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16 01:34:03
Name 쿠릭
File #2 Seoul12b0.webp (175.0 KB), Download : 1148
Subject [일반] 한국의 성장과 서울의 성장 (수정됨)
한국에선 1963년, 1983년, 2003년 등 약 20년 간격으로 큰 성장을 거듭했다.



1963년에는 대규모 서울 확장이 있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서울의 기본적인 동서남북 경계이다. 그러나 강남 지역은 서울 편입에도 불구하고 긴 시간 동안 개발이 더딘 지역에 속했었다.

74년에는 국내 최초의 서울 지하철, 75년에는 국내 최초의 (서울) 강남 고속버스 터미널이 들어선다.

0001

1980년부터 1983년까지 단계적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에 이르는 최초의 강남3구 지하철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4년에는 그 유명한 홍대입구역까지 개통된다.

우리가 잘 알듯 2호선의 가치는 1호선보다 압도적으로 더 상위에 있는 서울 핵심 노선이 되었다.

0002

2003년에는 분당선 수서~선릉 구간이 개통되어 분당 접근성에 박차를 가했으며, 분당에서는 분당서울대병원이 개원하고 인근 판교까지 개발이 시작되며 강남3구의 확장판격 입지로 거듭난다.

0003

(사진 : 경향신문)

한국의 성장 역사와 함께했던 서울의 성장도 당연한 것으로 수용해야 될 시기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또한, 80년대 개발도상국 시절의 비효율적인 행정구역도 선진국 수준에 걸맞는 개편이 필수적이다.


Seoul12b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르히아이스
24/05/16 01:49
수정 아이콘
도쿄도 말고 핵심 23구 면적은 저렇게 넓지 않을텐데요
24/05/16 01:56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부분이 애매해서, 영문 tokyo 기준 면적으로 가져왔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5/16 07:09
수정 아이콘
23구만보면 서울과 큰 차이가 없군요
서린언니
24/05/16 10:39
수정 아이콘
622평방 킬로미터인데
일본에서는 23구를 찐 도쿄로 쳐줍니다. 주변은 그저 주소만 도쿄...
24/05/16 06:20
수정 아이콘
갑자기 흥미가 생겨서 영문 위키를 찾아 보니 서울 메트로의 면적이 12685 km2 으로 나오네요.
(영문 위키에서 말하는 서울 메트로가 어디까지 포함된 것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당연히 위 지도의 12구, 4구 이상일 텐데, 그러고 보니 12구 서울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인가요?)
위에 나오는 뉴욕 시티의 면적은 5개 카운티 면적 + 바다까지 합친 거고 5개 카운티의 땅만 보면 778 km2라고 합니다.
우리가 보통 뉴욕이라고 생각하는 맨하튼은 사실 면적이 87 km2 밖에 안되고 여기서 말하는 뉴욕 시티는 스테튼 섬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뉴욕이 아닌 곳까지 다 포함한 거라 뉴욕 메트로라고 해도 되지 않나 생각되네요.
이 뉴욕 메트로의 육지 면적이 서울시보다 30% 정도만 넓고 어쩌면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 메트로와 비교하면 서울 메트로가 뉴욕 메트로의 10배네요.
정말 서울은 큰 도시 생활권입니다.
DownTeamisDown
24/05/16 07:13
수정 아이콘
서울메트로의 면적이 큰건 서울 경기 인천 면적 합치면 저정도입니다.
지금 저 위에 12구는 개편안이고 실제 현재 서울의 구는 25개 입니다.
사실 경기도라고 전부 수도권 도시권이라기엔 연천 북단같은데는 수도권이라고 봐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거든요.
24/05/16 07:44
수정 아이콘
영문위키에서 어떤 기준으로 서울 메트로를 잡았는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설명이 없더군요) 서구 시각에서 서울 경기 인천을 전부 합쳐서 서울 메트로라는 것이 아주 이상하지는 않을 겁니다. 행정구역만 나뉘어져 있을 뿐 같은 생활권이라고 봐도 무리가 없으니까요. 물론 말씀하신 것처럼 경기도 일부는 서울 생활권이라고 보기에 좀 그렇지만 경기도 상당 부분이 들어갈 수는 있을 거 같아요.

지도의 12구에서 금천구는 현재 서울의 한 구인데 광명시, 안양시는 뭘까요? 앞으로 넣을 수 있다는 개편안인가요?
DownTeamisDown
24/05/16 07:48
수정 아이콘
저거 예전에 논의만 되었던 개편안중 하나인데 지금은 이야기 쏙 들어가서 안할것 같습니다.
24/05/16 17:49
수정 아이콘
본문의 12구 개편안은 제가 직접 만든 것으로, 인터넷 상에 떠돌아다니는 일산 및 의정부 등을 포함한 넓은 12구안의 아이디어만 일부 수용하여 만들었습니다.
24/05/16 17:51
수정 아이콘
외신 경제 규모 비교시 서울을 서울+인천 또는 서울+경기 일부 등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흔합니다.
실제로 서울 생활권인데 스스로 서울이 아닌걸로 계속 유지하는 것이 사실 이상한 겁니다.
에이치블루
24/05/16 08:01
수정 아이콘
광역 서울로 보면 분당과 함께 구리 남양주 일산도 들어가야 하지 않나 싶네요...
24/05/16 17: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산은 강남과 분당 접근성이 너무 낮고, 사기업의 진출시 일산을 서울과 같은 격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되어 제외했습니다. 그리고 일산은 규모가 꽤 커서 중장기적으로 일산 도심 내에서 자생하도록 만들어진 도시로 판단됩니다.
24/05/16 09:20
수정 아이콘
분당신도시라고 올려진 경향신문 사진은 실상은 죽전이고 저 멀리 분당이 작게 보이는 수준으로 찍힌 사진이네요.
DownTeamisDown
24/05/16 09:42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첫사진은 왼쪽아래에 죽전휴게소가 보이고 그 아래쪽 사진은 죽전에있는 분당차량기지니까... 아래사진이 더 남쪽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4/05/16 09:38
수정 아이콘
뭔가 개편이 필요하긴 한 거 같아요
수도권은 연담화때문에 개판이고
지방은 죽어가고
새롭게 판을 짜야할 거 같은데
24/05/16 17:57
수정 아이콘
지역번호 02를 부여받은 경기 일부 지역이 실제로 서울 확장의 계획에 포함되었던 도시들입니다. 경기 남부 일부 지역이 해당하죠. 80년대 정치 지형 변화로 인해 모두 취소되었습니다.
Karmotrine
24/05/16 09:51
수정 아이콘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이네
24/05/16 14:19
수정 아이콘
문뜩 진도준 군이 생각나는 군요
No.99 AaronJudge
24/05/16 15:1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저 태어났던 2003년이랑도 현격하게 다른것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836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79. 북방 임(壬)에서 파생된 한자들 [8] 계층방정2462 25/02/26 2462 4
103835 [일반] 인류의 과학기술의 주요 이정표 by ChatGPT [13] 퀀텀리프4284 25/02/26 4284 2
103834 [일반] LLM을 이용한 학습방법 : 티키타카 [3] 번개맞은씨앗4691 25/02/26 4691 4
103833 [일반] ??: 최근 미국으로 도망갔는데 시장이 왜 이런가요 ㅠㅠ [97] Lord Be Goja11812 25/02/26 11812 4
103832 [일반] 웹소설 추천 [리듬게임으로 999레벨 피아니스트] [9] Jinastar5292 25/02/26 5292 2
103831 [일반] 트럼프 무역정책을 바라보는 두 시각 : 비먼(Beeman)과 라이트하이저 [14] 스폰지뚱5512 25/02/25 5512 10
103830 [일반] 월스트리트저널 2. 3. 기사 해석 (북극에서 벌어지는 경쟁) [2] 오후2시4008 25/02/25 4008 9
103829 [일반] 어제자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 [66] Lz10426 25/02/25 10426 4
103828 [일반] 항상 건강 관리 잘 하세요 여러분 (2) [136] 모래반지빵야빵야10783 25/02/25 10783 187
103827 [일반] 한국 남성, 정말 심각한 상황…충격적인 통계 결과 나왔다 [339] 마그데부르크24164 25/02/25 24164 8
103826 [일반] 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이 붕괴했습니다 [41] 독서상품권9917 25/02/25 9917 1
103825 [일반] 한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연 3.00%→2.75% [118] 마그데부르크9591 25/02/25 9591 3
103824 [일반] 미국이 러시아, 북한과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규탄 un 결의안 반대표 [72] 크레토스7667 25/02/25 7667 9
103823 [일반] 러-우 전쟁 3주년입니다. [62] 스폰지뚱5021 25/02/25 5021 2
103822 [일반] 자유무역이라는 환상 - 트럼프 1기 무역 정책의 논리 [48] 사부작6094 25/02/24 6094 11
103820 [일반] 상법이 개정되면 주주충실의무를 지키지 않은 이사는 배임죄로 처벌될까? [13] 깃털달린뱀6432 25/02/24 6432 2
103819 [일반] 개인정보는 왜 보호되어야 하는가 [3] 번개맞은씨앗5287 25/02/24 5287 7
103818 [일반] 日 6000만명 노릴 때…10년째 '천만 관광객'에 갇힌 韓 [202] 핑크솔져13806 25/02/24 13806 3
103817 [일반] 책 후기 - <미래과거시제> [4] aDayInTheLife4381 25/02/23 4381 1
103816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위독 [43] Croove10961 25/02/23 10961 10
103815 [일반] 권위주의는 권위가 곧 자본 [1] 번개맞은씨앗7753 25/02/23 7753 5
103814 [일반] 아파트 이야기.. [28] 해맑은 전사9326 25/02/23 9326 12
103813 [일반] 퇴마록(2025) 보고왔습니다. (강 스포 매우매우매우 많음) [16] 헤후6710 25/02/22 67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