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0/13 21:06:34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AMD.jpg (31.8 KB), Download : 31
Subject 스타크래프트 주요 프로게임단 연혁 정리






♣ 스타크래프트 주요 프로게임단 연혁 정리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740


* 전신(前身) 팀의 연혁도 포함함.
* 계약월과 창단월이 상이할 경우 창단월을 표기함.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스타크래프트 리그 연대기」,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3



▲ 웅진 스타즈
 · 1999년 11월 'SM' 창단
 · 2000년 중반 네오엠파이어와 스폰서 계약, '네오엠파이어'로 개명
 · 2000년 말 스폰서 계약 종료, 'SM'으로 회귀
 · 2001년 05월 한빛소프트, 게임단 인수, '한빛 스타즈' 창단
 · 2003년 08월 KTF 에버컵 프로리그 준우승(對 동양 오리온)
 · 2003년 10월 라이프존 팀리그 준우승(對 슈마 GO)
 · 2004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우승(對 SK텔레콤 T1)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5년 10월 제1회 KeSPA컵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9월 웅진, 게임단 인수, '웅진 스타즈' 창단




▲ KT 롤스터
 · 1999년 12월 KTF, 'ⓝ016 온라인' 창단
 · 2001년 03월 'KTF 매직엔스'로 개명
 · 2004년 02월 LG IBM 팀리그 준우승(對 4U)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준우승(對 KOR)
 · 2005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6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9년 06월 'KT 매직엔스'로 개명
 · 2009년 07월 'KT 핑거붐'으로 개명
 · 2009년 08월 'KT 롤스터'로 개명
 · 2010년 04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10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對 SK텔레콤 T1)




▲ 화승 OZ
 · 1999년 'DT' 창단
 · 2000년 중반 'IS' 창단
 · 2001년 말 '게임아이'가 'IS'로 병합
 · 2001년 말 'DT'가 'IS'로 병합
 · 2003년 07월 케이텍과 스폰서 계약, '케이텍 플러스'로 개명
 · 2004년 01월 스폰서 계약 종료, '플러스'로 개명
 · 2006년 03월 화승, 게임단 인수, '르까프 OZ' 창단
 · 2007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1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우승(對 CJ 엔투스)
 · 2008년 0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3월 KeSPA 선정 2007 올해의 프로게임단¹
 · 2009년 01월 '화승 OZ'로 개명
 · 2009년 03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우승(對 CJ 엔투스)
 · 2009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삼성전자 칸
 · 2000년 06월 삼성전자, '삼성전자 칸' 창단
 · 2005년 10월 제1회 KeSPA컵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6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對 르까프 OZ)
 · 2008년 0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르까프 OZ)
 · 2008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對 온게임넷 스파키즈)




▲ STX SouL
 · 2000년 07월 'SouL' 창단
 · 2003년 06월 계몽사 팀리그 준우승(對 GO)
 · 2004년 10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준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6년 04월 STX와 스폰서 계약, 'STX SouL'로 개명
 · 2007년 05월 STX, 게임단 인수, 'STX SouL' 공식 창단
 · 2007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7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8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9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10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위메이드 폭스
 · 2000년 말 '게임아이' 창단
 · 2001년 말 '게임아이'가 'IS'로 병합
 · 2003년 06월 'IS'에서 분파, 'SG패밀리' 창단
 · 2003년 08월 투나와 스폰서 계약, '투나 쥬디스'로 개명
 · 2003년 말 '투나 SG'로 개명
 · 2004년 02월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준우승(對 슈마 GO)
 · 2004년 06월 스폰서 계약 종료, 'SG패밀리'로 회귀
 · 2004년 08월 팬택&큐리텔, 게임단 인수,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창단
 · 2004년 10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우승(對 SouL)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5년 03월 MBC 무비스 팀리그 준우승(對 GO)
 · 2006년 04월 '팬택 EX'로 개명
 · 2007년 09월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게임단 인수, '위메이드 폭스' 창단




▲ 하이트 스파키즈
 · 2000년 '플라워' 창단
 · 2000년 10월 'KOR'로 개명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6월 온게임넷, 게임단 인수, '온게임넷 스파키즈' 창단
 · 2007년 03월 제2회 KeSPA컵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8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9년 04월 하이트맥주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 '하이트 스파키즈'로 개명
 · 2010년 10월 CJ 엔투스로 병합(병합 팀명 '하이트 엔투스')




▲ 하이트 엔투스
 · 2001년 '프로슈머' 창단
 · 2001년 09월 '프로슈머'가 '게임아이 이노츠'로 병합
 · 2002년 04월 '게임아이 이노츠'에서 분파, 'GO' 창단
 · 2003년 06월 계몽사 팀리그 우승(對 SouL)
 · 2003년 09월 슈마일렉트론과 스폰서 계약, '슈마 GO'로 개명
 · 2003년 10월 라이프존 팀리그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4년 02월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우승(對 투나 SG)
 · 2004년 08월 투싼 팀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4년 09월 스폰서 계약 종료, 'GO'로 회귀
 · 2005년 03월 MBC 무비스 팀리그 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6년 05월 CJ, 게임단 인수, 'CJ 엔투스' 창단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8년 01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준우승(對 르까프 OZ)
 · 2009년 03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우승(對 화승 OZ)
 · 2010년 10월 '하이트 스파키즈'를 병합, '하이트 엔투스'로 개명




▲ 이스트로
 · 2002년 01월 AMD와 스폰서 계약, 'AMD 드림팀' 창단
 · 2004년 01월 스폰서 계약 종료, '드림팀'으로 개명
 · 2004년 02월 아이스타존과 스폰서 계약, '헥사트론 드림팀'으로 개명
 · 2005년 02월 스폰서 계약 종료, '드림팀'으로 회귀
 · 2005년 03월 PC와사람들과 스폰서 계약, '이네이처 톱 팀'으로 개명
 · 2006년 10월 인터내셔널이스포츠그룹, 게임단 인수, '이스트로' 창단
 · 2010년 10월 게임단 공식 해체




▲ MBC게임 히어로
 · 2002년 08월 'POS' 창단
 · 2004년 11월 이고시스템과 스폰서 계약, '이고시스 POS'로 개명
 · 2005년 11월 스폰서 계약 종료, 'POS'로 회귀
 · 2006년 04월 MBC게임, 게임단 인수, 'MBC게임 히어로' 창단
 · 2006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우승(對 CJ 엔투스)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3월 KeSPA 선정 2006 올해의 프로게임단
 · 2007년 03월 제2회 KeSPA컵 우승(對 온게임넷 스파키즈)
 · 2007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7 준우승(對 STX SouL)
 · 2008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준우승(對 STX SouL)
 · 2010년 04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준우승(對 KT 롤스터)




▲ SK텔레콤 T1
 · 2002년 11월 'IS'에서 분파 및 동양제과와 스폰서 계약, '동양 오리온' 창단
 · 2003년 08월 KTF 에버컵 프로리그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3년 12월 스폰서 계약 종료, '4U'로 개명
 · 2004년 02월 LG IBM 팀리그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4년 04월 SK텔레콤, 게임단 인수, 'SK텔레콤 T1' 창단
 · 2004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준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4년 08월 투싼 팀리그 우승(對 슈마 GO)
 · 2005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6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3월 KeSPA 선정 2005 올해의 프로게임단
 · 2006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9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우승(對 화승 OZ)
 · 2009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우승(對 STX SouL)
 · 2009년 12월 KeSPA 선정 2009² 올해의 프로게임단
 · 2010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준우승(對 KT 롤스터)
 · 2010년 0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우승(對 STX SouL)




▲ 공군 ACE
 · 2007년 04월 대한민국 공군, '공군 ACE' 창단



[註]
¹ KeSPA e스포츠대상: 2005 시즌 후 제정되어 해마다 열리는 e스포츠 최고 권위 시상식으로 올해의 선수, 올해의 프로게임단, 종족별 최우수선수 등을 시상.
² 2008-2009 통합 시상.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13 21:13
수정 아이콘
아... 개념은나의것님께서 이런 글을 올리시다니...

뭔가 "스타1 프로리그는 좋은 리그였습니다." 분위기... ㅠㅠ
핫타이크
10/10/13 21:17
수정 아이콘
적절한 타이밍이네요-_-;;;;
10/10/13 21:18
수정 아이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드림팀 사진이네요.... 그리고 곧 있으면 여기에 또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 같네요.
아류엔
10/10/13 21:25
수정 아이콘
....스파키즈와 이스트로의 역사는...더이상 추가되지 않겠죠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268 GSL 시즌2. 64강 일정 공개!(임요환 선수 개막전 출격..) [25] Leeka8188 10/10/15 8188 0
43267 스타중계 10년이면... [14] likeade6371 10/10/15 6371 0
43266 법정공방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37] 아유6655 10/10/15 6655 0
43265 스타1은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61] 왕은아발론섬에..8193 10/10/15 8193 0
43264 7년간의 키보드 워리어질을 마감하며. [21] 구국강철대오7184 10/10/15 7184 0
43263 과감한 공지사항 어기기! <= 엘푸아빠가 시전하였습니다. [38] 엘푸아빠6593 10/10/15 6593 0
43262 곰TV, Star2Night 을 통해 임요환 선수 예선전 경기 공개. [12] kimbilly6683 10/10/14 6683 0
43260 법적으로 협회가 불리할까? [124] 총알이모자라8594 10/10/14 8594 0
43259 불판거부 그리고 PGR21의 위치... [138] 성야무인Ver 0.008415 10/10/14 8415 4
43258 프로리그 7전 4선승제,6라운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7] 담배상품권5223 10/10/14 5223 0
43257 양심선언. [11] 대한민국질럿14331 10/10/14 14331 0
43256 저는 프로리그를 지지하는 소수파로 포지셔닝 하겠습니다 [44] 툴카스9064 10/10/14 9064 20
43255 경기 불판은 자유롭게 올려졌으면 합니다. [44] 밥로스5780 10/10/14 5780 2
43254 스타2 팀 단위 리그가 활성화 되면 선수협은 반드시 창설되어야 합니다. [51] 물의 정령 운디5656 10/10/14 5656 0
43253 협회는 e스포츠 협회의 모습으로 돌아가야 한다. [46] 아유6046 10/10/14 6046 0
43252 당분간 프로 리그의 경기 불판 글을 쉬는 게 어떨까요? [105] 삭제됨8385 10/10/14 8385 1
43251 프로리그가 주5일제로 확정된듯합니다. [68] 본좌9437 10/10/14 9437 1
43250 블리자드의 방송일정 조정은 저작권과 관련이 있는가?? [104] 빅토리고6667 10/10/14 6667 1
43249 곰TV Starcraft 2 Team Invitational - 8강 2일차 # 1 [227] 하드코어8801 10/10/14 8801 0
43248 다른 생각; 협회는 진정 협상을 하고 싶긴 한걸까? [8] naughty5887 10/10/14 5887 0
43247 e스포츠가 커오는데 케스파의 공은 무엇인가,팬들은왜블리자드편인가. [50] 김연아이유9256 10/10/14 9256 29
43246 곰TV Starcraft 2 OPEN Season2 - 64강 대진표 공개! [51] kimbilly8366 10/10/14 8366 0
43245 KeSPA↔그래텍…지적재산권 협상 중단 [48] 비스군9074 10/10/14 90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