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10/18 16:14:14
Name Leeka
File #1 fb36d9fe6d3fe4958bbf776c2049407b.png (7.6 KB), Download : 43
Subject [LOL] 씨나인은 몇번이나 북미의 희망이였을까? (수정됨)


[올해는 북미가 유럽을 앞서는 첫 해가 될것이다. 나를 지켜봐라. ]



1. 가장 늦게 탈락하는 북미의 희망


씨나인이 참가한 롤드컵은
13/14/15/16/17/18/19/21   총 8번입니다.

씨나인은 '8번의 롤드컵 중 13/14/15/16/17/18.   6년간 '북미팀 중 가장 늦게 롤드컵에서 탈락한 팀' & 북미팀 중 최고 성적을 거둔 팀. 을 차지했습니다.

(19년만 먼저 떨어지고, 팀리퀴드보다 낮은 성적 기록)

올해도, 팀리퀴드가 오늘 탈락한다면 '8번의 롤드컵 참가 중 7번이나 북미팀 중 가장 늦게 탈락한 팀' 이 됩니다. 

북미의 영원한 희망 씨나인.



2. 15년부터 지금까지. 씨나인은 항상 3시드로 막차를 탔습니다.

15 월즈 - 선발전 뚫고 막차 탑승
16 월즈 - 선발전 뚤고 막차 탑승
17 월즈 - 선발전 뚫고 막차 탑승
18 월즈 - 선발전 뚫고 막차 탑승
19 월즈 - 선발전 뚫고 막차 탑승
21 월즈 - TSM과 찐막 단두대매치 이기고 막차 탑승

?!?!?!?!

이게 롤드컵 본능이다 이것들아..



3. 북미의 조별리그 통과는 14년 이후 씨나인만..

역대 조별리그를 통과한 북미팀

14월즈 - C9/TSM
15월즈 - 없음
16월즈 - C9
17월즈 - C9
18월즈 - C9
19월즈 - 없음
20월즈 - 없음
21월즈 - C9 / (팀리퀴드는 오늘 봐야 암)

씨나인이 없었다면. '14 월즈 TSM빼고 8년간 북미는 조별딱만 하는 리그' 가 되었을텐데.
씨나인 혼자 메이저의 품격을 유지시켜줬습니다.

덧붙이자면, 북미가 3시드가 진짜라는 소리가 나온 이유도
15~21 월즈. 7번중 6번을 씨나인이 3시드로 롤드컵에 나와서..




4. 북미의 롤드컵 4강 신화(?) 도 씨나인 손에서

18월즈. 한국팀 홈그라운드에서 아프리카 상대로 씨나인은 3:0으로 압승을 거둡니다. 

이때 라이엇 캐스터는 '7년만에, 북미가. 한국팀을. 다전제에서 이겼다면서 절규를'..... 

물론 이 경기는 리코리스에게 기인이 탑차이가 난게 결정적이긴 했습니다 (?!)


결론. 

미드에 현질 하세요. 

미드에 현질하니깐 씨나인, 한화 다 8강 갔습니다. 


+@ 퍽즈는 18~21.  4년 연속 월즈 8강을 달성했습니다. 
(4년 연속 8강을 간 선수는 캡스/레클레스/퍽즈.  단 3명밖에 없으며
퍽즈가 4강을 간다면, 4년 연속 월즈 4강은 퍽즈만 보유하는 대기록이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DayInTheLife
21/10/18 16:15
수정 아이콘
그냥 북미가 아니라 내가 잘하는 거다 - 씨구
티모대위
21/10/18 16:17
수정 아이콘
북미도 나름 주요리그로서의 저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결과만 놓고봤을땐
LCS는 C9 없이는 국제대회 성적이 소위 개털이었네요... 아니 C9외의 조별탈출이 어떻게 단 한번뿐이지..
이건 거의 레퍼드 감독의 역사인것 같고, 거기에 퍽즈가 한줄 추가한 셈이 된듯.
aDayInTheLife
21/10/18 16:19
수정 아이콘
그래도 tl이 msi 준우승이라도 하나 추가해줘서 다행..
티모대위
21/10/18 16:22
수정 아이콘
MSI 준우승과 롤드컵 4강이라는 두가지 업적은
주요지역이 아닌 팀들과의 두드러지는 구분선이 되긴 하네요.
21/10/18 16:27
수정 아이콘
16CLG의 msi 준우승을 잊지 말아주세요
aDayInTheLife
21/10/18 16:27
수정 아이콘
16CLG도 있었군요. 흐흐
21/10/18 16:30
수정 아이콘
16 CLG는 대만 잡고 준우승한거라 느낌이 안오는데
19 TL은 중국 잡고 준우승해서 체감이 다른..
승률대폭상승!
21/10/18 16:18
수정 아이콘
선발전만보면북미젠지였네
당근케익
21/10/18 16:20
수정 아이콘
선발전 성적보니 젠지는 나가있어야겠는데요?
올해는다르다
21/10/18 16:24
수정 아이콘
스니키가 롤드컵만 놓고 보면 오랜 라이벌인 덥맆은 물론이고 데프트하고도 견줄만큼 꾸준하게 활약해준게 컸죠.
메께모
21/10/18 16:43
수정 아이콘
[better top wins]
닉네임뭐하지
21/10/18 16:49
수정 아이콘
4년연속 8강 캡스도 있어요(17~20, 8-결승-결승-4)
21/10/18 16:50
수정 아이콘
그러네여~ 추가했습니답
강동원
21/10/18 16:59
수정 아이콘
젠지랑 MAD랑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유럽도 한 자리는 해야지!
코우사카 호노카
21/10/18 17:02
수정 아이콘
서폿에 33억을 쓴 팀 응해하지 말아주세오 ㅠㅠ
21/10/18 17:07
수정 아이콘
귀신같군요.
League of Legend
21/10/18 17:28
수정 아이콘
TL도 한번 진출할때 됐죠. 올해 일본, 북미 다 일좀 내 봅시다
과수원옆집
21/10/18 17:28
수정 아이콘
크크킄 기인 오열... 진짜 fpx를 떨어뜨리고 올라가다니 퍽즈 씨나인 리스펙트합니다...
manymaster
21/10/18 17:58
수정 아이콘
사실 C9은 19년에도 북미 팀 중 최고 성적을 거둔 팀이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 때에는 C9 조가 타 북미 팀이 속한 그룹보다 2라운드를 먼저 시작하면서 탈락도 먼저 확정 짓고 말았죠.
21/10/18 18:01
수정 아이콘
씨나인 2승 4패
팀리퀴드 3승 3패로
19년은 팀리퀴드가 최고성적입니다
21/10/18 18:01
수정 아이콘
C9이 LCS 우승은 못하는데 월즈 성과는 참 잘낸단 말이에요
참 신기한 팀입니다
월즈 팀들이 Lcs팀들보다 약한걸지도?
내맘대로만듦
21/10/18 18:02
수정 아이콘
북미젠지는 씨나인이었네요
EpicSide
21/10/18 18:15
수정 아이콘
씨나인 한화 결승 기원합니다
데몬헌터
21/10/18 19:28
수정 아이콘
매드가 조별딱하면 다시오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250 [스타2] 생애 첫 코드 S 4강진출을 위한 대결 [10] SKY9211349 22/04/26 11349 2
74249 [LOL]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선발 관련 기사 - 지도자 새로 선임 예정 등 [82] Hestia14946 22/04/26 14946 5
74248 [LOL] 농심 레드포스 팀 허영철 감독 인터뷰 [5] League of Legend9099 22/04/26 9099 0
74247 [모바일]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리세마라 가이드 및 우마무스메 선택 팁 [29] 김티모13366 22/04/26 13366 8
74246 정규시즌 퍼스트 리치 솔로킬 모음 [15] 페미는사회악9362 22/04/26 9362 0
74245 [LOL] 제안글) 롤롱도르 [32] gardhi11520 22/04/26 11520 1
74244 [모바일]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사전예약 시작 [31] EpicSide7485 22/04/26 7485 0
74243 [모바일] [명일방주] 니어 라이트 업데이트 및 카시미어 기사 토너먼트 이벤트 [12] 캬옹쉬바나6547 22/04/26 6547 1
74242 [모바일] [카운터사이드] 4/26(화)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1] 캬옹쉬바나8963 22/04/25 8963 0
74241 [LOL] 선수 선발 미공고 문제, 그리고 대한체육회 [22] manymaster14310 22/04/25 14310 12
74240 [기타] [마듀] 5월 9일부터 마스터 듀얼에 적용될 금지 제한이 공개되었습니다. [13] 사과별7674 22/04/25 7674 0
74239 [LOL] 북체미 조조편 "페이커 예선 탈락할 수도 있잖아" [81] League of Legend15147 22/04/25 15147 0
74238 [콘솔] 트라이앵글 스트래티지 1회차 클리어 후기 (스포) [43] 이브이8291 22/04/25 8291 1
74237 [LOL] 이번 므시에서의 중국 특혜관련 잡소리 [50] Leeka15287 22/04/25 15287 5
74236 하스스톤)미친 8강 토너먼트 [23] 인생은이지선다9392 22/04/24 9392 0
74235 [LOL] 간단하게 보는 4대리그 정규시즌 1위 최종성적 [4] 대법관9597 22/04/24 9597 0
74234 LPL 미드로 확인하는 페이커의 우승 기록 [260] 아슬릿22272 22/04/24 22272 1
74233 [LOL] MSI 초대 우승팀을 제외하고 모두 참가 확정! [12] Leeka11336 22/04/24 11336 0
74232 [LOL] msi 조 추첨 결과 [22] Two Cities12453 22/04/24 12453 1
74230 [LOL] 돌아온 스프링의 제왕 [18] 묻고 더블로 가!12238 22/04/23 12238 1
74229 [콘솔] 파이어엠블렘 풍화설월에서 본 5가지 [48] 삼화야젠지야10439 22/04/23 10439 1
74228 [LOL] EDG 롤드컵 우승 스킨 공개 [57] Leeka12871 22/04/23 12871 0
74227 [하스스톤] 4/27 패치노트 [23] BitSae11112 22/04/23 1111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