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9/21 23:30:26
Name Kaestro
Link #1 https://kaestro.github.io/%EA%B2%8C%EC%9E%84%EC%9D%B4%EC%95%BC%EA%B8%B0/2025/09/21/%ED%95%A0%EB%A1%9C%EC%9A%B0-%EB%82%98%EC%9D%B4%ED%8A%B8-%EC%8B%A4%ED%81%AC%EC%86%A1-%EB%A6%AC%EB%B7%B0.html
Subject [콘솔] 올해 최고의 모험을 즐길수 있었던 게임 — 할로우나이트 실크송
View post on imgur.com


사실 할로우 나이트에 대한 좋은 소문을 워낙에 많이 들었고 그렇기 때문에 할로우나이트는 좋은 게임이라는 소문이 있으면 일단 플레이해보고 분석하기를 좋아하는 제게 있어서도 도전의 대상 중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할로우 나이트의 문턱에서 세 번 좌절했습니다. 이유는 할로우나이트는 대체 제게 뭘 하기를 원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세 번의 도전 동안 1시간을 채 플레이하지 못한 채 ‘그래 뭐 돈 주고 산 것 아니고 엑박 패스니까’라는 핑계를 대며 삭제한 게임이 사람들이 많이들 인생 게임이라 부른 할로우나이트와 저의 인연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이번 실크송 역시도 많이들 발매 전부터 이야기를 꺼냈지만 저는 원래는 해당 게임을 플레이할 생각이 없었고 리뷰 정도나 볼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실크송의 발매일이 갑자기 발표됐습니다. 발매일 9월4일, 가격은 무려 20달러도 안되고 심지어 평론가들에게 제공조차 하지 않은 게임. 너무나도 이례적인 행보와 마침 하고 있는 게임도 없는 와중에 스위치2로 플레이하기에 너무 적합한 메트로베니아라는 장르이기 때문에 저는 9월4일 새벽 4시에 불면에 일찍 일어나 실크송을 다운로드해 플레이했습니다. 그리고 실크송은, 올해 제가 기대하고 플레이한 수많은 게임들이었던 몬스터 헌터, 동키콩 바난자, 클레르 옵스퀴르 등을 압도적으로 뛰어넘고 단연코 제 올해의 게임이 됐습니다.

본 리뷰는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대한 스포를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피하고 싶으신 분께서는 뒤로가기를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

[모험이란 실패를 각오하는 것이다]

모험은 사전적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어떠한 일을 함, 또는 그 일이라 정의돼있습니다. 이 때 위험을 무릅쓴다함은 모름지기 자신이 해낼 수 있는 안전범위를 벗어나 실패를 경험할 것을 각오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은 플레이어가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실패와 짜증으로 가득할 수 있는 요즘 게임들이 지향하고 있는 바에서 정 반대의 행보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저도 이 지점이 스팀에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단에서는 고평가를 받고 있는 주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메타 크리틱 기준으로 9월 21일 현재 실크송은 92점을 받은 반면, 한국 사용자 기준으로 76%의 대체로 긍정적이란 평가와 모든 언어 기준으로 82%의 매우 긍정적이라는 좋지 못한 상반되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실크송의 몬스터들은 한마디로 짜증납니다. 참신하다 싶을 정도로 짜증납니다. 초반부터 연타하는 몬스터 투성이에 벌레 아니랄까봐 날아다니는 몹이 안 날아다니는 몹의 절반은 되는 듯하고, 땅에 있는 적은 어마어마하게 뛰어다니는데다가, 원거리 공격은 기본입니다. 심지어 파쿠르 액션으로 수많은 함정과 기믹들을 헤쳐나가야하는 상황에서 옆에서 파리들은 당신을 째려보면서 침뱉고, 날아와 부딪힙니다.

실크송의 맵은 괴롭습니다. 대체 휴식처는 어디있는지도 모르겠는 망망대해의 지도도 없는 상태에서 한발 한발 함정은 아닐까 걱정하며 발을 내디뎌야하는 것은 부지기숩니다. 맵 곳곳은 함정으로 가득하고, 지금 내 눈 앞에 보이는 보상은 지금 도달할 수 있는 곳인지 아닌지조차 모릅니다. 당신이 준비가 돼있다면 갈 수 있을 것이고, 준비가 안돼있다면 아쉽지만 그럴 능력을 획득하고 다시 돌아오시길 바랍니다. 지도에 마크는 남겨두시고요. 아 그 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캄캄한 암흑을 휴식 장소 없이 두려움을 한켠에 안으신 상태로 돌아다니셔야하고 맵에 꽂으실 수 있는 핀은 유료로 갯수 제한이 있습니다. 회복 능력이 있으니까 괜찮으시다구요? 그래서 회복 불가 기믹도 추가해드렸습니다.

실크송의 보스는 악랄합니다. 제가 실크송의 전투에 처음으로 욕을 했던 시점이 바로 나무위키에서도 많이들 초보자들의 통곡의 벽이라 불리는 흉포한 야수피리입니다. 아머드코어6를 플레이하신 분들이라면 튜토리얼에 나오는 헬기의 별명이 플라잉 군다인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여러분은 착각하고 계십니다. 진정한 플라잉 군다는 프롬의 아머드코어6가 아닌 실크송에 있었습니다. 이녀석이야말로 진정한 플라잉 군다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View post on imgur.com


빠른 횡이동, 종이동, 비행이라서 타격 가능한 시간은 짧은데 2페이즈에 돌입하면 무한정으로 잡몹을 소환해 정신을 혼미하게 하는 이 친구는 진정으로 실크송 제작진이 유저에게 전하는 메시지라 할 수 있습니다. ‘얘 못잡으면 환불하시거나 게임 삭제하세요.’ 그런 너 게임 개못하잖아란 도발을 듣고 게이머가 도망칠 수 있겠습니까? 전 흉포한 야수파리 잡는데 세 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여러분도 힘내주십시오.

흉포한 야수파리를 가지고 플라잉 군다라고 하는 이유는 사실 흉포한 야수파리는 어떤 의미로 실크송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액션의 체험판이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상대하는 몬스터들은 이제 보스 뿐만이 아니라 잡몹 소환 패턴을 꾸준히 가지고 있을거고, 상하좌우로 정신없이 날아다니는 몬스터와 투사체를 때로는 위로, 아래로, 밟고 무적타이밍을 이용해가며 잡아야합니다.

이처럼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서 호넷이 극복해야하는 대상들은 일반적인 게임들에서 그러하듯 유저가 죽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를 죽이기 위한 악의’로 가득차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이런 수많은 실패를 뛰어넘으면서 해냈다는 즐거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었던 게임이었습니다.

---

[모험이란 길을 헤메는 과정이다]

모험의 사전적인 정의를 떠나 제게 개인적으로 모험과 일반적인 여행의 차이가 무엇이냐 묻는다면 저는 모험은 길을 헤메는 것이 목적이고 여행은 목적지가 있는 것이 차이라고 답하겠습니다. 그리고 실크송은 그 모든 과정이 괴로움으로 가득차있지만 동시에 그 미지의 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궁금하게 만들기 때문에 유저에 대한 단순한 괴롭힘이 아니라 모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크송은 게임의 시작부터 굉장히 범상치 않은 게임입니다. 실크송은 여러분에게 무슨 버튼을 눌러야 캐릭터가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이는지, 점프를 하는지, 바늘을 휘두르는지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그냥 버튼을 눌러보시고 캐릭터를 움직이세요. 어디로 가는지도 알려드리지 않겠습니다. 잘 관찰하고 어디로 가야하는지 결정하세요. 그리고 이런 실크송의 일련의 플레이 과정은 모두 동일한 기조를 유지합니다. 유저가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큰 방향은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해야하는지는 알려드리지 않겠습니다. 알아서 하세요.

그리고 실크송이 이것이 가능한 가장 큰 이유는 지도가 존재하는 상황과 지도가 부재하는 상황이 끊임없이 교차하는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지도가 존재하는 범위 내에서 유저는 안전한 범위 내의 미지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그 미지는 분명 지도의 범위 내인데도 불구하고 제작자가 표시하지 않은 비밀의 방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진정한 모험은 지도를 벗어났을 때 찾아옵니다. 내가 어디 있는지, 얼마를 더 나아가야 안전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지 한치 앞도 예상하기 힘든 고난 속에서 길을 잃고 헤메고 있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 실크송의 모험입니다. 그리고 이런 일종의 정반합이 교차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안전과 위험을 더 명료하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크송은 오픈월드 rpg 게임은 아니기 때문에 엘든링, 스카이림, 야생의 숨결, 발더스 게이트 등의 게임들이 제공하듯이 어떤 방법으로든 엔딩을 보실 수 있다는 자유를 제공하지는 못합니다. 엔딩을 보시기 위해서는 이단 점프를 하시거나, 낙하산을 타고 기류를 타고 올라가셔야 할 수 있어야할 거고, 로프 액션도 하실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셔야할 겁니다. 맵을 돌아다니시다보면 그런 기술이 있어야만 지나갈 수 있는 지형들은 계속해서 보입니다.

그정도의 자유를 제시하지 못하는 게임의 장르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크송은 해당 능력이 있어야만 갈 수 있는 지형을 탐험하는 모험을 선택할 자유만큼은 유저에게 제시합니다. 여기가 궁금해? 그러면 능력을 갖추게 되면 다시 돌아와. 대부분의 경우 그 보상은 이렇게 고생한 것에 비해 너무 하찮은 것이 아니야? 싶은 것이 대부분입니다만 그 역시도 모두 즐거움이니까요. 자고로 던전이라함은 안에 있는 모든 함정을 하나하나 파헤쳐주는 것이 즐거움 아니겠습니까. 그 끝에 있는 것이 보잘 것 없는 잡템이라면 고작 이것 때문에 이렇게 생고생을 했다니 너무 웃기잖아라며 웃어넘기고 다음의 모험을 향해 나아가면 될 뿐인 일입니다. 어차피 실크송은 우리를 위해 그것 말고도 수많은 모험을 준비해 뒀으니까요.

---

[아직 끝나지 않은 여정]

사실 방송을 통해 혹은 직접 플레이를 하신 분이라면 제 엔딩 크레딧을 보고 ‘사실 그거 끝 아닌데?’라는 생각을 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플레이한 부분은 실크송의 총 2장에 해당하는 엔딩으로 소위 3장 혹은 진엔딩으로 불리는 추가적인 여정이 뒤에 있다는 사실을 저도 어쩌다보니 접한 상황입니다. 아마도 이 여정이 더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더라도 실크송에서 아직 제가 탐험하지 못한 공간이 너무도 많기 때문에 플레이를 그만하지 않을 예정이었습니다만, 지금까지 즐긴 것과 같은 모험이 아직도 많이 남았다는 사실이 저를 너무 가슴뛰게 하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아마 못해도 한 열 시간 이상을 분노하고 괴로워하면서 헤메는 과정을 거치고 나서 앞이 보이지 않는 여정을 계속해 나가며 혹시 여기가 3장인가?하는 모험을 저는 계속해서 즐길 예정입니다.

만약 게임에서 미지의 모험에 대한 설렘을 느껴본지 오래되셨다면, 실크송은 그런 당신을 위해 준비 된 올해 최고의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최소한, 저에게는 그랬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시터스킬고어
25/09/21 23:51
수정 아이콘
저도 올해 플레이한 게임 중에 최고였습니다 2만원이 맞는 가격인가 싶을 정도로 말이죠
25/09/22 04:37
수정 아이콘
저는 이 게임에 지금보다 돈을 훨씬 더 줬어야했어도 값어치를 하고 남았다 생각하는데 돈 욕심이 진짜 없었나 싶은게 대단하더라구요.
사실 게임 퀄리티 상관없이 전작이 워낙 흥행해서 돈을 더 받았어도 이번작 퀄리티 상관없이 지금보다 돈은 더 많이 벌었을 것 같은데 말이죠
LCK제발우승해
25/09/21 23:55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18시간정도했는데 2장 초중반인거 같아요.. 1장에서는 금방 왔는데 길찾고 다니는게 너무 힘드네요ㅠ
이번작 너무 맘에 드는데 딱 2가지 맘에 안드는게 2뎀이 너무 기본값이라는 점과 잡몹들 중 원거리랑 공중몹이 너무 많다는 점입니다ㅠ
원거리들이 백스텝 밟거나 공중에서 멀어지면 진짜 게임하기 싫어져요ㅠ 보스에서도 이런 잡몹들 소환하니까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네요.

저는 네이버 멤버십 Xbox Game Pass로 공짜로 이용중이긴 합니다 크크
25/09/22 04:38
수정 아이콘
길찾고 다니는게워낙 힘들긴 한데 또 그걸 즐기는 게임이기도 하긴 하죠 크크
잡몹 소환, 원거리 백스탭 스트레스 받긴 한데 이런저런 스킬 받게 되면 좀 덜하기도 하고 그런 것 같습니다
LCK제발우승해
25/09/22 14:37
수정 아이콘
위와 같은 짜증나는 요소들과 전작과 너무 비슷한 구조임에도 굉장히 재미있는 이유는
문양을 통해 사실상 여러 개의 캐릭터를 하나의 세이브 파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2장 초중반까지는 굉장히 정해진 패스가 있어서 마음이 편했다은 점입니다. 2장중반부터는 내가 이제 어디로 가야하지. 내가 뭘 해야하지.라는 고민을 하게 되지만요ㅠ
25/09/22 14:43
수정 아이콘
사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작품은 진짜 레벨 디자인이 기깔나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말씀대로 게임에 아직 덜 익숙할 때는 어느 정도 제약을 두고, 익숙해질수록 점점 플레이어의 선택권을 늘려주는 방식인거니까요
그리고 제약을 두고 있는 상황일 때에도 심지어 미지에 대한 궁금증을 계속 불러일으키고, 게임 내 모든 것을 알려주지 않는 지점까지 아주 끝내줬습니다 크크
25/09/22 00:15
수정 아이콘
저도 진짜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25/09/22 04:39
수정 아이콘
사실 욕을 많이 먹고 있는게 개인적으로 너무 아쉬운 게임입니다. 진짜 너무 재밌고 잘만들었거든요
변명의 가격
25/09/22 00:32
수정 아이콘
보스보다 날파리가 백무빙 치면서 던지는 동전 같은 게 더 빡치더라고요.
25/09/22 04:39
수정 아이콘
한마리만 있어도 짜증난데 그 친구들이 이제 다른 몹들이랑 조합돼서 나오는 패턴들이 진짜 짜증이 어마어마하죠
디쿠아스점안액
25/09/22 07:19
수정 아이콘
스트리머가 플레이하는 걸 보고 딱 들었던 느낌은 "아 이거 칼로 플레이하는 록맨이구나..."
25/09/22 07:41
수정 아이콘
정작 제가 록맨은 제대로 해본적이 없어서 어떤 느낌인지 잘 모르겠네요.
캡콤, 해줄거지?
디쿠아스점안액
25/09/22 08: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렵습니다...(게임 난이도가)
25/09/22 09:12
수정 아이콘
제로 좋아하던 입장에서는 너무 반가운게임입니다
25/09/22 16:15
수정 아이콘
시작하고 잡몹 잡는데 왠지 록맨3 같은데 했는데
나만 느낀건 아니었군요
25/09/22 07:39
수정 아이콘
GOTY! GOTY!!
25/09/22 07:41
수정 아이콘
일단 제 기준으로는 아마 고티로 남을거 같네요 크크
25/09/22 08:06
수정 아이콘
50시간만에 100% 진엔딩봤습니다.
3장이 특히 더 재밌습니다.
올해한 게임중 단연 최고였습니다.
25/09/22 08:10
수정 아이콘
스팀에서 평가가 좋지 못하길래 걱정에 공유해본 건데 노파심이었나보군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즐기셨네요 크크
100% 진엔딩이면 아마 업적작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대단하시네요. 저는 아직 길찾느라 한세월입니다. 2단 점프도 거의 35시간 쯤 돼서야 찾은 것 같네요 크크
저도 단연 올해 한 게임 중 최고였습니다. 좀 뒤져봐야할 것 같은데 어쩌면 작년까지 합쳐도 최고일 수도 있겠군요
25/09/22 08:16
수정 아이콘
어제 만난 보스 이름이 야수피리였군요.
가기전까지도 하방치기 개힘들었는데 보스에게 한번 스칠때마다 피 두칸 나가는거보고 끄고 잤습니다 크크
25/09/22 08:21
수정 아이콘
아 오탑니다. 야수 파리일겁니다 크크
저도 진짜 저 보스 잡는다고 이악물고 때려댔더니 결국 실력이 늘긴 하더군요.
그리고 뒤로 가면 저정도 패턴은 양반이기 때문에 크크 이게 애매하게 높게 가서 아래로 피해야될지 위로 피해야될 지 모르겠는 각이 나오다보면 진짜 사람 성격 더러워지게 만들더군요
닉네임바꿔야지
25/09/22 08:39
수정 아이콘
이제 슬슬 2장 마무린데 이거 너무 어려워요. 공중몹들 아파치 헬기 마냥 무빙하는 것도 그렇고. 보스몹들이 쫄몹 부르는 것도 그렇고. 못 깰 정도는 아닌데 할로우나이트 후광을 입지 못했으면 지금처럼 흥행에 성공했을까 싶습니다.
25/09/22 09:08
수정 아이콘
할로우 나이트 후광 없으면 지금만큼의 성공은 못했을 수도 있긴 한데 욕은 지금만큼 먹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크크
말씀대로 어려운 것도 어렵고, 그보다 최근의 게임들에서 암묵적으로 지키던 룰이라 할만한 것들을 어기는 게 사실 사람들이 느끼는 불쾌함의 가장 큰 요인이 아닐까도 싶습니다
이 게임 화톳불이 왜 보스룸 앞에 없어?
쫄몹 정리 아직 덜끝났는데 왜 계속 뽑아? 뽑는 횟수 제한도 없어? 같은 것들이요
카오루
25/09/22 09:28
수정 아이콘
혹시 컵헤드 해보셨을까요? 비교해서 난이도가 어떤가요?
컵헤드를 아득바득 깨면서 너무 스트레스 받는 구간이 많았어서

그것과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면 패스해야할거 같아요 ㅜ, 그것보다는 할만하다면
어떻게든 컵헤드도 클리어 했으니 좀 쾌적하게 할수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고요
25/09/22 10:08
수정 아이콘
컵헤드를 아득바득 깨셨으면 솔직히 저는 컵헤드보다 훨씬 쉽다 느끼실겁니다
컵헤드는 난이도도 난이돈데 중간에 체력 회복이 안돼서 실수가 용납이 안 되는 게임인 반면, 이 게임은 분명 난이도는 높지만 체력 회복 수단이 굉장히 풍족해서
실수를 많이해도 그것이 용납이 되는 게임이거든요.

저는 컵헤드 2장인가까지는 깼고 해야지해야지 하는데 손이 안가는군요
Infrapsionic
25/09/22 09:35
수정 아이콘
전작을 안해봤는데 바로 이걸 해도 되는걸까요? 너무 어려울까봐 고민중이네요
25/09/22 10:07
수정 아이콘
저는 전작을 사실상 안해본 사람이라 봐야될 것 같고, 저는 원래도 메트로베니아나 플랫포머류의 파쿠르 게임에 익숙한 편이긴 합니다.
이걸 콘솔로 어떻게 조작하란거냐는 소리도 들었는데 전 스위치 조이콘으로 플레이했으니까요.
어려운건 맞는데 할로우나이트 전작은 제 기준으로 초반에 지루한 구간이 꽤 있는 반면(그러니까 전 한시간도 플레이 못하고 게임을 삭제한거고) 이 게임은 초반부터
그런 구간이 아예 삭제된 게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플랫포머 게임을 원래 하셨다면 할만하고, 아니라면 쉽지 않을거 같긴 하네요
25/09/22 11:46
수정 아이콘
난이도도 그렇고, 스토리도 전작과 이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전작을 하고하시는걸 추천드려요
25/09/22 13: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전작안하고 플레이 중 인데 록맨x 시리즈 해보신 경험 있으시면 별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전작을 해봤다 손 치더라도 더 쉽다고 느끼진 않았을 것 같아요.

하시게 되면 키보드로 하시는 편이 난이도가 더 낮을 것 같긴해요.
저는 진동이 좋아서 패드로 하고 있긴한데, 클리어 후에는 키보드로 해보려구요.
바카스
25/09/22 09:36
수정 아이콘
실크송 스피드런 1시간 이내로 끊는 영상보고 이게 내가 고통 받아며 한 게임이 맞나 싶더군요ㅜㅜ
25/09/22 10:05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아예 업적에 2시간 이내 클리어도 있긴 했던거 같습니다 크크
네모필라
25/09/22 10:01
수정 아이콘
일부러 공략 안 보고 했더니만 2장을 반은 털고서야 무기강화의 존재를 알았습니다 크크크 어쩐지 몹이 너무 안 죽더라니
25/09/22 10:05
수정 아이콘
저는 무기 강화를 알아서 한 번은 했지만 귀찮아서 두번 이상은 진행을 안했는데요, 솔직히 한번 한거로는 간에 기별도 안가더군요 크크
잡몹 잡는데 들어가는 대수가 달라져야 체감이 될텐데 똑같더라구요
네모필라
25/09/22 10:16
수정 아이콘
영향력이 크진 않나보네요 플라시보였나...!
25/09/22 10:16
수정 아이콘
2강한 순간부턴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 엔딩 보고 나면 진행하려고 생각중이었습니다. 무기강화 퀘가 해야될게 진짜 너무 복잡하고 귀찮더라구요
네모필라
25/09/22 11:10
수정 아이콘
하다보니 2강까지는 어케 됐는데 마지막 하나가 찾아보니 배달퀘네요? 1때도 꽃배달 던졌었는데....
25/09/22 11:18
수정 아이콘
이거 꽃 배달 퀘가 연계해서 두개 같이 되는게 아니라 별도로 있는거였나보군요 기름찾는게
전 꽃배달 못해먹겠어서 2강 안하고 있었습니다 크크
네모필라
25/09/22 14:25
수정 아이콘
처음엔 그냥 해주고 2장 진행중에 기름 하나 주울 수 있어서 거기까지는 했습니다 흐흐흐흐
25/09/22 14:27
수정 아이콘
제가 그걸 못 줍고 2장을 끝냈습니다... 열심히 찾아봐야겠군요
네모필라
25/09/22 14:28
수정 아이콘
금고 쪽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25/09/22 13:11
수정 아이콘
저도 너무 재밌게 하고있습니다. 특히 세계관이 가장 마음에 드네요. 근데 난이도가..... 너무 쌍욕나오네요 ㅠㅠ

그래도 비슷한 느낌으로 좋아했던 블러드본 느낌도 살짝 들어서 끝까진 한번 가볼생각입니다. 거의 인생과제가 될듯..
25/09/22 13:32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난이도가 좀 쌍욕나온다 싶은 구간들이 계속 나오긴 합니다. 레벨 디자인이 어찌나 잘된건지 한 맵에서 좀 익숙해져서 나 좀 이제 잘하나? 게임 시시한거 같은데? 하면 이제 어디서 누구 하나 튀어나와서 양 볼싸다구를 후리고 가버리는 느낌이죠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6249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1176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2378 13
81699 [콘솔] 올해 최고의 모험을 즐길수 있었던 게임 — 할로우나이트 실크송 [42] Kaestro5783 25/09/21 5783 5
81500 [콘솔] PS PLUS 8월 게임 : P의 거짓, DAYZ, 나의 히어로 원즈 저스티스2 [10] 빵pro점쟁이7370 25/08/04 7370 0
81443 [콘솔] 포켓몬 프레젠트 나왔습니다 [8] 두드리짱5102 25/07/23 5102 0
81427 [콘솔] [철권] 2025 STL S1 FINALS 대회 및 관람 안내 [4] 염력의세계5529 25/07/17 5529 2
81425 [콘솔] 인왕3 체험판 올라왔습니다 [13] 빵pro점쟁이7693 25/07/17 7693 1
81394 [콘솔] 엑스박스 퍼스트파티의 붕괴 [14] minyuhee8096 25/07/09 8096 8
81382 [콘솔] Xbox 대량 해고가 오늘 진행 예정 [61] 그말싫16746 25/07/03 16746 0
81368 [콘솔] PS PLUS 7월 게임 : 디아블로4, KOF15, Jusant [11] 빵pro점쟁이14986 25/06/26 14986 1
81361 [콘솔] 페르소나 ost 시티팝 리믹스 (AI) [2] 라쇼5871 25/06/23 5871 1
81346 [콘솔] 스위치2 신작 <동키콩 바난자> 다이렉트가 있었습니다. [21] 밥도둑8809 25/06/19 8809 1
81312 [콘솔] 몬스터헌터 : 썬브레이크 후기 [13] 데갠7457 25/06/12 7457 1
81282 [콘솔] 내가 누구? 스위치 2 오우너! [49] 及時雨9448 25/06/05 9448 10
81280 [콘솔] 플레이스테이션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11] 김티모5552 25/06/05 5552 0
81199 [콘솔] [게임 클리어 후기:스포있음] 스플릿 픽션 [8] RED9458 25/05/12 9458 0
81102 [콘솔] [철권] STL CLUB BATTLE 매치업 & 라인업 (4.19~20) [5] 염력의세계4093 25/04/14 4093 0
81083 [콘솔] 게임패스로 떠난 작은 여행 [4] 초모완7303 25/04/07 7303 5
81059 [콘솔] 스위치2 다이렉트 정보 [59] 두드리짱11139 25/04/02 11139 1
81042 [콘솔] 이번 닌다에 공개된 한글화,정보 [24] 두드리짱9901 25/03/28 9901 1
81009 [콘솔] 주말의 몬헌 와일즈 흑갈리 구동 후기 및 와일즈 감상 [40] Cand10790 25/03/17 10790 0
80906 스텔라블레이드 관련 뉴스 + 6월 pc 발매 소식 [9] 설탕물9349 25/02/16 934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