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14 00:26
    
        	      
	 이 그래프를 포토샵으로 보기 편하게 제작 중인데, 중견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밑에 리그 순위 포함) 
	09/02/14 01:03
    
        	      
	 16강,8강,4강,결승에서 당시 우승자 랭킹까지 포함된 정보를 보시려면 https://pgr21.co.kr/zboard4/zboard.php?id=free2&page=1&sn1=&divpage=6&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956 로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가셔서 압축파일 받으시면 됩니다^^ 
 
	09/02/14 02:58
    
        	      
	 물론 종합점수에서 4강과 결승의 3:0혹은 3:2같은 흥행요소가 반영되지 않았기때문에 약간 의아한 면도 있긴 하지만 그런 부분은 우승자랭킹 부분에 소폭 반영되기 때문에(wp랭킹은 고렙을 많이 이길수록 점수가 오르니..)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애초부터 이 자료는 흥행의 척도를 나타내는게 아니라 그 당시마다 상대적인 실력수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니까요. 
 
	09/02/14 11:20
    
        	      
	 정말 곰클래식은 부커진이라도 있나요. 결승랭킹은 정말 대단해보이는..
 
5개 팀이 참가 안했을 때는 리쌍록. 3개 팀이 참가 안했어도 무용록. 
	09/02/14 14:21
    
        	      
	 확실히 보니까 온게임넷은 어느정도 두각을 나타낸 후 우승하는 경우가 많고, MSL은 MSL에서 포텐셜이 터지면서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요;;
 
우승자 랭킹에서 MSL이 확 떨어진 때에 랭킹을 떨어뜨린 자가 최연성, 마재윤, 김택용, 박성균이군요 덜덜덜... 
	09/02/14 14:28
    
        	      
	 그런데, 이 수치로 굳이 표현하기는 힘들지만, '수준이 낮은', '수준이 높은' 리그라고 평하기는 어려울 것같네요^^;;
 
낮은 랭킹의 선수가 우승 혹은 4강 이상의 성적을 낸 이후에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도 많기 때문에... 실제로도 다음, 우주 등 명경기가 속출했던 리그들이 하위에 있고 OSL 최고의 리그라고 평해지던 SO1은 어느 랭킹에도 없는 걸 보니;; 수준과 재미는 서로 연관성이 적은 걸까요 ㅠ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