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10/18 23:22:53
Name 통피
Subject [랑그릿사 모바일] 죽어죽어죽어,죽어버려! - LLR 소니아 등장/ 샘+마카엘라 남매도 한섭에 옵니다! (수정됨)


llr

llr-2


안녕하세요, PGR러 랑붕이 여러분. 즐거운 랑그릿사 모바일 하고 계신가요?

랑붕이 분들은 제목을 보고 놀라지 않으셨으리라 믿습니다. 죽어죽어죽어,죽어버려! (시네시네시네,신데시마에!)라는 대사가 트레이드 마크인

영웅인 '소니아' 가 본섭에 LLR 등급 영웅으로 업데이트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1

(왼쪽이 원작, 오른쪽이 랑그릿사 모바일 일러스트)

랑붕이가 아니신 피지알러나 뉴비분들을 위해서 설명하자면 소니아는 원작 랑그릿사2에 등장하는 영웅입니다.

슬픈 과거를 가지고 있는 비운의 소녀이며 기본적으로는 플레이어의 적으로 등장하지만 루트에 따라서 아군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나름 인기있고 근본력 있는 영웅이었지만 아쉽게도 랑그릿사 모바일에서는 SR 등급으로 출시되어 인기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지진 못했습니다.


그런 아쉬움 속에 신규 LLR 영웅을 만들건데 누구를 원하냐는 본섭 투표에서 소니아가 1등을 차지하여 이번에 새롭게 LLR 등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sr

사실 저도 소니아를 좋아해서 성능에 관계없이 나름 애정을 주고 키웠단 말입니다!!

비록 SR 등급이지만 전용 장비나 중앙 율정 같은거 잘 올려주면 1~2인분은 충분히 하고도 남는 영웅입니다. 그렇게 나쁘진 않아요...

물론 육성 재화에 여유가 있는 저 같은 고인물들이 키우는 영웅이니 뉴비나 랑청년 분들은 손도 대지 마시길 바랍니다.



image

SR 주제에 데미지가 SSR 영웅들에 밀리지 않을 정도로 높아서(용병 공격력 수정치도 + 40%라서 SSR에게 전혀 안 꿀림) 다 좋은데

죽창 스킬인 각성기 쿨이 5턴이라 개인적으로 그게 많이 아쉬웠습니다. 좀 고쳐줘잉~



아 그리고 LLR과 SP 등급에 대해서 헷갈려하시는 뉴비분들이 계시더라구요. 대충 설명드리자면


2025-10-18-181225

우선 LLR은 빨간 테두리의 이 게임 최고 등급이지만 실질적으로는 SP나 SSR 등급이랑 차이가 없습니다.

SSR 등급에서 쓰는 만능 조각을 LLR도 똑같이 적용 받아서 성급을 공짜로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색이 최고 등급이므로 성능은 보장 되어있습니다. LLR 등급 영웅 중에 성능이 나쁜 영웅은 하나도 없어요.

이 친구들은 전부 성능이 뒤떨어져서 잘 안쓰이는 SR 등급 영웅들 중에서, 유저들의 투표를 통해 선택되어 만들어집니다.

이멜다, 페라키아, 발가스, 크리스, 소니아 전부 다 SR 등급 영웅들이죠.

기본적으로 "평행 세계의 또다른 나" 라는 설정이므로 부유성 등에서 SR 영웅과 LLR 영웅이 만나 대화를 하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원작 설정이나 특정 루트 엔딩 후의 스토리를 좀 확장해서 신규 LLR 영웅의 설정을 잡는걸로 보입니다~)

동일한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LLR 등급 소니아와 SR 등급 소니아는 같은 맵에서 동시 출전해서 함께 싸울 수 있습니다.

당연히 가챠를 해서 뽑아야 합니다!




2025-10-18-181255

그에 비해 SP는 가챠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 영웅이 SP로 '변신' 내지는 '승급' 을 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LLR처럼 캐릭터가 하나 더 추가되는게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SP에서 다시 SSR로 자유롭게 되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주인공 급의 인기있는 SSR 등급 영웅들 중에서 시간이 지나 성능이 좀 퇴물화 된 친구들을 구제하기 위해 생긴 등급입니다.

(물론 SR, R 등급 영웅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SP 전직용 돌맹이를 뽑아 몇 가지의 미션을 클리어 해주면 원본 영웅이 SP 등급의 영웅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새로운 스킬/병종/스탯을 얻고 더 강력해집니다.

이 몇가지 미션을 깨는데 귀한 재화인 '오락기' 가 사용되기 때문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LLR이든 SP든 성능이 뒤떨어진 영웅들을 되살려주기 때문에 많은 랑붕이들이 자신의 최애 영웅들이 다음 업데이트 때 선택 받길 오늘도 열심히 기도하고 있습니다...




llr-3

여하튼 본 주제로 되돌아와서, 이 LLR 소니아는 신규 영웅이라 아직 정확한 성능에 대해서는 말이 많습니다.

처음엔 평타 공격 모션에 하자가 있어서 성능이 나쁘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공격 모션을 고치고 난 지금은 반대로 좋다는 평가입니다.

원본 SR 소니아와 컨셉이 비슷하게 공격력 만큼은 엄청 강하다는 말이 있어요... 그렇다면 완전 OP인가?!

글쎄요.....




image

염룡파멸자 엘가스


image

훔바바


2

시엘나


image

마안의 서큐버스 엘라키아


image

엔야



중섭 PVP를 지배 중인 이 오로성 영웅들이 떡하니 버티고 있기 때문에 소니아가 그들과 동급의 성능을 보여줄지는 아직 모릅니다.

LLR 등급 특성상 PVE와 PVP 양쪽 전부 다 활약할 가능성이 높은데 LLR 소니아는 최종적으로 어떤 평가를 받을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개인적으로 떡상 할거라 믿고 있지만요!  일단 랑그릿사 모바일 최초의 '마족 병종' 전용 초절 스킬을 받아왔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도 자기 밥값은 하고도 남을 것 같습니다 크크







다음은 다음 주 수요일(10월 22일)에 한섭에 업데이트 될 SSR 영웅들인 '샘' 과 '마카엘라' 입니다.

두 사람은 랑그릿사 밀레니엄 라스트 센츄리 출신의 남매입니다.






-송기사 유튜브 공략 영상-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나는 PVP를 즐긴다 - 둘 다 뽑는걸 추천하되(유대인질), 내 서밋 덱에 자리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둘 다 거르시면 됩니다.

나는 PVP를 하지 않는다 - 둘 다 거르시면 됩니다. PVE에 쓸만한 영웅들이 아닙니다.



image

2

우선 오빠 쪽인 샘입니다.

얘가 PVP 성능캐라서 이번 가챠의 메인 캐릭터 입니다.

제가 이 친구를 가만히 보면서 뭘 느꼈냐면... 옛날 카오스라는 워크래프트3 유즈맵에서 등장하는 '뮤턴트' 라는 영웅이 있었어요

왠지 걔가 생각이 나더라구요...  뮤턴트는 적들에게 최대한 다가가면 살점 뜯기라는 패시브 스킬로 자동적인 광역 데미지를 주는 친구인데

샘도 비슷합니다. 얘도 최대한 적들 사이에 가까이 붙어서 부비적거려야 합니다.

우선 샘이 턴을 종료하면 샘 근처 2칸 범위의 모든 적들에게 광역 데미지를 주고, 적에게 공격 받을 경우 추가로 또 광역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선 짜증이 납니다. 샘이 자체 텔레포트 스킬로 아군에게 달라붙을 수 있는데 자꾸 광역 데미지를 뿌려대니까요.

샘을 빨리 죽이고 싶어도 샘은 2칸 내 적에게 50%의 피해만 입는데다가 광역 공격시 스스로 체력 회복도 하기 때문에 튼튼해서 잘 죽지도 않아요. (여기에 스택을 쌓아가며 최대 모든 능력치 24%까지 올라감)

그리고 샘은 적들의 버프를 잘 지울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강력한 엘가스를 상대하는데도 좋은 영웅입니다.




결론: PVP 유저들은 샘을 뽑으시는걸 추천합니다. 어차피 제가 이런 글 안 써도 알아서 잘 판단하시리라 믿습니다.

PVE에선 솔직히 샘을 쓸 곳이 있을지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자체 스펙이 좋아서 쓸려고 한다면야 1인분은 잘 할 것 같긴한데...





image

2



다음은 여동생 쪽인 마카엘라 입니다.

어.........그냥 얘는 PVE PVP 다 구리니까 쓰지 마세요.

위에서 설명한 샘의 유대인질이기 때문에 샘을 PVP에서 쓰실거면 마카엘라를 뽑기는 해야하지만,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친구는 시작부터 적에게 초장거리 칼춤 스킬로 데미지를 주고 버프를 빼앗으며 지형에 '칼날' 을 설치한 뒤,

킬각이 보이면 원하는 칼날 지점으로 텔레포트 후 적을 공격해서 죽인 뒤, 다시 다른 칼날로 텔레포트 하여 도망치거나

공격한 적과 함께 텔레포트 해서 아군 쪽으로 배달 시켜오는 용도의 영웅입니다.


일단 개발사에선 PVP에서 쓰라고 만든 영웅인 것 같긴 한데 막상 써보면 여러가지 하자가 많습니다.

먼저 적에게 텔포해서 공격을 해야하는데 다른 영웅들처럼 이동이 가능한 재행동이 없고 제자리 재행동이라 구려요

그렇다고 근접 공격이 가능한 영웅도 아니라서 찐빠가 있습니다. 적을 배달시키고 싶어도 이동 면역 장비나 스킬이 있으면 바로 무효화 됩니다.

이래서는 PVP에서 쓰기 좀 힘들죠. 마카엘라를 아예 몰라서 어버버 하다가 당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1

그리고 마카엘라는 매턴마다 칼춤을 적에게 날려서 버프를 1개, 크리 터지면 2개를 빼앗아 오는 밑작업이 필수인 친구인데



2

동일하게 크리 터지면 적에게 버프를 빼앗고 디버프까지 줄 수 있는 '고블린 나이트' 용병을 못 쓰더라구요?

아니 당연히 쓸 수 있게 해줘야 하는거 아닌가?  개발사 내에서 마카엘라 안티 있나요? 내가 다 화가나네?




3

결론:  마카엘라는 PVP PVE 다 쓸 일 없으므로 패스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예쁘고 섹시한 마카엘라를 그래도 뽑아서 쓰고 싶다! 나는 애정으로 극복하겠다! 는 분이 계신다면 말리진 않겠습니다.

일단 컨셉 자체가 재미는 있는 영웅이거든요. 저 멀리서 칼을 던져서 데미지 + 버프 훔치기로 적을 계속 괴롭히고,

텔레포트로 막 날아다니다가 적을 납치 하고... 칼 던지는 방향의 아군에게 치명타 버프도 짭짤하게 주고요.

(치명타 관련 버프는 이 게임에서 최고급 버프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기도하는 겁니다. 제발 OP급 전용 장비를 받거나(아직 전용 장비가 없는 영웅임), OP급 중앙 율정 스킬을 받아서 떡상!!! 하길...

그렇게 마카엘라가 미친 버프를 받아서 떡상하면 커뮤니티에 글 올리는거죠. "마카엘라 안 뽑고 거른 놈들 지금 뭐함?"





마지막으로 샘/마카엘라를 뽑거나 거르거나 어느 쪽을 선택하시든 간에 절대 무리를 하지는 마시고,

언제나 냉정하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가챠를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달 까지 재화를 잘 모아놓으세요.

image

다음 달, 아마 11월 19일에 한섭에 업데이트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마안의 서큐버스... 엘라키아를 뽑으셔야 하기 때문이죠.

얘는 LLR 등급의 찐 성능캐이므로 샘/마카엘라 보다는 거르기가 좀 힘들어요

여하튼 즐거운 랑그릿사 모바일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음 달 엘라키아 배너 때 뵙겠습니다. 꾸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달랭이
+ 25/10/19 02:28
수정 아이콘
덕분에 즐거운 랑모 생활 중입니다.
예전 공략글들도 도움되서 좋아요!

그나마 소니아는 2시리즈 인물이라 알겠네요.
요즘 캐릭터들은 가뜩이나 모르겠는데 스킨까지 끼면 누가누군지..
스킬은 비문학 지문 수준.. 흑흑..
+ 25/10/19 06:20
수정 아이콘
크크크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785 [랑그릿사 모바일] 죽어죽어죽어,죽어버려! - LLR 소니아 등장/ 샘+마카엘라 남매도 한섭에 옵니다! [2] 통피1413 25/10/18 1413 2
81784 [LOL] 비리비리와 티원의 멸망전확률이 오르고 있습니다 [68] Leeka8422 25/10/18 8422 2
81783 [LOL] 겨울 협곡이 돌아옵니다! [7] 대막리지7563 25/10/18 7563 2
81782 [LOL] 25 월즈, 첫 넉아웃 진출팀은 KT 롤스터입니다 [45] Leeka10446 25/10/17 10446 6
81781 [LOL] 속보) KT 롤스터, 상현의 3 TES 격파 [22] Arcturus8559 25/10/17 8559 8
81780 [LOL] 티젠한이 아무리 잘해도.. 대진이 안도와주면 스위스딱이 가능해짐.. [88] Leeka12582 25/10/17 12582 2
81779 [콘솔] 이타가기 토모노부 부고(DOA,닌자가이덴 프로듀서) [5] Myoi Mina 5033 25/10/17 5033 1
81778 [LOL] 스위스 스테이지 3R 추첨 결과 [105] 반니스텔루이13201 25/10/16 13201 5
81777 [발로란트] 발로란트 T1 감코진 전원 결별? [14] 김삼관4922 25/10/16 4922 0
81776 [LOL] 2023~2024 월즈일정표 및 스위스스테이지 성적과 최종결과 [24] Dango8572 25/10/16 8572 1
81775 [기타] 벽돌깨기 로그라이크, BALL x PIT [13] 티아라멘츠5196 25/10/16 5196 0
81774 [LOL] 스맵이 중계 하이라이트를 안올린 이유 [10] Leeka7719 25/10/16 7719 2
81773 [LOL] 스위스 스테이지 2R 대진 확정 [96] 반니스텔루이12237 25/10/15 12237 2
81772 [스타1] ASL 시즌 20 4강 결과 및 결승전 대진.JPG [25] insane10554 25/10/14 10554 3
81771 [LOL] T1의 3 대 1 승리 및 스위스 1R 추첨 결과 [53] 반니스텔루이15208 25/10/14 15208 3
81770 [LOL] 2025 월즈 일정표 [21] Dango12551 25/10/14 12551 17
81769 [LOL] T1 vs IG, 25년 챔피언폭 비교 [10] JoyLuck10148 25/10/14 10148 0
81768 [LOL] 2025 월즈 파워랭킹 [22] Dango8078 25/10/14 8078 0
81767 [LOL] 객관적으로 보면 17위 결정전 [19] 김삼관6293 25/10/14 6293 3
81766 [LOL] 2025 케스파 컵, 디즈니+에서 생중계 [41] 카루오스6027 25/10/14 6027 0
81765 [오버워치] 크레이지 라쿤 OWCS 코리아 쓰리핏 달성 [2] Riina2112 25/10/14 2112 0
81764 [LOL] 명가의 부활! 2025 Asia Masters 파이널 후기 [5] 비오는풍경4967 25/10/13 4967 2
81763 [LOL] 2025 월즈 뮤직비디오 - Sacrifice [79] 라면6995 25/10/13 699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