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5/31 04:03:40
Name Kaestro
Link #1 https://kaestro.github.io/%EA%B2%8C%EC%9E%84%EC%9D%B4%EC%95%BC%EA%B8%B0/2024/05/30/%EC%9A%B0%EB%A7%88%EB%AC%B4%EC%8A%A4%EB%A9%94-%EA%B0%9C%EB%A1%A0-3.html
Subject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3) - 역대급 팀이 있어도 클린스만은 아시안컵을 우승하지 못했다
[역대급 팀이 있어도 클린스만은 아시안컵을 우승하지 못했다]

최근 한국 사람들을 경악케 한 사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소위 황금세대라고도 불리는 역대급 선수들로 구성된 한국 아시안컵 축구 대표팀이 결승에서 석패를 한 것도 아니라, 4강 진출에 그쳤을 뿐 아니라 내적인 경기력도 참담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 주 요인으로 꼽힌 것은 바로 감독인 클린스만의 전술 부재였습니다. 그리고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역시 마찬가지로 올바른 전략 전술을 수립하지 않는다면 어떤 역대급 우마무스메를 육성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무용지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게임의 기본적인 전략을 이해하고 자신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이를 위한 방법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자신의 에이스 우마무스메의 승리 플랜은 무엇인가]

이 게임에서 가장 먼저 이해해야하는 것은 자신이 에이스 주자로 사용할 우마무스메가 어떤 승리 플랜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2차 카프리콘 배의 추입마였던 두 다른 승리 플랜을 가지고 있는 우마무스메인 나리타 타이신과 응원단장 킹 헤일로와 같은 사례를 놓고 보면 이는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나리타 타이신의 가장 큰 장점은 순위조건이 부재하고 위력은 조금 약하지만 최속의 타이밍에 발동하는 육박하는 그림자라는 현재 유일무이한 금딱 가속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른 추입마들에 비해 비교적 빠른 중반 타이밍에 발동하는 속도 증가 고유기인 Nemesis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나리타 타이신은 여타 골드쉽으로 대표되는 롱스퍼트형 추입마들과 동일한 승리 공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추입마이지만 앞 각질을 중반 타이밍에 빠르게 치고 나와 그들과 비슷한 위치에서 뛰쳐나간다는 점입니다.

반면 킹 헤일로는 원본마가 그러했듯 굉장히 낭만 넘치는 승리 플랜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에서 마생 최초이자 마지막 g1 우승 을 이룬 킹 헤일로는 해당 경주에서 종반부에 이길 수 있다고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뒤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말도 안되는 속도로 가장 바깥에서 치고 들어오며 나머지 경쟁자들을 휩쓸어버리는 경주를 했습니다. 이 경기를 모티프로 한 응원단장 킹 헤일로는 후반부까지 뒤에서 힘을 모은 뒤 마지막 순간에 폭발적인 속도로 앞으로 나아가는 승리 플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가지 다른 우마무스메가 각각 승리하기 위해서는 어떤 승리 플랜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나리타 타이신은 초중반에 경합이 발생하는 편성 상에서, 킹 헤일로는 가능한 적은 경합만 이루어진 상태로 후반부에 승부를 가리는 편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각각의 승리 플랜에 맞는 편성은 어떤 구성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초반에 경합을 발생시킬 것인가, 아니면 후반에 승부를 가릴 것인가]

우마무스메라는 게임은 경합이 이루어지는 구간이 일반적으로 초반, 중반, 후반 한번씩으로 나누어져있는 게임입니다. 이 때 초반부터 경합이 나기 위해서는 자신과 같은 혹은 바로 앞의 각질의 숫자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때문에 추입마인 나리타 타이신이 초, 중반부에 경합이 이루어지려면 선/추입의 숫자가 많은 편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선/추입의 숫자가 적은 도주/선행이 총 여섯 이상인 편성에서 경주를 하게 된다면 나리타 타이신의 최대 강점 중 하나인 ‘7위에서 추격이 활성화 됐을때 발동하는 nemesis’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킹 헤일로는 중반에 순위조건을 가지고 치고 나가는 스킬도 부재할 뿐더러, 오히려 보유한 고유기는 ‘진행 거리 비율 50% 이하일 때 순위 비율 70%(6~9위)를 유지’ 했을 때 발동합니다. 즉 킹 헤일로는 레이스의 전반부에 절대로 앞으로 나서서는 안됩니다. 만약 선/추입이 총 다섯 이상인 편성에서 경주를 하게 된다면 초, 중반 경합의 과정에서 킹 헤일로는 본인의 고유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때문에 킹 헤일로는 본인을 제외하고는 도주/선행 위주로 구성된 편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나리타 타이신 |  킹 헤일로
승리 플랜 | 초중반에 경합 | 후반에 승부
유리 구성 | 도주/선행 5 이하 | 도주/선행 6 이상
추천 편성 | 선/추입 둘 이상 | 킹 제외 도주/선행

[룸매치와 실전을 통해 환경을 최종 점검하자]

이제 자신의 우마무스메가 어떤 승리 플랜을 가지고 있는지, 그에 맞는 편성은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룸매치의 경우 실전에서 결승에서 만날 수 있는 수준의 트레이너와 보통 경쟁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그 사람들이 현재 주로 사용하는 편성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고, 주로 나오는 편성에 대응해서 내 에이스 우마무스메가 승리하기에 유리한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룸매치에서 선/추입이 3 이상인 경주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면 오히려 본인이 킹 헤일로를 사용하더라도 선/추입마를 하나 더 포함하는 편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룸매치는 평균 이상의 트레이너와 경쟁한다는 것을 감안해서, 실전에서 확인을 통해 예측한 환경과 현실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필요도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편성이 실전에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편성을 수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저는 함께 게임하는 분들과 실전 환경의 통계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편성을 최적화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본인의 통계는 편향성이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서클원과 같이 다른 사람들의 통계를 함께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면 이는 승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최대한 많은 내용을 담으려고 노력하기는 했지만,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워낙에 파고들 것이 많은 복잡한 게임이기 때문에 다루지 못한 이야기들도 많아 아쉬움만 남습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개론의 성격으로 기초적인 이론을 모르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생각에 모자란 펜을 들고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마무스메는 분명 운빨 망겜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운을 최대한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셨다면 모두가 어엿한 트레이너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를 즐기는 모든 분들이 행복한 경주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모도원
24/05/31 05:36
수정 아이콘
룸매치를 하다 좌절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보통 자주 보이는 얼굴들은 말 그래도 악귀 트럭들이라 이들한테 진다고 결승에서 못이기는 거 아니니 걱정 한하셔도 됩니다
또 그런 사람들도 결승에서 지는게 말딸의 매력?이라..
24/05/31 05:51
수정 아이콘
사실 말씀대로 룸매치는 이기느냐가 중요하다기보다는 어떤 배치가 강한지, 현재 어떤 편성이 유행하는지와 같은 것을 실험하고 정보를 얻기 위한 위한 장소로 쓰이는게 맞는데 보통 승패만 보기 위해 룸매치를 쓰시는 것이 아쉽더라구요.
닉네임을바꾸다
24/05/31 06:10
수정 아이콘
저런걸 늘 고민하는 무서운 사람들이로군...
전 대충 인터넷이나 유튭보고 아 이거 찍어야하는구나 그정도로 끝내는데 크크(미래시가 좋아...진짜 일섭 악귀들은 어케 사나...)
24/05/31 07:58
수정 아이콘
추천했습니다
24/05/31 08:20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Pinocchio
24/06/01 20:35
수정 아이콘
아니....G식백과에 박제되신거 축하드립니다. 크크
24/06/01 20:49
수정 아이콘
확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크크
이걸 계기로 조회수 좀 잘 나왔으면 좋겠군요...
잉어킹
24/06/02 00:01
수정 아이콘
3인 엔트리 게임이다보니 전략이 꽤 중요하지요.
특히 한섭의 경우 대부분 마장별로 강세픽이 이미 정해져있으니, 그 강세픽의 승리플랜에 카운터 치는 전략이 필요하죠.

클독독 챔미 -> 클구리를 추입으로 돌려서 uma2 순위를 확보 {-> 9추입 대비해서 앵글링 장착}
사지타(도주강세) -> 대도주로 도주 뚜껑덮기 -> 대도주 경합 생각해서 내 도주에는 뒤방달기
카프리(추입강세) -> 선행페메와 2추입을 채용하되 마쿠리/바닥추입으로 나눠서 뒷각질판일때와 앞각질판일때 모두 대비

사실 상성없는 벽덱 상대로는 정말 체급싸움밖에 없긴 합니다.
그래도 이번 아쿠아는 어느정도 가위바위보 싸움이 있어서 재밌네요.
24/06/02 03:00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그런 체급 벽덱 게임이 되면 좀 많이 재미없어지는 경향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그래서 그랜라를 거의 통째로 쉬다가 카프리콘에서 킹 키우려고 복귀했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67 [발로란트] 어느새 마스터즈 마지막 주가 되었습니다. 젠지는? [6] 김삼관2789 24/06/04 2789 1
79666 [LOL] LPL 서머 한국 BJ 중계 가이드 공개 [2] Leeka5510 24/06/03 5510 2
79665 [LOL] T1. 주말에 스트리밍 재개 [28] SAS Tony Parker 6726 24/06/03 6726 0
79664 [기타] [철권] 대회에서 고의 페어링 테러로 의심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8544 24/06/03 8544 2
79662 [콘솔] 셋업 연습, 하지 마세요 - 스파6로 격투게임을 입문하며 [22] Kaestro4990 24/06/02 4990 2
79661 [모바일] 레전드 운영중인 명조. 이 운영은 뭐지?? [64] 대장햄토리7076 24/06/02 7076 0
79660 [발로란트] 젠지, 아메리카 리그 1시드 압도 상위 라운드 진출 [18] 김삼관3626 24/06/02 3626 0
79659 [기타] 지역연고+실업리그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님블뉴런 윤서하 팀장 인터뷰 [19] 환상회랑4101 24/06/02 4101 4
79658 [기타] [하데스 2] 플레이 후기 [2] 데갠2083 24/06/02 2083 0
79657 [콘솔] 곧 발매하는 진 여신전생 5 벤전스 변경점들. [19] 김티모2887 24/06/02 2887 1
79656 [발로란트] 국제전 진행중, 상하이에서 3:0으로 무패질주중인 젠지 [6] 김삼관4120 24/06/01 4120 0
79655 [오버워치] [OWCS] 댈러스 메이저가 곧 시작합니다. [5] Riina4793 24/05/31 4793 2
79654 [LOL] 6월 29일 T1 홈 그라운드 당일 스케쥴이 나왔습니다. [41] 매번같은9832 24/05/31 9832 0
79653 [LOL] 최고의 순간들에 인게임 트로피를 넣을수 있을줄알았다 [44] Leeka9363 24/05/31 9363 12
79652 [기타] 너구리, 로컨, 호잇 이터널 리턴으로 프로 복귀!? [12] 환상회랑7582 24/05/31 7582 2
79651 [LOL] T1, 미드 자크픽의 범인은 누구? [77] Leeka11496 24/05/31 11496 1
79650 [PC]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9월 20일 스팀 발매 [35] 김티모4441 24/05/31 4441 0
79649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3) - 역대급 팀이 있어도 클린스만은 아시안컵을 우승하지 못했다 [9] Kaestro2651 24/05/31 2651 8
79648 [LOL] 피어엑스X에어부산 협약 [10] SAS Tony Parker 5610 24/05/30 5610 1
79647 [모바일] 한 달에 한 번씩 세계여행하는 게임.(리버스 시작하기 좋은 타이밍+추천글) [21] 대장햄토리8045 24/05/30 8045 5
79646 [LOL] T1 2023년 영업손실 120억원 [153] 종말메이커15720 24/05/29 15720 15
79645 [LOL] 2024 LCK 서머 6월 29일 토요일 T1-KT 정규 경기, 고양 소노 아레나에서 진행 [51] 매번같은8749 24/05/29 8749 4
79644 [LOL] 대마왕의 유산 | 전설의 전당 이벤트 트레일러 [95] 리니어11491 24/05/29 11491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