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3/09 22:53:16
Name 삭제됨
Subject PGR21 학업 청취도 평가 답안지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09 23:01
수정 아이콘
와 재밌습니다!!
몰랐던 사실들도 많이 알게되네요 감사합니다
연휘군
08/03/09 23:06
수정 아이콘
파인애플은 T1 선수들이 모여 노래한 그룹이 아니고; 저글링 네마리를 부른 2인조 그룹이지요.
2집인가에서 T1 선수들이 피처링을 해서 화제가 되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remedios
08/03/09 23:17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치아키
08/03/09 23:21
수정 아이콘
파인애플;; 위에 연휘군 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나름대로 정식 가수였죠 흑흑..
오우거
08/03/09 23:30
수정 아이콘
제가 알고있기로

2005년 WCG 한국대표선발전 3,4위전 나도현 vs 박성준 에서 파라노이드 안드로이드에서 박성준 선수가 패했습니다.

1경기 아젤리아 나도현 승, 2경기 가이아 박성준 승 상황에서 3경기 맵으로 쓰였더랬습니다.

당시 제가 저질안심빠라 정확하게 기억하는데 12드론 선스포닝 저글링으로 들이대다가 나도현 선수의 입구블록에

손해만보고 스팀러쉬에 그냥 앞마당 뚫리고 진 경기였죠....

계속 옛 기억들이 새록새록 나는데 당시 박성준, 박지호 선수가 본선 첫조였던가요??? 하여튼 거기서 같은 조에

편성되는 바람에 대회 보이콧하겠다고 그랬었죠. 결국 협회도 욕 엄청 먹고 POS도 욕 엄청 먹고 그냥 그대로 강행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어쨌든 제가 몰랐던 정보도 있었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왠지 병주고 약주는 듯한.....먼산)
지니-_-V
08/03/09 23:58
수정 아이콘
음? 제가쓴 리플이 사라졌네요??

어디갔지??
彌親男
08/03/10 00:51
수정 아이콘
예. 오우거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WCG 2005 예선전 3-4위전 3경기에서 나도현 선수가 승리하면서 나도현 선수가 WCG에 올라갔고 박성준 선수가 WCG에 가지 못하였습니다.
마술사
08/03/10 01:17
수정 아이콘
파인애플이 T1이라니요;; 나름 진짜 가수인데요;;
TWINSEEDS
08/03/10 01:51
수정 아이콘
임요환의 100승 상대가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송병구 선수였단 얘기는
그 100승이 SO1 스타리그에서 임요환 선수의 우승이 될 수 도 있었던 것이었는데..
임빠로써 눈물만..

그리고 4번 문제는 답이 약간 이상하네요.
04 EVER 스타리그 4위 아닌가요? 앞의 년도도 약간씩 안맞는것 같고..
08/03/10 03:42
수정 아이콘
파인애플이 T1이라니요;; 나름 진짜 가수인데요;; (2)

왠지 딴지의 느낌이 나지만 이런문제를 볼때 드는 생각은
'매니아' 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오래된 초창기 기록'을 기억해야하는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비록 저 문제들을 모두 맞출수는 없지만 '매니아'가 될수 있는 사람은 아주 많지 않을까하네요.

PS. 매니아는 잘못된 표기라더군요. 마니아로 표현하는게 맞다고 합니다.
08/03/10 11:01
수정 아이콘
글쓴분이 잘 모르시는것 같지만 루나님의 명일역은 표절작입니다;;
예전에 어떤 분이 쪽지로 알려주셨어요... 원작을 보고 경악했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367 비판인가? 비난인가? 아니면 이곳은 정말로 해설의 '신'이 모여있는 곳인가? [64] 마음속의빛7878 08/03/18 7878 3
34364 유저(User)? 유저! [8] 영웅토스4376 08/03/18 4376 0
34363 게임 게시판의 공지사항 및 15줄 규정을 지켜주세요. [19] TaCuro5711 08/03/17 5711 22
34362 @@ 피지알 최고평점으로 본 두 이씨의 세상. [8] 메딕아빠6415 08/03/17 6415 1
34361 송병구 선수 이미 그대는 제게 슈퍼스타입니다. [24] 하성훈5897 08/03/17 5897 1
34360 이영호와 박성균... 이윤열과 서지훈.. [21] 레인메이커6743 08/03/17 6743 1
34359 제 3 리그의 출발. 곰티비 클래식. [52] 펠쨩~(염통)9785 08/03/17 9785 0
34358 이영호선수를 보며 이윤열선수를 느끼다. [37] Yes8230 08/03/17 8230 4
34357 패배주의에 젖어있었던 KTF의 팬이.... [21] 구아르 디올라6172 08/03/17 6172 1
34355 이번 결승전에 관한 아쉬움의 표현들... 그리고... [19] 5593 08/03/16 5593 0
34354 온겜넷 엠겜넷 제작진에 바란다. 제발 기본을 지키자 [68] 느낌10509 08/03/16 10509 0
34352 죽어있다 송병구, 일년동안 발전한게 하나도 없군. [26] 드림씨어터9299 08/03/16 9299 1
34346 기동전 [24] 김연우11339 08/03/16 11339 37
34342 MSL 역대 최고의 다전제(5전3선승제)는? [49] 당신은저그왕9279 08/03/16 9279 1
34341 댓글잠금 어제 3경기 해설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어 부득이하게 제목을 바꿉니다) [126] 하얀나비23371 08/03/16 23371 3
34339 2008. 3. 16 pp랭킹 [6] 택용스칸4878 08/03/16 4878 1
34338 프로토스 암울론은 그저 팬심이 빚어낸 핑계에 불과하다. [31] 마음속의빛6848 08/03/16 6848 1
34337 경기에서 졌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30] 꼭데페6238 08/03/16 6238 1
34336 다음(NEXT) 온게임넷 스타리그 스폰서는 에버일 것 같습니다. 그밖에 방송개편에 대해 [24] Alan_Baxter8464 08/03/16 8464 0
34335 총사령관은 왜 프로토스의 강점을 포기했을까, .. [4] Lupus5737 08/03/16 5737 0
34333 송병구선수 패인분석 [15] 4thrace5861 08/03/16 5861 1
34332 스타관련리그 결승전은 7전 4선승제 확실히 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30] 샤르미에티미6293 08/03/16 6293 0
34331 오늘 결승에서 아쉬웠던 한가지. [12] 핫타이크4985 08/03/16 49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