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9/16 13:34:42
Name Love.of.Tears.
Subject [L.O.T.의 쉬어가기] 처음 그대로Ⅲ
처음


처음이란 누군가를 설레게 하는 것. 관습이나 외부의 자극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것을 쏟아낼 수 있는 유일한 시기, 길들여지지 않아 자유분방할 수 있는 때. 이루고 싶은 것들이 많은 나날들, 타인이나 세상에 구걸하지 않아도 될 것만 같은. 포부와 꿈이 한껏 부풀어 올라 정상에 올라서서 굽어보리라는 열정. 바라지 않고도 누군가에게 받을 수 있고, 그런 기대보다는 자꾸만 주고 싶은 남녀 연애사와 동급인 어떤 것. 열심히 뛰고 또 뛰어 셔츠 사이로 흐르는 땀이 그 사이로 베인 쾌쾌한 냄새가 좋은 그 때. 모든 것이 어색하고 무디며 부족하지만 앞으로의 미래의 모습을 더 갈망하게 되는... - 그것이 처음이다.





끝이란 처음의 설렘, 그 본질이 퇴색되어 지워지는 것. 관습이나 외부의 자극의 내가 움직이며 자신의 소신이나 의견 따위는 무시당하는 시기. 한없이 길들여져 자유롭지 못하며 속박의 굴레속의 갇혀 있는. 포기란 말의 대체언어. 타인이나 환경에 굽신거리며 사는 절망의 순간. 다시는 재기할 수 없을 것만 같은 두려움, 자신감의 상실.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이 기분좋은 나날. 다시 일어서려 할수록 점점 밀려드는 회의감. 열정의 소멸. 그나마 다행인 것은 끝은 처음이란 말을 있게 하며 빛나게 해주는 디딤돌의 역할이라는 것... - 그것이 끝이다.


내가 처음 본 '처음'은 말로 할 수 없이 기뻤다. 밖으로 뛰쳐나가 아이같이 소리 지르고 펄쩍 뛰고 싶었다. 많은 것이 없어도 행복했고 없는 것을 탓하기보다 가진 것에 감사하게 됐다. 세상의 기준에선 가난할지 모르나 나는 이미 가졌고 우린 이미 부유하다고. 그렇게 크게 소리쳤다. 내가 원하는 그것이 나의 땀이었고 정열이었으며 나의 꿈이었다. 두려울 것이 없었다. 그것만으로도 행복했으니까.



시간이 지나고 우리는 가진 게 많다고 말할 수 있다. 환경과 먹을거리, 타인의 시선에도 이제는 뒤쳐지지 않을 법한 모든 것 되려 부러움을 살 법한 많은 것들이 주위에 널려 있다. 신의 영역 아니고서야 맘만 먹으면 모든 할 수 있고 꿈꾸는 대로 현실로 이뤄낼 수 있는 여건들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제 행복은 저 멀리 사라져 갔고 비난과 비판 그리고 공허함만이 남아있다. 배고프지 않다. 목마르지 않다. 그러나 지금은 한없이 배고프고 목마르다.


스타리그, 나의 또 다른 고향. 남들은 컴퓨터로 하는 게임일 뿐이라고 비웃으며 조롱했다. 스타리그를 좋아하고 기대하면 어린 아이 취급을 받았고 프로들의 이름이 중독자로 변질되어 불리웠다. 바둑은 인정을 받았지만 이 바닥은 그렇지 못했고 걱정과 우려, 한숨과 탄식만이 함께했다. 나는 알고 있다. 이 바닥이 이렇게 될 때까지 얼마나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누가 여길 부흥케 했는지 누가 본좌 인지 그 딴 건 관심도 없고 필요하지도 않다. 그저 마냥 웃을 수 있었던 그 때가 그립다. 생각해 보면 그 땐 이제동의 뮤타 컨트롤도 이영호의 완벽한 운영도 없었거늘...


지금은 조금만 잘못하면 너도 나도 OME라고 외치며 협회의 운영방식을 비난하며 해설을 꼬집고 파헤치려 든다. 물론 그것이 나쁜 것은 아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눈이 높아졌다는 거니까. 하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생각이 드는 건 불만족스러운 운영 방식, 갈수록 획일적인 게임 운영, 그러면서 몰락해 가는 전략 싸움, 그로 인한 같은 형식의 반복, 팬들의 외면, 이 판의 종지부. 벌써 몇몇 사람들에게서 운운되는 이야기들이다. 난 이 말들이 설레발이고 시기상조라고 말하고 싶다만 그렇지가 않다. 스타2로 연결시키려는 억지스런 연결고리는 팬들의 관심 없이는 무리다. 어딜 가나 독단은 끝의 시작이기에...


부디 끝이란 말은 하지 말아줬으면 한다. 우리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때이다. 나 역시 바라보는 입장, 그 똑같은 상황에서 부탁을 한다는 것, 그것은 참으로 오만하고 건방진 일인 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기성세대들이 말한 것처럼 '우리만의 문화' 가 '10년 이내로 끝이 날 것' 이라는 말이 현실이 되지 않도록, 나 역시 그 자리에 서려 노력할 테지만 설령 못 서더라도 이 바닥은 지켜졌으면 좋겠다. 오래토록...


생각해 보면 난 많이 오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박수와 함성 환호에 가려진 울부짖음을... 난 이 판에 대해 무얼 알고 있었던 걸까? 제발, 제발 옆에 있어 주길. 너의 처음 모습 그대로. 나의 또 다른 고향의 모습 그대로.


Please, Be as you were when we met


Written by Love.of.Tears.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aS.KiJuK
08/09/16 13:44
수정 아이콘
제가 첫 댓글을쓰는군요 스타에대한 시작과 끝을 정확하게 분석해주신 글이라고봅니다 추게로~!(1)
프로브무빙샷
08/09/16 15:40
수정 아이콘
저도 가끔 생각했던게...
전략쓰면 날빌이라고 반쯤 비아냥 거리는 말로 표현되고...
컨트롤 미스 한번이면 그 경기 전체가 ome 취급받는 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기 생각과 다르게 대회나 경기 진행이 되면 바로 심각한 비판의 글들이 쏟아져 내리는 현실도요...
컴퍼터
08/09/16 17:50
수정 아이콘
머리가 굵어지면 잔머리 굴리는 방법도 늘어나는 듯.. 이판은 정도를 가야합니다. 팬심도..
08/09/16 21:13
수정 아이콘
참 웃긴게 비난 받는 것중에 하나가 선수가 날빌 쓰면 비난받는건데요.
2001년엔 현김정민해설의 팬이었던 제겐 그당시 팬들의 비난중에 하나가 무척이나 고깝게 느껴졌습니다.
이유인즉슨 임요환의 경기는 재미있는데 김정민의 경기는 재미없다였습니다.
임요환은 여러가지 전략으로 이겨서 재미있는데 김정민은 정석만 갈고 닦아 이기니 재미없다는 것이었죠.
심지어는 그딴식으로 해서 이기면 재미있고 좋냐... 라는 말까지 하는 네티즌도 있었더랬죠.
그런데 시대가 흐르니 정반대의 상황이 나오는군요.
여자예비역
08/09/17 14:40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이 그립네요.. 요즘은 스타판에 관심이 2g도 안간다는거..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795 삼황 오제 사천왕 -第二十五章- [6] 설탕가루인형4535 08/10/15 4535 0
35794 08-09프로리그 르카프 vs KTF / 웅진 vs 삼성전자 [297] 검은별6299 08/10/15 6299 0
35793 Hack Detector(Oblivion 종합핵 감지기) + 미핵,드랍핵유저 자동드랍기능 추가 [12] Carrier_Kim10128 08/10/15 10128 0
35791 가을로 가는 길에, ....(2)마음 아픈 나날이 오고... [4] ToGI5275 08/10/14 5275 1
35790 10월 14일 프로리그 SK T1 vs 위메이드 폭스 / 온게임넷 스파키즈 vs eSTRO [321] 내일은5500 08/10/14 5500 0
35789 블리즈컨 2008 리플레이입니다. [22] Jolie5904 08/10/14 5904 0
35788 [선수선발안내] Pgr21과 후로리그와의 3회 교류전을 개최합니다. [6] 라벤더4733 08/10/12 4733 0
35787 임요환, 이것이 스타다! - 임요환vs정영철, 레이드 어썰트2, 08-09 프로리그 [49] 김연우14555 08/10/14 14555 66
35786 김정우선수 대단하네요 [17] Rush본좌7062 08/10/13 7062 0
35785 저그 프로게이머들은 왜 10오버10햇11풀빌드를 쓰지 않는걸까요? [46] 거울소리12453 08/10/13 12453 0
35784 한동안 게임중계에서 볼수 없었던 임동석 캐스터님께서 서울경제TV로 가셨습니다. [4] jbl6527 08/10/13 6527 0
35783 10월 13일의 프로리그 - STX 대 CJ / 공군 대 MBC게임 [182] The xian5988 08/10/13 5988 0
35782 [L.O.T.의 쉬어가기] 081013 [5] Love.of.Tears.7299 08/10/13 7299 0
35781 엄습하는 불안감, 그리고 1년 전까지의 그의 모습 [35] ToGI9907 08/10/12 9907 2
35779 미스터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Mysterious Girl) <연재홍보> [7] 창이3888 08/10/04 3888 0
35778 Blizzcon 2008 - Starcraft II 시연 경기 : Sonkie vs 홍진호 [32] kimbilly6630 08/10/12 6630 0
35777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2009 (KTFvs삼성,웅진vs르까프) [107] SKY924417 08/10/12 4417 0
35776 블리즈컨 2008 스타 결승전 마재윤 VS 이윤열 [117] SKY9210575 08/10/12 10575 0
35774 블리즈컨 패자결승이 곧 시작됩니다. [109] The xian4770 08/10/12 4770 0
35773 동준이형님 군대 잘 갔다오세요~!^^; [78] 사랑해정말10270 08/10/11 10270 1
35772 이성은vs김택용, 비잔티움2, 클럽데이 MSL 32강 [14] 김연우8060 08/10/11 8060 5
35771 인크루트 스타리그 4강 대진 및 맵 순서 [17] 彌親男4705 08/10/11 4705 0
35770 클럽데이 온라인 32강 D조 [289] SKY925429 08/10/11 54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