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25 11:52
    
        	      
	 3:30까지면 사실상 니들이 그 이후로 스왑하던말던은 모르겠는데 일단 겜 시작하고 탑은 탑. 미드는 미드. 정글은 정글. 바텀은 바텀으로 가라. 
 라고 명령하는 수준이긴하네요. 애시당초 유충안만들었으면 되는거 아니야? 라고 묻고 싶지만 유충은 포기 못하겠고 라인스왑은 보기 싫으니 이 방법밖에없는거같긴하네요 
	25/02/25 12:50
    
        	      
	 3분 30초면 금방 끝나지 않나? 싶어서 LCK컵 결승 5세트를 돌려봤는데 
 미드, 원딜은 CS 25개, 레벨 3 찍은 상태고 기인의 오른은 CS 0개, 미드에서 경험치 좀 얻어먹고 1렙 후반까지 경험치 먹은 상태로 본진에서 룰루랑 바텀으로 출발. 라인 따라 가다가 상대 탑+봇듀+정글에게 걸려서 4분 7초쯤 반피로 타워 도착, 4인 다이브에 4분 15초에 죽습니다. 만약 Q,W,E 전부 있는 오른이었으면 어지간한 다이브로는 안 죽었을테니 딱 적당한 시간 같기는 합니다. 
	25/02/25 14:17
    
        	      
	 구마유시가 작년폼이라는 가정하에는 호재이긴합니다 티원 첫번째 승리공식이 바텀주도권쥐고 케리아가 판흔드는거라 
 체급좋은 젠지 한화도 좋은면이 있다고보는데 디플은 악재라고 봅니다....... 이러면 베릴 약점이 어느정도 드러날수밖에... 
	25/02/25 14:35
    
        	      
	 하지말라고 패치 만들어논건데 덕지덕지라고 할게 있나요.
 그리고 이스포츠 최대강점이 심판 재량의 완전 배제라고 생각하는데 말씀하신 대회룰로 만들면 심판 재량 개입을 허용하는 거죠. 최소한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야 하니깐. 
	25/02/25 14:43
    
        	      
	 그 룰이라는 걸 게임 외적으로 명확히 규정하는 게 애매해요.
 라인의 범위를 어디부터 어디까지로 할까에서부터 시작해서 효율적인 게임 운영을 위해서 챔프들이 계속 움직일텐데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스왑으로 보고 커버로 봐야하나 등등 
	25/02/26 20:53
    
        	      
	 비디오 판정 있기 전에는
 가장 논란이 많고 팬들도 납득하기 어렸웠던 게 오프사이드 룰이었죠. 이렇게 시스템적으로 하는 게 그나마 낫다고 봅니다. 
	25/02/25 15:03
    
        	      
	(수정됨) 옛날부터 다들 그렇게 트롤 했었죠 크크
 그리고 요즘 트롤은 진짜 칼정지라서.. 그런 단순한 트롤은 바로 정지돼서 아무도 안할 것 같아요. 
	25/02/25 15:42
    
        	      
	(수정됨) 덕지덕지에 어거지 맞네요. 저런 시간룰은 보는 사람도 힘들죠.
 타워가 쌔지는건 직관적이니 오케이인데 멀리서도 돈 먹고 경험치 먹고 크크 유충이나 좀 패치나 해라 크크 
	25/02/25 16:23
    
        	      
	 이르면 24LPL부터, 늦어도 24MSI부터 라인스왑 메타였던 점 생각하면 거진 1년 가까이 지났는데 이제는 스왑 없는 구도로 강제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라인스왑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회와 솔랭의 괴리죠. 어차피 라이엇이 이스포츠로 버는 돈은 한줌이고 IP 팔고 스킨 팔아서 돈 버는 건데 솔랭과 대회가 괴리가 커지면 게임 유저수 줄어들어서 매출에 치명적이죠. 트롤 관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트롤 얘기는 굳이 할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트롤은 인게임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라 제재를 얼마나 빡세게 하는지의 문제죠. 최근에는 제재가 바로바로 집행되고 있어서 생각보다 피드백 괜찮은 편입니다. 
	25/02/25 16:40
    
        	      
	 원래 그냥 막아보려고 했는데 도저히 안 막히니까 억지로 조건 저렇게 붙여서라도 막겠다는거겠죠 전 라인스왑 그만 보고 싶었어서 찬성입니다 
 
	25/02/25 16:47
    
        	      
	 원딜 1명 탑으로 보내는게 지금보다 훨씬 안전해지는거 아닌가 싶네요.
 물론 지금처럼 라인스왑해서 초반에 양팀이 위아래 한라인씩 버리는건 막을 수 있겠지만 탑에 원딜이 가고 바텀에 탱커가 가서 버티는 플레이는 계속될듯요. 어차피 원딜서폿 2대2 1랩싸움 선2랩싸움 밸런스 깨져있는건 똑같으니, 밴픽끝나고 한쪽팀 원딜 한명이 자연스럽게 탑에 혼자 가는 그림이 그려집니다. 
	25/02/25 17:06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 손해가 커질것으로 보입니다. 이전 라인스왑에서는 서폿이 시야 뚫어주면서 상대 정글 시야를 먹어주고 일어날 수 있는 사고 방지턱 역할과 정글 동선을 파악하면서 안전한 정글링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주고있는데 상대가 한번만 탑에 들려서 킬이라도 내는순간 구도가 망가질 게 보여서요.
 상대 탑이 오른같은게 아니라 나르, 암베사, 제이스 이런게 오면 상대도 크게 압박받을 게 없죠. 
	25/02/25 17:23
    
        	      
	 퍼스트 스탠드에서 과연 지금 블루망겜이 온전히 피어리스 때문인지, 아니면 라인스왑이 곁들여져서 나온 대참사인지 결론을 낼 수 있겠군요. 개인적으로는 라인스왑만 없었어도 이렇게까지 승률이 차이나긴 힘들거라고 보고 있긴 합니다. 레드5픽에서 카운터픽 골라서 라인전 단계부터 박살내고 겜 터뜨린다는 선택지가 원천봉쇄된 상태였으니까요. 
 
	25/02/25 21:03
    
        	      
	 그런데 라인스왑 없어도 레드5픽으로 탑을 카운터친다는 이야기는 그 전에도 힘들었습니다. 레드5픽 탑이 카운터보다 짬처리가 된 적이 좀 오래 되서.. 
 
	25/02/25 17:33
    
        	      
	 근데 이러면 그냥 극초반 1렙 설계는 아예 하지 말라 이건데... 그게 또 맞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블루 망겜이라는 말도 있는데 막상 보면 걍 강팀이 이기는거 같긷 하고... 
	25/02/25 17:57
    
        	      
	 상체 쪽에서 인베이드 시도의 거의 없겠네요. 싸움 조금 길어져서 탑미드 합류 이후에 1분 30초 넘어가고 잡을려고 따라가는것도 쉽지 않겠네요 
 
	25/02/25 19:29
    
        	      
	 블루망겜이 과연 피어리스 탓인가 아님 라인스왑 탓인가 명확히 할 수 있긴 하겠네요
 이러고 정상화되면 다행이고 추진 논의할 만하고 이러고 계속 70퍼 넘기면 답이 없는거고;;;; 
	25/02/25 20:28
    
        	      
	 인게임 UI등으로 인한 블루의 강세는 어쩔 수 없어도
 챔프 밸런스상의 이유로 블루의 강세는 진짜 말 그대로 챔프 밸런스에 따라 와리가리할 수 있어서.. 아무리 생각해도 1페이즈 레드 밴 숫자를 늘려줘야하지 않나 싶은 크크 
	25/02/25 21:04
    
        	      
	 이해는 하는데 조잡해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네요 크크크
 이렇게 해서라도 해결된다면 다행이겠지만 예측하지 못한 다른 문제가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긴 합니다. 
	25/02/27 15:20
    
        	      
	 이게한라인경치는먹어도 프리징 당하는걸 자력으로 못풀어서... 원래 적미니언이 포탑에게 죽는동안 아군 미니언 오는속도가 늦어져서 아군타워앞 프리징이 되는데
 이제 탑차이나면 무한프리징 > 탑밀어넣고 미드살짝올려서 태우기 > 집갔다 오면 라인 밀려있음 > 프리징이 될꺼라... 
	25/02/26 19:59
    
        	      
	 ???:야 하지마
 ???:하지말라고 ???:흐즈므르그~ ???: 아 진짜 하지말라고 ㅡㅡ ???: 알빠노 ???:초딩 패치! ???:하 ???:3분30초이후엔 그래도 가능? ???:그래라 xx들아 라이엇의 분노가 느겨지는 크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