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11 19:15:12
Name 매번같은
Subject [일반] 수원 거주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 최근 1주 간 사건 3개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25045?sid=102

기사에는 장소가 정확히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화성에 있는 "수원대" 연못에서 50대 여성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기사입니다.
시신 발견일자는 [3월 5일]이고. 유서가 발견되었다고 하기에 사건성은 없는걸로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45642?sid=102

바로 다음 날 나온 기사입니다.
수원 광교신도시 공터 배수로에서 [3월 6일] 나체 상태의 50대 여성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속옷을 비롯한 옷가지가 시신 주변에서 발견되었답니다.
국과수에 부검을 맡기기 전 눈으로 봤을 때 멍자국이 발견되어 타살 쪽으로도 조사를 한다고 하네요.
후속기사는 아직 나오지 않은듯 하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02750?sid=102

오늘 [3월 11일]낮에 나온 기사입니다.
두번째 사건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영통구 원천저수지에서 오늘 오전 10시 경 20대 여성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었습니다.
시신에서 외상 등 타살 가능성을 보이는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아직 사건 초기라 뭐라고 확정할 수는 없어보이네요.

---

첫번째 사건은 자살 가능성이 농후해보이고
두번째 사건은 타살 가능성이 농후해보이나 아직 알 수 없고
오늘 사건은 아직 뭐라고 짐작조차 할 수 없습니다.

첫번째 사건은 수원이 아닌 화성시 수원대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타살 가능성 적어보이지만
1주일간 3건의 시신 발견이 이어지다보니 수원 영통구에 사는 지인이 걱정을 좀 하시더군요.

타살로 판단된 사건이 있다면 조속히 범인이 잡혔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11 19:23
수정 아이콘
수원대 연못이 사람 빠져죽을만한 깊이가 아닐텐데
24/03/11 19:31
수정 아이콘
광교가 연쇄살인이 일어나기도 시체 유기하기도 어려운곳인데 굳이? 라는 생각이 들지만 거주민 입장에선 불안하긴하네요
매번같은
24/03/11 20:29
수정 아이콘
아직 정보가 부족하지만 기사 나온 것만으로 겉핥기 식으로 생각하면 "연쇄" 붙을 사건들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처 거주민들 중 이런 사건에 불안해하실 분들은 꽤 있을거 같더군요.
24/03/11 20:00
수정 아이콘
2번째 3번째 사건 모두 광교인가요???

원천저수지면 광교한복판아닌가요???
매번같은
24/03/11 20:05
수정 아이콘
제가 수원 지리를 전혀 몰라 영통구 저 저수지가 광교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첫번째 사건은 화성입니다. 지도에서 보니 수원과 그리 멀지는 않지만요.
표팔이
24/03/11 21:12
수정 아이콘
흔히 얘기하는 광교호수공원이 저기입니다
DownTeamisDown
24/03/11 20:29
수정 아이콘
광교 한복판 이긴 한데 저수지가 꽤 커서 심야라면 사람들눈 피할순 있을것 같습니다.
표팔이
24/03/11 21:11
수정 아이콘
원천저수지 저기는 아예 12시 넘어가는 심야 아니면 산책하는사람들 바글바글합니다
DownTeamisDown
24/03/11 21:59
수정 아이콘
예 제가 말하는 심야가 12~5시정도?
탑클라우드
24/03/11 20:05
수정 아이콘
부모님 수원 사시는데 괜시리 걱정되네요
인간실격
24/03/11 20:19
수정 아이콘
수원대는 완전 깡촌이고 보통 수원이라 할 때 생각하는 수원역 인근이랑 영통 광교쪽은 엄청난 분위기 차이가 있죠. 영등포랑 서초 정도?
원천저수지 부근은 워낙 통행인이 많은 곳이라 타살 가능성은 클 것 같지 않은데...불안하긴 하겠지만요.
No.99 AaronJudge
24/03/11 20:25
수정 아이콘
엥…….?
이또한다지나가리
24/03/11 20:57
수정 아이콘
원천저수지 근처 사는데 걱정이네요..
순둥이
24/03/11 21:25
수정 아이콘
두번째 위치는 우발적인 사건이 나기엔 좀 구석지고 사람이 다니지 않는 곳이라 살해 후 저기에 유기했을 가믕성이 높지 않나 싶네요. 두번째 위치 근처라서 소식 듣고 검샥하니 수원대 사건 나와서 뭐야 했는데 오늘 또 나왔군요
김재규열사
24/03/11 22:0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수원에 살았는데 하필 강호순 사건이 터진 때라서 불안한 마음을 안고 하루하루를 보냈던 추억이 떠오르네요.
드아아
24/03/12 05:29
수정 아이콘
뭐 호수공원은 17년도에도 자살 많이 했었죠. 수원 부시장하던 분이었나? 그 분 투신하고나서 한달새 계속 이어져서 기사화 됐던것도 기억나는군요
타카이
24/03/12 06:40
수정 아이콘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에 조금 외진 곳에서 범행이 있으면
오히려 용의자 단정 및 추적이 쉽지 않죠
24/03/12 09:05
수정 아이콘
광교면 수원 중심가 아닌가 덜덜..
24/03/12 10:59
수정 아이콘
수원토박이 와이프말 들어보니 원래 광교호수공원이라고 불리는 원천저수지가 시체 유기로 말이 많은 곳이었다고..
퀀텀리프
24/03/13 07:57
수정 아이콘
화성..
매번같은
24/03/13 08:11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21706?sid=102
제가 원문에 적은 타살 가능성이 농후하다 본 두번째 사건도 경찰이 사건성이 없다고 결론 내렸군요. 사망자 동선을 따라 CCTV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이 추운 날 밤늦게 혼자서 길거리를 돌아다니다가 마지막에는 저체온증으로 죽었다고 보고 있군요. 저체온증이 지속되면 오히려 옷을 벗어버리는 경우도 있기에 알몸으로 죽어있는게 이상한게 아니라고...허덜덜.
이게대체
24/03/15 10:27
수정 아이콘
친지가 그쪽에 살고 있긴 한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56 [일반] 자애와, 동정과, 역겨움을 담아 부르는 ‘가여운 것들’ (스포일러 주의!) [10] mayuri5362 24/03/19 5362 2
101154 [일반] 평범한 개인 투자자는 주식을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가? [76] 사람되고싶다11231 24/03/18 11231 15
101152 [일반] 해외직구는 좋지만... 역차별 받는 국내 수입업자들? [123] 아서스18013 24/03/18 18013 6
101151 [일반] 슬램덩크 극장판을 얼마전에야 봤습니다. [35] rukawa7386 24/03/17 7386 0
101150 [일반] meson님이 올려주신 연개소문의 승첩에 대한 글을 보니 떠오른 기억이 있습니다. [2] 니드호그4220 24/03/17 4220 7
101149 [일반] 쓸때없이 맥북프로를 산 의식의 흐름과 10일 후기 [30] 한국화약주식회사6740 24/03/17 6740 1
101148 [일반] 이엠텍 4070 슈퍼 78만 핫딜+3D Mark 할인. 그 외 잡설 [30] SAS Tony Parker 6258 24/03/17 6258 2
101147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9. 나가며 [10] meson3499 24/03/17 3499 15
101146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8. 태산봉선(泰山封禪) [6] meson5032 24/03/16 5032 13
101145 [일반] (스포)요즘 본 영화 감상​ ​ [4] 그때가언제라도5449 24/03/15 5449 0
101144 [일반] 제게 초능력이 생긴다면, 이 세상 사람들 모두가 영원히 살도록 할겁니다 [51] 보리야밥먹자8801 24/03/15 8801 0
101143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7. 선택과 집중 [10] meson5751 24/03/15 5751 9
101142 [일반] 오랜만에 랩 작업물 올려봅니다! (스파6 류 테마 등) [4] 개념치킨4039 24/03/14 4039 7
101141 [일반] 『드래곤볼』과 함께 하는 인생 (토리야마 아키라 추모글) [26] 두괴즐5665 24/03/14 5665 18
101140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6. 고구려의 ‘이일대로’ [1] meson3744 24/03/14 3744 12
101139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5. 예고된 변곡점 [4] meson5001 24/03/13 5001 12
101138 [일반] [공지]선거게시판 접속 방법 안내 공지 [7] jjohny=쿠마7250 24/03/13 7250 1
101136 [일반] LG전자, 2024 울트라기어 OLED 모니터 라인업 가격 및 출시일 발표 [48] SAS Tony Parker 9777 24/03/12 9777 1
101135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4. 침공군의 진격 [5] meson4305 24/03/12 4305 11
101134 [일반] [잡담] 북괴집 이야기 [5] 엘케인6004 24/03/12 6004 20
101133 [일반] 수원 거주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 최근 1주 간 사건 3개 [22] 매번같은15637 24/03/11 15637 0
101132 [일반]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3. 몽골리아의 각축 [7] meson4721 24/03/11 4721 16
101131 [일반] 비트코인이 1억을 돌파했습니다. [71] 카즈하11232 24/03/11 1123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