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4 20:56
아무 문제 없음이 9 이상인거 같습니다.
무릎이랑 X에서 거의 한달 내내 키보드로 싸웠는데 10선 뜨라는거 아슬란이 피하니까 그때 공격용으로 쓰인거 말고 누가 문제제기 하는 경우가 없었던거 같아요. 오히려 서양 프로들이나 주최쪽이나 지지해주면 지지해줬지
25/08/04 20:42
그냥 선수건강에 안좋으니까 금지약물인거고 별 영향 없는건 맞죠. 집중력에 영향끼치는 약물인거 자체가 문제면 커피빨아도 약쟁이라고 해야죠.
25/08/04 20:57
ESIC(e스포츠 청렴위원회) 측도 “WADA 기준은 이스포츠에 맞지 않는다”며 이번 징계를 공식적으로 따르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TWT, EVO, EWC 같은 주요 대회들은 아슬란 징계를 인정한 적도 없고, 오히려 해명을 도와주고 있구요.
25/08/04 21:12
아슬란 국적이 뭐 업계 다 조종할 급인가? 그것도 아님
아슬란 본인 자체도 그정도로 인기 많은선수인가? 그것도 아님 그냥 애더럴같은 ADHD 치료용 집중력 향상 약물 말고는 영향 없다는거죠 뭐
25/08/04 21:32
경기력에 얼마나 영향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주요대회에서 규정상 문제가 없다면 iesf가 그냥 급발진 했을 뿐이지 않나 싶습니다.
25/08/04 21:40
저도 평소에 트위터로 입터는 아슬란 별로 안좋아 했고
도핑 걸렸다는 소식에 '드디어 네놈이 돌아오지 못 할 강을 건넜구나 크크크' 드디어 무한 까임권 생겼다 좋아했는데 알면 알아볼수록 대회 주최측이 그냥 동네 로컬룰 가지고 개유난떤거던데요... 관련 커뮤도 이미 그렇게 정리된지 꽤 된거 같은데 그나저나 오늘 점심시간에 EVO다시보기 보긴 봤는데 진짜 짜증날정도로 잘하긴 쥰내 잘하더군요. 극찬마려울 정도 크크
25/08/04 21:42
관련 연구가 진행되지 않는이상은 몸을 활발하개 쓰지않는 종목은 계속 말 나올것 같습니다
정말 잘하긴 하지만 전 유보 하겠습니다 찜찜해요
25/08/04 21:52
저는 본문에 동의하는 입장이지만, 결과적으로 이제는 아슬란애쉬가 철권 고트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후에 도핑이 E스포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명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한 종목의 고트라고 불리는 선수가 도핑의혹이 있는 것만으로.... 저는 그 씬의 비극이라고 봅니다. 철권3과 TT때 인생을 갈아넣었던 올드팬이지만 스파6에 비해 참.... 정이 안가게 되네요.
25/08/04 23:22
파키스탄 출신 선수가 밉상이면 밉상이지 뭐라고 온 이스포츠 단체에서 감싸겠어요.
상금 미지급하던 쓰레기 대회(아슬란만 못 받은 것도 아니고 다 못 받음)에서 트집잡을 거리 하나 잡은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25/08/04 23:55
냉정하게 말해서 자본주의적 논리로 이게 맞죠. 철권판 망가뜨리는 큰 원인중 하나가 파키스탄에서 잘하는 게임인건데요.
가장 많이하는 국가가 한국이랑 파키스탄인데 한국은 구매력이라도 높지 파키스탄은 처음에야 저런데서 이스포츠 스타가 탄생했구나 하고 상도주고 빨아줬지 지금은 그냥 눈엣가시죠. 아슬란 애쉬가 철권 잘한다고 대체 어느 누가 이득을 보겠어요. 하라다는 X에서 대놓고 파키스탄 싫어하는티 팍팍 내는데...
25/08/04 23:42
그냥 트집이고 철권 고트 맞죠
뭣보다 여기서 인정못해 해봤자 지금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문제 없음으로 절대 우세가 되어버린 상황이라 그리고 철권은 이제 무릎은 '그 무릎'이라는 칭호 받을 정도까진 아니죠
25/08/05 00:06
(수정됨) 스테로이드가 이스포츠에 긍적적인 효과가 있는지 정도는 의학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나 싶고. 본문에서는 스테로이드의 긍정적인 면만 언급했지만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에는 집중력 저하 같은 이스포츠에 있어서는 더 치명적인 부작용도 있다고 하죠.
그래서 기존 스포츠에 적합한 도핑 기준이 아닌 이스포츠에 적합한 도핑 기준에서는 괜찮다고 하니, 현재로서는 그 단체의 설명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스테로이드 같은 애매한 거 말고 에더럴 같은 직접적으로 효과 좋은 약도 있는데... 이런 거 잡는 게 우선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25/08/05 00:25
단체들이 잘못 대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릎은 "에보처럼 3일간 빡세게 치뤄지는 대회에서 체력이슈는 당연히 중요하지 않나?" 고 말하고 있죠. 단체들은 집중력과 관련된 약물이 아니니 따로 체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고요. 그럼 성적이 중요한 무릎 입장에서는 생각처럼 진짜 좋은지 약을 먹어보고 대회를 뛰면서 테스트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래선 안되잖아요. "억울하면 너도 해." 라고 말할 수 없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겁니다.
25/08/05 00:30
나중에 이스포츠 영역에서도 기성스포츠와 동일한 약물기준이 당연시 될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체력이나 장기적인 집중력 얘기가 일리있다고 생각하기도 하고요.
다만 금지약물이라는게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게 아니라..이것도 주관적 판단의 문제에 가깝죠. 아무래도 약물의 강도에 상관없이 모두 잡아낼순 없으니, 결국 금지약물 지정도 심각한 것만 금지하는 가성비를 찾는것도 맞거든요. 리플말마따나 경기력에 도움됨 + 몸에 안 좋음 으로 금지약물 때릴거면 카페인도 섭취하지 말라고 해야죠. 경기력에 영향이 제로여야만 허용가능한 영역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래서 많은 선수들, 많은 대회에서 이 정도는 문제없는 영역이라고 주관적으로 판단했다면, 그것도 존중할만합니다. 기성스포츠의 규정을 그대로 들고오는것보단, 새로운 영역에서 새롭게 판단해 나가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보고요. 나중에는 그렇게 판단해서 수렴한 결과가 기존 스포츠의 규정 그대로가 될수도 있겠죠.
25/08/05 01:12
(수정됨) 이미 그 약은 아무 영향 없다고 밝혀졌죠. 국제 대회도 전부 문제 없다고 하고 해외 여론도 아슬란쪽으로 거의 다 돌아섰습니다. 혼자만 축하 안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무릎 수호 하려고 이러시는건가 싶기도 하고.
25/08/05 23:25
(수정됨) 스테로이드 관련 논문이나 글들만 봐도 알 수 있으실텐데요. 게임은 공부와 비슷한면이 많다고 생각하는는데 성적 잘 나오려고 스테로이드 빨면 진짜 효과가 있을거라고 보시나요? 오히려 정서불안, 조증, 공격성 증가, 뇌의 피로 증가등 부작용이 더 심하면 심했지 긍정적인 요소는 찾긴 어렵습니다. 그냥 아슬란은 물근육 키우려고 스테로이드를 빤거고 이건 게임과는 무관한거죠.
최근 게임 관련 기구의 발표들을 봐도 다 문제 없다고 하고 해외 여론도 똑같습니다. 게임 대회에서 스테로이드 검출할정도면 지금 선수들이 게임할때 마시는 커피부터 다 금지시켜야돼요. 카페인이 더 효과가 좋은데 말이죠.
25/08/05 23:29
아니 논문이 언제부터 논문만 봐도 알 수 있다고 할 만큼 간단한 꺼리가 됐습니까... 지금 steroid로 검색하면 논문이 [백만 개 넘게] 나와요. 어떤 논문, 어떤 글인지를 말씀해 주셔야지 그냥 보면 안다고 하면 그건 적절한 대답이 아니죠.
25/08/05 23:40
스테로이드로 인한 정서적 불안과 부작용에 대한 글은 당장 검색해도 수백 수천개가 나와요. 스테로이드가 집중에 효과가 좋았으면 대한민국 학부모가 다 자식들한테 먹였을겁니다. 근성장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부작용이 훨씬 커요. 가장 큰 부작용중 하나가 불면증과 비이성적인 행동, 공격성 증가입니다.
https://openarchive.ki.se/articles/thesis/Side_effects_and_experiences_of_doping_with_anabolic_androgenic_steroids_in_men_and_women/26916751?file=48961018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8874925000413 https://www.annallergy.org/article/S1081-1206(10)62858-X/abstract
25/08/05 07:58
제가 별 관심없는 판이라
이곳 게시물 몇개 정도로만 상황 파악을 하고 있습니다만 .. 대략적으로 어떤 군소 대회에서 올림픽과 같은 기준으로 체크해서 스테로이드가 적발된 아슬란 대부분 주요 대회에서 해당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스테로이드를 금지 약물로 지정하지 않음 대충 이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 전제가 맞다고 할 떄 금지 약물을 규정하는 건 해당 종목/대회의 운영 주체고 거기서 아니라고 했고 현 규정상 없으면 금지 약물이 아닌 거죠 효과는 따질 필요도 없습니다 스테로이드의 유해성 혹은 이스포츠에서의 효능을 볼 때 마땅히 금지약물로 지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타겟을 아슬란이 아닌 주체쪽으로 잡아야 하구요
25/08/05 10:55
(수정됨) 아슬란이냐 무릎이냐의 철권 GOAT 논쟁을 끝내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이긴 하죠.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이게 문제가 아니다 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데, 이 건은 이제 문제가 아니게 되어버렸죠. 타 스포츠마냥 도핑 의혹이 있는 선수가 대회에 나온게 아니고 약을빤게 확정된 선수가 아무 문제 없이 대회 나온 순간 이미 이 이슈는 위에서 얘기한 GOAT 논쟁의 WWE 요소 중 하나의 기능적 요소만 남게 되어버렸습니다.
25/08/05 11:30
에휴.. 솔직히 말해서
E스포츠는 체력보다 반응 속도, 손의 정밀함, 두뇌 회전, 멘탈 집중력이 중요하죠. 근데 사실 스테로이드는 근육량, 지구력(그 체력 아닙니다.) 회복엔 도움 되지만, 멘탈 집중력 향상과는 관련이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불안, 불면, 충동조절 장애 같은 부작용이 오히려 집중력을 해치죠. 로이드 레이지라고 들어보셨나요? 게임에선 더 치명적일겁니다. 보디빌더 하는 인간들이나, 힘쓰는 인간들이 좋죠
25/08/05 16:25
본문에 동의하는게
스테로이드가 체력에 영향을 준다면 무조건 약빨을 받았다고 봐야죠 저 정도 레벨의 선수들이 앉아서 스틱잡고 반응하면서 움직이는데 들어가는 체력은 보통이 아닙니다. 저렇게 하루종일 하면 퍼져요.. 체력 떨어지면 집중력과 반속에 바로 영향이 오구요. 이번 대회야 약빨 안받았겠지만 스테로이드가 반속과 관련없으니 영향 없다고 하는 주장에는 동의가 안되네요.
25/08/05 16:43
저도 얼마 전에 지식백과 유투브에서 보고 이런저런 생각을 하긴 했는데,
아슬란 도핑 논란은 마라도나의 코xx 복용과 비슷하게 봅니다. 복용으로 인한 일시적 각성 효과는 있었겠지만, 운동 능력, 특히 축구 실력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했을 겁니다. 오히려 운동에는 해악이 더 컸다는 것이 중론이며, 오히려 마라도나는 이탈리아 마피아에 의해 이용당한 피해자로 보기도 하며 GOAT 논쟁에 빠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슬란 선수의 기록 말살이 정당하려면, 해당 약물이 종목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어야 할 것입니다. 스테로이드는, 글쎄요. 격투 게임에서는 니코틴이나 카페인보다도 영향이 적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eSports에서도 논란이 되는 물질이 있잖아요.
25/08/05 18:10
그래서 약물 적발된 그 대회는 기록 말소된 걸로 알고 있는데 EVO라던가 다른 중요 철권 대회에서도 약물이 적발되거나 약물의 효과를 통해 이득을 보았나요? 반박 하려는게 아니라 진짜 몰라서 물어보는 거에요
25/08/05 20:47
해외에서는 아무도 스테로이드랑 경기력을 연관짓지 않아요. 제 생각도 같고요. 저도 아슬란 비호감이지만 잘하는걸 어쩌겠습니까? 생각을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25/08/06 00:11
이스포츠 잘하는 사람들의 체형이나 성향을 보면 근돼 스타일은 아니라고 말 할 수 있겠고.
글쓴분이 주장하는 효과는 뇌피셜일뿐이고 전혀 검증을 거치지 않았는데 갑자기 리플단 분들이 반박하면 아니라는 객관적인 증거를 내밀라니 어처구니가 없네요. 본인이 아나볼릭 스테로이드가 이스포츠 선수나 혹은 머리를 쓰는 직종에 도움이 된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먼저 가져오세요. 정말 효과가 좋았다면 각종 이스포츠의 선수들이 쉬쉬하며 사용하거나 프런트에서 권유했겠죠. 어차피 불법도 아니니. 현재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이스포츠 선수에 대한 객관적 효과 검증도 없고 선수들도 기량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규정에도 문제가 안되는데 혼자 고트 아니다 약쟁이다 주장하면서 특정 선수를 비하 하는게 매우 불쾌하네요.
+ 25/08/06 16:00
다른 리플에서도 말씀드렸는데 약쟁이라는건 cheating 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고 그래서 부정적인 의미입니다.
Cheating 목적이 아닌 개인 목적으로 사용했다면 성형이나 위고비나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나 차이가 있을까요? 본인이 약을 사용한 모든 사람을 약쟁이라고 부르고 싶다면 저에게 말하지 말고 혼자 그렇게 사용하셔도 될거 같아요. 전 cheating 목적의 약쟁이를 이야기한거라 대상이 다릅니다.
+ 25/08/06 18:01
약이 제일 많이 퍼진 판이 보디빌딩인데
대회 하나도 안나가고 그냥 동네 헬스장에서 운동해도 약 꼽으면 약쟁이라고 부릅니다 아니 단어 자체가 약 하는 인간 아닌가요? 치팅이 중요한 의미면 치터라고 부르시면 되죠 저도 아슬란 치터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25/08/06 16:11
당뇨약이나 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을 어떤 사람은 약쟁이라 부르고 싶을수도 있잖아요.
사바나님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 있구요. 이글에서 이야기하는 약쟁이는 cheating 목적의 약쟁이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거라서 본인이 생각하는 약쟁이의 바운더리와 달라요.
+ 25/08/06 18:07
당뇨약이나 혈압약 복용하는 사람을 누가 약쟁이라고 하나요???
펜타닐을 예를 들어 봅시다 펜타닐을 정식으로 처방받아서 쓰는 사람은 약쟁이라고 안하죠 근데 길바닥에서 사서 마약으로 쓰는 사람은 약쟁이라고 하는거고 아슬란은 아나볼릭스테로이드를 몸 키울라고 쓴거 아닙니까? 그럼 약쟁이죠
+ 25/08/06 18:20
그건 본인 기준이시구요.
여기서 말하는 약쟁이의 바운더리와 본인이 말하는 약쟁이의 바운더리가 다르다는걸 인정하기 싫으시면 저도 선생님을 납득시켜드릴 방법이 없습니다. 본인이 하고 싶은대로 말하시면 됩니다. 저에게 강요만 안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