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1/06 15:16
그냥 한동훈 장혜영 둘 다 아예 제대로 조사도 안해온거죠 뭐. 관심이 고픈 인간들인데 뭐 그게 중요했겠나요. 지상파에 면상 1분 더 나오는게 중요했던거지.
+ 25/11/06 15:50
(수정됨) 본문에 언급된 쿠팡 클렌징 등의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는 작년에도 민주노총에서 제기해왔네요.
사람들이 관심이 없었던 것 같지만 (여기도 아시는 분은 안 보이고, 저도 이번에 찾아보다 알게 됐네요) https://nodong.org/index.php?_filter=search&mid=statement&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BF%A0%ED%8C%A1&page=2&division=-7911409&last_division=-7246144&document_srl=7868343
+ 25/11/06 15:58
(수정됨) 일단 별개의 얘기가 아니라 제가 링크 드린 게시물에도 쿠팡의 새벽배송 얘기랑 클렌징 등 제도 얘기가 같이 나와 있고요
이번 새벽배송 이슈를 제기하면서도 그런 내용들을 함께 얘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511
+ 25/11/06 15:19
젤 큰 문제가 모르는 분야를 아는것처럼 말할려고 하고, 말해야 되고
그게 잘못돼서 스노우볼이 된다는거죠. 가까운 예로 삼양의 우지파동처럼
+ 25/11/06 15:19
그러고보니 저 요약에 나온대로 언제부턴가 쿠팡 래핑 차량이 많이 안보이긴 하더라구요
저희 아파트에 오는 쿠팡맨들도 일반 탑차로 오더니만 저런 비밀이...
+ 25/11/06 15:21
국회 대관업무 특화라니 역시.
앞으로 국회의원들이 쿠팡 욕한다는건 쿠팡에서 사료덜줬으니 사료 더달라고 깽깽거리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군요.
+ 25/11/06 15:22
이세 또 욕만할수 없는게 쿠팡이 지역구에 가진 고용이나 물류도 상당부분 차지해서 알렉산드로스처럼 단칼에 끊어버리자고 하기도 어렵죠.
+ 25/11/06 15:23
(수정됨) 뭐 궂이 정치인을 들먹이지 않아도 우리도 비슷하죠.
쿠팡에서 과로사 의심건이 최근 3달 안에 2건이나 발생했는데, 우리의 관심은 새벽배송 하냐 안하냐 잖아요. 민노총이 삽질한 일이 쿠팡에서 두분이 돌아가신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다뤄지는 건 씁쓸한 일이라고 봅니다.
+ 25/11/06 15:34
근데 박현광씨 말대로면 민주노총은 새벽배송 자체를 반대하는게 아니라 설계를 잘해서 과로사 방지를 하는게 본의도라는건데 왜 새벽배송 전면금지를 주장하는건가요? 일부로 어그로끌어서 환기시키려고?
0~5시 배송을금지하는거지 새벽배송을 금지하는건 아니다라는 주장은 말장난이구요 [이에 대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새벽배송과 관련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노조가 제안한 것은 새벽배송이 아닌 초심야시간 노동을 제한하는 안이었다고 밝혔다. ‘노동자 건강권을 위해 0시~오전 5시 배송을 금지하되 소비자 편익을 고려해 5시 출근 조가 사전에 설정된 긴급한 새벽배송을 처리하자’는 것이 제안 내용이었다는 설명이다.]
+ 25/11/06 16:03
본문에
[민주노총이 쿠팡의 새벽배송을 콕 찝어 문제화 시킨것은 이유가 있다] 민주노총측 행동은 이런이유가있다 운운하는건 대변하는거같은데요
+ 25/11/06 16:08
아니....그러니까 민주노총이 주장하는 그 이유라는게 새벽배송 금지를 첨에 주장한거랑 안맞는다구요 이유라고 적어놓은거에는 새벽배송 금지내용이없잖아요 본문의 민주노총 주장이 어떻게 새벽배송금지로 연결이되냐구요 노동자 처우개선이면몰라도
+ 25/11/06 16:12
박광현씨는 왜 이슈화(왜 민주노총이 이야기를 꺼냈는지)되었는지 맥락에서 민주노총을 사용한 것이지 본문은 아예 별개의 이야기니 민주노총의 주장이 맞든지 안맞든지는 아예 다른 이야기죠.
+ 25/11/06 16:13
왜 별개의 이야기에요?본문이 박현광 주장을 요약한건데요?
본문의 박현광 주장 요약이 실제로 박현광 의도와 달리 잘못된거라는건가요?그러면 할말없구요
+ 25/11/06 16:15
본문만 봐도 왜 이슈가 되었는지를 언급하면서 "민주노총"은 그냥 맥락에서 사용된 것이지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논평을 하는 것이 아니지 않나요? 이후에는 그냥 "쿠팡"이 왜 문제인지 말하고 있다고 전 읽었는데...
+ 25/11/06 15:38
(수정됨) 새벽배송이랑 별개로 쿠팡이 법을 요리조리 피하면서 장사하는건 맞습니다. 대관 쪽 엄청나구요.
정권 바뀌고 대표도 바꿔버리잖아요. (기존 강한승 대표는 이명박 정부 청와대 법무비서관 출신으로 윤석열이랑 사법연수원 동기, 호형호제하는 사이로 알려짐) 솔직히 판매자들에게도 못할 짓 많이하지요...
+ 25/11/06 15:44
민노총이 주장한거랑 쿠팡이 잘못했다는건 완전히 다른얘기라 그렇죠.
민노총이 새벽배송 금지 얘기했다가 초심야배송 금지 얘기하면서 0시~5시 금지다 라는 식으로 말장난하는거보면, 민노총도 쿠팡을 비판하는게 아니라 그냥 자기들 이익추구로밖에 안보입니다.
+ 25/11/06 15:4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4082535?sid=101
[쿠팡, 3분기 매출 12.8조 '사상 최대'…영업익도 51% 증가] 2025.11.0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51242?sid=101 [“일할 맛 나시나요?” ‘로켓배송’ 기사들에게 물었더니] 2025.10.22.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 의 '쿠팡 택배 노동자(퀵플렉서) 실태조사 결과> 1.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 의뢰, 설문 문항(56개) 설계 2. 2025년 9월8일~22일 온라인 조사 3. 쿠팡과 위탁계약을 맺고 일하는 배송기사 679명 응답 (전체 쿠팡 배송기사의 3~4% 수준) 4. 주당 근무 일수 : 주 5일 36.8% / 주5일+1주휴무 28% / 주6일 28.3% 5. 근무 시간 : 주간 배송기사 평균 11시간 반 / 야간 배송기사 평균 9시간 40분 6. 응답자의 82.2% : "자유로운 휴가 사용이 어렵다" - 28.4% : 휴가 기간 배송구역 회수(클렌징) 우려 - 25.7% : 용차비 부담 - 25.1% : 대리점과의 계약 조건 7. '일할 맛' = 5점 만점에 2.49점 8. 58% : "그래도 계속 일하고파" 9. 응답한 쿠팡 배송기사들의 월평균 실질 소득(기름값·차량 유지관리비 등 제외) : 490만 8천원
+ 25/11/06 15:49
민노총이 말장난을 좀 심하게 했죠.
0~5시 금지해도 새벽배송에 문제가 없다는 것도 사실 새벽배송 주문 시간을 앞당기는 것이 전제라서요. 예를 들어 기존이 11시 주문 마감, 7시 도착 보장에서 0~5시 배송을 금지해버리면 절대 물량 소화 못합니다. 이걸 9시 주문 마감으로 바꿔야만 가능한 건데 이 부분은 대부분 빼고 이야기합니다. 정확히 몰라서 이야기를 안하는건지 제가 놓친건지 의도적으로 빼는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이러면 9시 이후 주문건은 어디로 가느냐? 주간 배송으로 넘어갑니다. 즉, 전체 물류양은 0~5시에 배송 금지를 하던 말던 상관없죠. 주간 배송자들이 더 하면 되니깐요.
+ 25/11/06 15:59
이제와서 새벽배송이 포인트가 아니라 쿠팡이 포인트다?
새벽배송을 포인팅한 건 애초에 민주노총 아닌가요? 본문대로 쿠팡의 잘못이 근본적인 문제고 그걸 고쳐야됐다면 그 부분을 처음부터 주장했어야죠. 지금 와서 논점을 바꾸며 구조를 모르기 때문에 하는 소리다라고 하는 건 좀 어이가 없네요;
+ 25/11/06 16:00
쿠팡 엿같은게 김범석의장이 한국금융시스템을 신뢰하지 않아 미국에 상장하고 각종 시스템을 미국식으로 한다는데 저런 행위들은 아주 한국식으로 한다는거죠
빡친게 쿠팡노동자 퇴직금문제, 쿠팡이츠플러스 단가하락발주서 일방적통보, 이번 대선 휴무관련 미정부상대로비등이 있죠 4월에 김앤장에서 여럿 스카웃해서 대관업무맡겼다더군요 배민도 머같지만 쿠는 정말
+ 25/11/06 16:02
새벽배송은 있었으면 좋겠고,
기사님들의 처우는 유지 됐으면 좋겠고 기사님들의 과로는 줄었으면 좋겠으니, 답은 배송비를 조금 올리는 것이지 않을지. 그리고 올린 배송비를 쿠팡이 양심적으로 더 많은 배송기사를 채용하는데 쓰는 것인데.. 과연..
+ 25/11/06 16:05
본문과 저 기자는 민노총이 아니고 "쿠팡의 문제"에 대해서 말하는데 왜 댓글들 중 후퇴니 뭐니, 논점을 바꾸니 마니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크크
+ 25/11/06 16:05
산을 가리켜놓고 왜 강을 안보냐고 따지는 꼴이네요. 뭡니까 이게. 새벽배송으로 어그로는 다 끌어놓고 이제와서 여론 안 좋으니까 쿠팡 핑계 대는. 쿠팡이 문제면 첨부터 쿠팡을 지적했어야죠?
+ 25/11/06 16:44
쿠팡보다 새벽배송에 집중했다면
그건 당신이 "순진하게 그들의 프레임에 넘어간 바보" 또는 "쿠팡의 잘못을 덮으려는 의도를 가진 작전세력" 이렇게 가르치려 들거나 매도하려는 느낌이 나는게 굉장히 기분나쁘긴 합니다.
+ 25/11/06 16:11
새벽 배송하는 근로자의 처우 개선은 정부차원에서라도 시급히 입법을 하든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그럼 대놓고 쿠팡을 저격했어야지. 새벽배송 자체에 포인트 맞춰놓고 지금와서 갑자기 쿠팡문제라고 하면 사람들이 잘도 믿어주겠네요. 말대로라면 컬리도 있고 새벽배송이 문제 없었으면 왜 없애려고 했던건지는 쏙 빼고 말이죠.
+ 25/11/06 16:17
본문 내용 관련해서 쿠팡 새벽배송 등 제도에 문제가 있고 개선이 필요하다는 얘기는 적어도 작년부터 해온 얘기 같습니다.
이제 와서 하는 얘기는 아니에요. https://nodong.org/index.php?_filter=search&mid=statement&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BF%A0%ED%8C%A1&page=2&division=-7911409&last_division=-7246144&document_srl=7868343
+ 25/11/06 16:14
고정노선은 주7일 배송하면서 5일 근무를 하는체계라서 주기가 어렵게 되어있습니다.
이건 야간배송 문제가 아니라 주7일 배송 문제라고 보는게 맞는게 7일배송인데 5일근무면 2일은 누가배송하냐는 문제가 있죠. 이경우 대리점에서 다른 라인 타게 하기도 하고 주말에 물량주는날은 평일 4명정도 타던걸 3명이하고 한명은 휴무주고 이런식으로 움직이는데 그러다보니 고정을 주기 어렵긴 합니다.
+ 25/11/06 16:33
그럼 쿠팡의 계약에 문제가 있다고 했어야지..?
뭐하는 애들이야 진짜. 근데 쿠팡은 문제 많긴 해요. 목줄 채워서 컨트롤할 필요성 매우매우 많음.
+ 25/11/06 16:35
쿠팡이 문제가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근본적으로 새벽배송이라는 것에 대한 강제로라도 금지시켜서 노동자의 건강을 배려할 것인지, 소비자도 원하고 노동자도 원하는데 금지하면 안되는 것인지, 더 큰 원론적인 담론이 있는데 정치인들의 토론이 의미없는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오히려 쿠팡 문제로 포커싱하는 게 건전한 토론을 막는 것 같습니다. 쿠팡이 문제 없다가 아니라 다 열어놓고 생각해야 하고, 쿠팡 문제 논의 안되었으니 의미없는 논쟁이다?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 25/11/06 16:36
쿠팡은 납품하는 업체들 입장에서도 매우 짜증납니다.
일단 쿠팡 서플라이 시스템 자체도 엄청 불친절하게 되있고 입출고 과정도 매우 귀찮고 복잡하고 반품도 까다롭고 아무리 소량이어도 자체폐기는 절대 안해주고 시스템의 탈을 쓴 비인간적인 회사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 25/11/06 16:40
비슷한 처지라 매우 공감하네요. 매주 쿠팡 납품건 때문에 아주 스트레스입니다. 반품은 뭐 이리 잦은지 자기네들 밀크런 이용하다 파손된 것도 업체 쪽에 떠넘기는 식인데 정말 신경질나요.
+ 25/11/06 16:51
더 열받는건 돈도 2달 있다가 주는거에요. 진짜 싸이코패스가 따로 없습니다....요즘은 그 악명높은 홈쇼핑들도 10일결제 해주거나 한달안에 해주는데 말이죠.
+ 25/11/06 16:52
밀크런은 완성차 회사나 그런 부품류에 적합한 시스템인데 무리하게 일반물품에도 적용하니까 애꿎은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만 피해를 보기도 합니다.
+ 25/11/06 16:37
화끈하게 "새벽배송 금지!" 외쳤다가 여론 험악해지니 우리는 0-5시까지만 제한하자는 거야라고 하는 거 보면
민주노총도 꿍꿍이 속이 없진 않았던 것 같은데... 굳이 뉴스공장 기자가 '해례본(?)'을 가지고 올 이유가 뭔지 모르겠네요.
+ 25/11/06 16:43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0785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26885 하루 11시간동안 휴식시간이 22분인거 개선해달라고 하니 2시간작업에 20분 휴식 현재는 시행중인거같지만 현장에선 안지켜지는듯 합니다. 정부쪽에서 관리자를 보내주던지 해야될거같아요.
+ 25/11/06 16:43
(수정됨) 민주노총이 원래는 새벽배송 금지를 외쳤다가 후퇴해서 '0-5시까지만 제한하자는 얘기다' 라고 후퇴했다는 말씀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그 말씀의 출처가 궁금합니다.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최초 제안이 22일이었는데 그 때 제안했던 안이 '0시부터 5시까지 심야배송 금지'였다고 하는 것 같아서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02879481 "28일 정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택배기사 과로 개선 방안을 내놨다.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두 개조에 주간 배송만 맡기는 것이 골자다."
+ 25/11/06 16:49
위 한경 기사에서는 이 내용을 전달하면서도 첫줄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쿠팡 등 국내 e커머스 업체가 주문 다음 날 새벽까지 상품을 가져다주는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라고 요약했습니다.
오히려, 민주노총의 [0시부터 5시까지 심야배송 금지] 주장을 한경 등의 경제지에서 [새벽배송 전면금지]로 왜곡해서 전달하면서 이슈가 이상하게 흘러간 것 아닐까 싶습니다. 사람들도 '왜 이제 와서 후퇴하냐' 하는 식으로 인지하게 된 것 같고요.
+ 25/11/06 16:50
후퇴한게 아니라, 발언 자체는 변한게 없습니다. 오해였다는 식으로 단어만 바꾼거죠.
새벽배송 금지해라 -> 비판 -> 새벽배송이 아니라, 0~5시라는 초심야배송을 금지하자는거다. 새벽배송은 5시부터 하면 된다. 이렇게 해설을 덧붙인거죠. 근데 어차피 새벽배송이란거 자체가 저 시간에 이루어지던거라서, 내용이 변한게 아닙니다.
+ 25/11/06 16:52
그러니까 그 '처음 주장이 새벽배송 금지해라였고 뒤에 해설을 덧붙인 거다'라는 말씀의 근거가 뭔지 궁금하다는 얘기입니다.
위 기사를 보면, 처음 제안부터가 바로 0시-5시 배송 금지였던 것 같아서요.
+ 25/11/06 16:58
거기서부터는 위에 댓글로 다신 내용 그대로죠.
0시~5시 택배금지하라는게 새벽배송 금지로 기사화됐고, 이건 딱히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그 시간에 움직이는게 새벽배송이니까요. 그래서 비판이 나오니까, 우리는 새벽배송을 금지하라는게 아니라 초심야배송을 금지하라는 거였다고 단어만 바꿔서 해설을 붙인거죠. 내용이 후퇴했다고 하는건 다들 오해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 25/11/06 17:01
그러니까 그 오해를 경제지 등에서 유도한 것 같다는 게 제 이야기입니다. 여기만 해도 그렇게 알고 계신 분들이 정말 많더라고요.
+ 25/11/06 17:04
음.. 개인적으로는 그게 유도인지 잘 모르겠다는 입장입니다.
보통 발언한 다음에 기사화되서 비판이 나오면, 그 발언은 사실 이런이런 내용이었다고 해설 붙이는게 정치든 사회든 어떤 영역에서든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고요. 0~5시에 배달하던게 새벽배송이었는데, 그게 아니라 초심야배송이고 새벽배송을 금지한적 없다는 식으로 나오면 솔직히 말장난이라는 생각밖에 안듭니다.
+ 25/11/06 17:08
- 새벽배송이 0~5시에만 하는 게 아니고 (지금도 저희 집에도 6-7시에 들어오는 경우 있습니다)
- 5시 이후 출근조가 긴급 새벽배송건이나 주간배송으로 처리하게 할 수 있으니까요.
+ 25/11/06 17:07
새벽배송에 관련된 쿠팡 시스템에 대한 문제제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고,
노동계 비판이나 국정감사 등을 통해서도 여러차례 지적이 있었고, 그래서 쿠팡에서도 이런저런 개선약속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그런데 그 약속들을 쿠팡이 계속 어겨 왔다고 하고요. 그래서 결국 0시-5시 배송 자체를 제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거죠.
+ 25/11/06 17:07
(수정됨) 쿠팡이 약속을 어긴건데 왜 새벽배송을 없애냐구요
spc가 문제니깐 전국의 빵공장을 다 없애요? 새벽배송없애도 쿠팡은 전처럼 요리조리 법망 피해서 본인들만의 길을 만들어서 살아갈꺼고 그렇지 못한 중소기업들만 망할것같은데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