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3/21 06:40
    
        	      
	 양자강은 직접 가서 보면 강보단 바다에 더 가깝습니다 마지막 지류야 상해이긴 한데 강을 사이에 두고 수많은 발전소 조선소들을 보고 있으면 이게 강인지 바다인지 도통 헷갈립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적벽대전도 이 강의 지류인거 보면 도대체 얼마나 큰건지 하고 봤는데 아마존 강 유량의 1/10이네요? 
	25/03/21 08:52
    
        	      
	 이 강의 하구 쪽은 단순히 물길이 낮은 곳으로 흘러서 강이 형성되었다기보다는 과거 다른 대륙이던 땅덩이 두 개가 서로 맞붙는 바람에 바다가 강이 되어버린 케이스다. 지금도 너비는 거의 웬만한 해협급인 데다 바닷물이 수십 km 지점까지 밀려들어 오는 어마어마한 기수역을 지니고 있다.
 나무위키 찾아봤는데 이건 반칙 아닙니까 크크크크크 
	25/03/21 19:39
    
        	      
	 의외로 적벽대전이 벌어진 오늘날 무한지역의 양자강 강폭은 1키로메다를 조금 넘는 정도입니다. 사실, 한국 사람들은 서울의 한강에 익숙해서, 그게 얼마나 큰건지 체감 못하는 거에 가깝긴 하지만서두요 
 
	25/03/21 09:15
    
        	      
	 아무르 강 : 연해주의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선의 경계가 되는 강 
 예니세이 강 : 러시아의 바이칼호에서 북극쪽으로 가는 러시아에서 가장 긴 강 이 두개는 알겠는데 나머지 남미쪽 강은 잘 모르겠네요 
	25/03/21 10:14
    
        	      
	 열대우림이라 폭우 크게 한 번 오면 너무 크게 불어나서 그거 대비하기엔 예산이 많이 들고, 반대로 인구밀도는 낮아서 혜택 보는 사람은 적고...
 그렇게 폭우 오면 강이 이사가는(...) 경우도 많다더군요. 
	25/03/21 09:03
    
        	      
	(수정됨) 양쯔강은 장강의 하류 난징에서부터 하구까지 구간을 부르는 이름인데 그냥 장강 그 자체의 이름으로 쓰이네요.
 다른 강들도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25/03/21 11:10
    
        	      
	 6년째 사이공 강변에 살고 있는데, 한강은 정말 규모도 크고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강이라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특히 한강공원은 진짜... 문득 한강 공원과 탄천 따라 자전거 타던 때가 그립네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