왔습니다. 아부 잘 하게 생겼는데 정말 당나라에 아부 잘 하네요. 당나라를 등에 업고 고구려 니들은 다 죽었다 하는 게 정말 김춘추랑 닮았어요. 이건 황산벌 마지막에 당당했던 모습 ( 우리가 왜 이런 수모를 당해야 합니꺼? 이제 고구려와 당나라는 대장군이랑 내가 맡을꾜. 아부지는 빠지소! ) 초반에 잠깐 등장하고 맙니다만... 왜 그렇게 했는지는 영화를 직접 보세요 ^^
5. 아래 글 마지막에서 언급한 남북관계는 아예 등장하지 않습니다. 예. 아예 은유적으로도 안 나옵니다. '민족'이라는 단어조차 등장하지 않더군요. 고구려와 연합 작전을 펴려고 한 이유는 다른 데 있습니다. 어느 정도냐면, 황산벌에서 사투리 등장시킨 게 지역 감정에 대해 말한 거라는 제 생각을 바꿔야 되나 할 정도입니다.
6. 주제는 결국 '살아남기'입니다. 지도자든, 장수든, 일개 병졸이든요. 그걸 제일 잘 보여주는 게 김유신과 거시기입니다. 근데 거시기는 좀 민폐 -_-; 그런 면에서 남생 역시 당에 붙었다고 그냥 변절자로 욕 하기는 좀 그런 면이 있더군요.
7. 거시기를 이용해서 지역 드립 칠 인간들이 제법 있을 거 같네요. 벌써부터 무슨 소리 할 지 걱정될 정도입니다.
8. 까메오도 여기저기서 등장하네요. 의외로 찾는 재미가 쏠쏠~

왠지 적은 거 같아서 조금만 조금만 추가할게요 ( . .) 약한 스포입니다.
- 황산벌의 심리전처럼 말싸움이 있는데, 업그레이드되긴 했는데 뭔가 아쉽더군요.
- 고구려에 신무기가 등장하는데 뭔가 시대가 다른 거 같은데;;;
- 몇 차례 공격 막아낸 후 고구려 만세!할 때는 가슴이 벅차더군요. 역시 고구려라는 나라는 뭔가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거 같습니다.
- 거시기 갑순이 커플 눈여겨 봅시다 >_<

이상, 간단한 후기 마치겠습니다. ^^ 황산벌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재미가 분명 있네요. 자세한 건 나중에 영화 내려지면 한 번 더 다뤄보도록 할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1/27 13:54
수정 아이콘
후기 잘 읽었습니다.
이번 토요일 오랜만에 조조영화 하나 끊을려고 하는데 글러브, 평양성 사이에서 고민중이네요~ +_+
11/01/27 13:54
수정 아이콘
평양성을 보진 않았지만 이번에 남북관계가 은유적으로라도 드러나지 않았다면 그건 뭐 조금이라도 풍자적이면 좌빨이니 수꼴이니 하는 소리를 듣는 최근의 극단적 사회 분위기도 한 몫하지 않았을까 예상해 봅니다. 황산벌의 동서갈등을 조장하는 장면은 충분히 풍자적이죠. 현실에 빗대어 보아도 너무나 완벽하게 들어맞아 보일 정도인데 말입니다. [m]
달덩이
11/01/27 13:59
수정 아이콘
리뷰 글 감사합니다. 이번 연휴 때 보러가야겠네요 ^^
11/01/27 14:10
수정 아이콘
한국에 5월에 들어가는데
그 때까지 살아 남아 있으면 좋겠네요-_-;;

근데 개인적으로 전 왜 이렇게 고구려에 정이 안 갈까요.
오히려 가장 좋아하는 한반도 국가가 가장 욕먹는 조선이네요.
11/01/27 14:28
수정 아이콘
정말로 그렇게 보셨나요? 저도 오늘 조조로 봤는데 정말 아니던데... 황산벌을 재밌게 봐서 이번에도 봤는데 정말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고

개인적으로는 영화보면서 이준익감독이 은퇴후 뭔가 계획을 가지고 이 영화를 만든게 아닌가 싶을정도 였습니다.

영화 보실분들에게 무엇을 기대하고 영화를 봐야하는지 말하기가 어려운 영화였습니다.(영화마치고 남성관객이 욕하면서 나가더군요)
스테비아
11/01/27 19:31
수정 아이콘
눈시님 글 보고 오늘 바로 평양성 보고 오는 길입니다.
황산벌 요점 잘 잡아주셔서 두 배로 재밌게 봤네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80 [일반] 지역비하 표현의 대중화 혹은 명문화 [350] 드라고나11275 11/09/17 11275 0
29886 [일반] 덥네요. [3] 밀레이유부케3424 11/06/22 3424 0
29830 [일반] [야구] 로이스터 감독님이 밉습니다. [30] 눈시BB12150 11/06/19 12150 0
29406 [일반] 2011년 어느 늦은 밤 - 그냥 만남 - [3] fd테란3905 11/05/29 3905 0
29033 [일반] [EPL]리버풀을 이끄는 완소 남미 3인방 [59] 아우구스투스5969 11/05/10 5969 0
28582 [일반] 롯데의 타격부진 이유? 데이터가 보여줍니다 [39] 논두렁질럿6337 11/04/21 6337 0
28241 [일반] 여러분의 기억에 남아있는 별명은? [53] Cand4699 11/04/07 4699 0
27251 [일반] 역사에 대한 잡상 (9) 황산벌, 백제의 멸망 [20] 눈시BB7521 11/02/12 7521 2
26965 [일반] 평양성 감상 (스포 최대한 없게 할게요) [15] 눈시BB5530 11/01/27 5530 1
26957 [일반] 황산벌 추억 - 평양성 개봉에 앞서 [16] 눈시BB7448 11/01/27 7448 1
26002 [일반] [상담글]부산에서 전라도 출신으로 살아가기 [97] Alexandre11113 10/10/25 11113 0
25903 [일반] 싸이의 신곡(뮤직비디오 추가), 소녀시대의 모든 컨셉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14] 세우실7323 10/10/21 7323 1
25829 [일반] 간만에 쓰는 영화평 <심야의 FM><그랑프리><슈퍼배드><무적자><방가방가> [29] 한아6081 10/10/17 6081 0
23861 [일반] 뜬금 드라마 추천 - 크크섬의 비밀 [15] 석양4258 10/07/30 4258 0
22867 [일반] 인간 김제동이 사람과 사랑, 그리고 말과 웃음, 틀의 파괴를 이야기하다. [17] 루크레티아4360 10/06/12 4360 4
22221 [일반] 홍어드립. [36] 필리온7421 10/05/25 7421 1
22030 [일반] 서정범 교수님에 대해 [44] 항즐이6148 10/05/19 6148 0
21528 [일반] f(x)의 신곡 "NU ABO"와 서인국의 신곡 "사랑해 U"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29] 세우실4943 10/04/30 4943 0
21342 [일반] 한국 프로야구 레전드 스토리 - 16. 부산의 혼, 작은 탱크 박정태 [18] 페가수스4305 10/04/22 4305 0
20058 [일반] 유행처럼 번지는 '기승전병'의 즐거운 병맛코드와 라쿠고. [15] nickyo7848 10/03/09 7848 6
19982 [일반] 그들은 반란을 꿈꾸었을까? [24] happyend8997 10/03/06 8997 28
19979 [일반] 애니메이션으로 일본어 공부하는 법 [25] 에텔레로사23541 10/03/06 23541 0
18921 [일반] 추노 진짜 물건인데요. [70] 파벨네드베드8814 10/01/14 88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