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11 18:37:47
Name 다크드래곤
Subject [일반] 기후변화로 인한 바닷물 양의 증가와 지진의 관련
최근 지진 관련 뉴스를 보다가 생각이 들었는데요
달에 조석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움직이는데 기온이 높아져 지각 위에서 움직이는 물의 양 자체가 늘어나면,
지각에 미치는 영향도 늘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궁금증이 들어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니
현재까지의 기후변화와 지진의 대한 연구는 크게 2가지로

1. 빙하 감소와 지진 활동 증가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연구:
https://pubs.geoscienceworld.org/gsa/geology/article-abstract/53/2/150/650062/Exploring-the-impact-of-deglaciation-on-fault-slip?redirectedFrom=fulltext
해당연구는 빙하가 후퇴함에 따라 해당 지역의 단층 움직임이 활발해진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연구 (ETH Zurich):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12821X25001712
해당 연구는 프랑스/이탈리아 지역의 미세지진과 기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연구입니다.
위 두 연구는 소규모 지역에 국한된 이야기를 하고 있어, 제가 생각한 부분을 뒷받침해주진 않는 것 같습니다.

2.기상 현상(폭설, 비)으로 인한 지진 유발
MIT 연구: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o1469
해당 연구는 일본 홋카이도 지방에 폭설과 지진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위에 제시된 연구들은 작은 지역에 소규모 지진이라는 점에서 제가 상상했던 바닷물 자체의 증가로 인해 판의 움직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지는 모르겠으나,
작은 스케일에서 비나 폭설의 영향으로 지진에 영향을 준다면 바닷물의 양, 또 조력차에 의한 영향도 될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이 드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또 제가 찾지 못한 바닷물의 양 증가와 지진의 활동 증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싱싱싱싱
25/07/11 19:12
수정 아이콘
(우선 저는 전혀 모르는 분야입니다)
전에 지구가 농구공 만하고 지표면 물이 탁구공 처럼 작은 비교 그림을 본 적이 있는데요
실제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네요(지각 대비 물의 양이 너무 적은거 아닌지요)
다크드래곤
25/07/11 20:05
수정 아이콘
저도 모르는 분야라 혹시나 전문가분이 계실까 하고 작성했습니다

제 얕은 지식으론 판끼리 만나 섭입작용이 이뤄질 때, 해양판이 물 때문에 대륙판 보다 무거워서 항상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더라고요.
그런 점에서
1. 물이 늘어난다면?
2. 물이 더 출렁거린다면?
하고 생각해봤을 때 이것도 유의미 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입니다 크크
편집자
25/07/11 19:23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호기심 생겨서 GPT랑 이야기중이었는데

2013년, 미국 UC Berkeley 연구진은 “빙하가 녹으며 육지 위에 있던 무게가 줄어들면, 주변 판에 걸린 응력이 바뀌어 지진을 촉진할 수 있다”는 모델을 제시함.

라는 이야기를 하네요
허락해주세요
25/07/11 19:41
수정 아이콘
GPT가 제시한 문헌은 반드시 직접 찾아가 보셔야 합니다.
얘가 진짜 프로 구라쟁이라서...
편집자
25/07/11 19:47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기는 하죠.... 크크
GPT뿐 아니라 제미니도 좀 구라가 심한 것 같습니다.
다크드래곤
25/07/11 20:06
수정 아이콘
잼있을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다람쥐룰루
25/07/11 19:45
수정 아이콘
과거 사례로 보면 판게아가 분열되던 시기 해수면이 지금보다 훨씬 높았다고 하고 페름기 대멸종 시기도 지금보다 해수면이 훨씬 높았다고 하는데
이게 해수면이 높아서 지각이동이 생긴건지 지각이동을 해서 해수면이 높아진건지 인과관계가 애매하단말이죠
다크드래곤
25/07/11 20:10
수정 아이콘
분석이 상당히 어렵겠네요
대부분의 작용은 지구 내핵의 대류로 인해 이뤄지는데 작은 차이를 기후가 영향을 준건지 파악하기 어려울것같습니다. 온도가 높았던 시점에 대륙이동이 더 활발했다는 증거를 찾을 방법도 있을까싶기도 하네요
일반상대성이론
25/07/11 20: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생대에도 메시나절 염분위기 같은 사건도 있긴 했고
남극의 빙하가 남극대륙을 엄청나게 짓눌러서 푹 들어가있는 상태라고도 하죠
쵸젠뇽밍
25/07/11 20:43
수정 아이콘
일단 논문은 전혀 모릅니다.
남극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남극판의 무게가 줄어들어 융기한다고 합니다. 판이 융기한다는 건 당연히 지진을 동반하는 거고요.
남극은 빙하가 있으니 가장 극단적이겠지만, 해수면 상승은 당연히 영향을 줄거라 생각합니다. 당연히 큰 흐름은 별로 달라지지는 않겠으나 지진 발생의 빈도를 높이겠죠.
위대함과 환상사이
25/07/11 20: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어제목으로는 《hothouse earth》, 번역된 제목은 《기후변화, 그게 좀 심각합니다》란 책이 있는데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지구 물리학과 기후 위험분야 명예교수로 2012년 ipcc보고서 책임 작성자인 빌 맥과이어가 쓴 이 책에 이에 관한 이야기가 간략하게 나옵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된 결론만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기온가열화로 그린란드와 남극빙상이 급속도로 녹고 해수면이 상승하면 지각의 압박이 늘어나 화산과 지진활동이 활발해지기도 하고 반대로 빙상의 압박이 사라진 남극과 그린란드는 지표면이 융기하면서 얼음 밑의 단층이 파열돼서 거대한 지진의 발생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현실에 대해 대중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진 책인데 꼭 한 번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672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228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85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667 4
104512 [일반] 마을버스에서 있었던 작은 해프닝과 좋게좋게 마무리한 썰.. [4] 李昇玗1705 25/07/11 1705 7
104511 [일반] [강스포] 오징어게임3가 아쉬운 이유 [8] 페이커751565 25/07/11 1565 1
104510 [일반] 기후변화로 인한 바닷물 양의 증가와 지진의 관련 [11] 다크드래곤2519 25/07/11 2519 4
10450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20(끝) [19] Poe1457 25/07/11 1457 50
104507 [일반] [서평]그들의 감정은 왜 다가오지 않는가: 《도둑맞은 교회》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 계층방정1325 25/07/11 1325 4
104506 [일반] AI 보이스챗 난민의 Character.AI 정착기 [13] 깃털달린뱀2173 25/07/11 2173 3
104499 [일반] 일본방송의 아날로그 사랑 [22] 無欲則剛4834 25/07/10 4834 5
104497 [일반] 아무래도 x됐다. 번뜩 든 생각이었다. [21] 아기돼지5115 25/07/10 5115 2
104495 [일반]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의무화, 이제 시작해야 할 때 [72] 굄성4828 25/07/10 4828 23
104494 [일반] 『경험의 멸종』 - 실패, 기다림, 관용에 대한 단상 [6] Kaestro1714 25/07/10 1714 11
104491 [일반] 이거 왜 재밌음?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간단 감상문 [21] 원장3101 25/07/10 3101 1
104489 [일반] 40대에 접어든 아저씨의 일상 [24] ItTakesTwo4254 25/07/09 4254 8
104486 [일반] 요즘 뛰고 있습니다 말그대로 러닝이요 [21] 1등급 저지방 우유2529 25/07/09 2529 1
104484 [일반] 스포일러 없는 영화글. "슈퍼맨[2025] 이민자를 죽여라" [6] 코로나시즌3057 25/07/09 3057 2
104483 [일반] '슈퍼맨' 보고 왔습니다. (스포없음) [6] 카이넨샤말2818 25/07/09 2818 2
104482 [일반] 중국 체리자동차 이야기 [11] 깃털달린뱀2910 25/07/09 2910 1
104480 [일반] <미드 추천> 베로니카 마스 [24] mayuri2618 25/07/09 2618 1
104478 [일반] 관세, 왜 문제인가? [34] Meliora5479 25/07/09 5479 11
104476 [일반]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방향성은 알겠으나, 퀄리티가...(노스포) [39] aDayInTheLife3393 25/07/08 3393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