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10 20:01:33
Name 스루치요
Subject 신인일때가 커리어하이인 선수들..
보통, 그 어떤 스포츠이던지 엄청난 신인이 나와서 좋은 활약을 펼쳐주면 팬들은 그 다음해 또 다음해에는 더욱더 엄청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줄꺼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신인때가 자신의 프로경력중 커리어하이인 선수가 수두룩하죠.
그 이유는 실력적인면도 분명있지만, 각팀에게 분석되어있지 않은 요인도 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E-스포츠인 스타크래프트같은 경우에는 신인때라는 구분이 좀 모호하긴 하지만,
상당한 선수들이 신인급일때 커리어하이를 기록하고는 이후 그런저런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논란을 일으키고 싶지않기때문에, 제가 생각하는 선수들의 이름은 언급하지않겠지만,
대부분 조금 생각해보시면 잘 아실듯합니다.

물론 이 선수들중에 신인때를 능가하는 엄청난 커리어를 세우는 선수가 나올수도있을테지만, 점점 상향평준화 되어가고 있는 스타판에서 그리 확률은 높아보이지 않고요.

선수들은 항상 발전만 하는게 아닙니다.
프로스포츠계에서 가장 흔한 징크스인 2년차 징크스라는 것은 서두에도 적었듯이
신인이라는 이점이 사라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그 이후에 어떤 선수가 되느냐는 스스로의 부단한 노력과 일정수준이상의 운 등에 달린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평화의날
07/01/10 20:16
수정 아이콘
스타에서 신인급 선수가 커리어 하이라;; 로얄로더 대부분은 여기에 속하는게 아닐지.. 우승한 선수들 중.. 첫 우승 부터 시작해서 쭉 기세를 탄 다음 최고 전성기를 구가하고..그 다음에는 한번씩 슬럼프 찾아오고.. 다 그런 패턴인데..
세상속하나밖
07/01/10 20:33
수정 아이콘
로얄로더 말고 스타리그 올라간 정도면 하이라고 봅니다..
스타리그는 올라갔으나 아무것도 못하는 신인들 많죠..
로얄로더나 됬으면 상당히 잘하는 편이죠..
이선수 성공할거 같다고 생각하는 신인들 많았지만..
결국 몇년차가 되도록 스타리그도 변변히 못올라오고.. 올라온다고 해도 활약도 없고.. 프로리그서도 마찬가지고요..
다 운명인가..
그를믿습니다
07/01/10 20:53
수정 아이콘
예전에 봤던 스타는 99%의 연습과 1%의 스타급 센스에 의해 탄생한다는 리플 한자락이 생각나네요...
07/01/10 21:48
수정 아이콘
로열로더는 진짜 잘하는 신인이고... 어느 정도 인지도만 쌓으면 충분히 커리어 하이라고 생각하네요. 물론 너무 띄워져서 띄워진 것에 비해 보여준 것이 충분치 못한 경우도 있지만...[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적이겠죠.]
[couple]-bada
07/01/10 22:12
수정 아이콘
현재로서는 송병구 선수가 그렇게 되는것은 아닐지... 안타깝군요.
07/01/10 22:54
수정 아이콘
아 송병구..06년 최고의 유망주였는데.
Bishop Ave.
07/01/10 22:54
수정 아이콘
저도 바로 생각난 선수가 송병구 선수;;;
신 3대 플토 중에 가장 좋아하는 선수였는데.. 센스도 갖추고 있는 것 같은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꼭 메이저 무대에서 보고 싶은 선수
DynamicToss
07/01/10 23:44
수정 아이콘
현재로선 송병구 선수가 그리될듯..
Lunaticia
07/01/10 23:54
수정 아이콘
송병구 양대PC방 뚫을때는 드디어 스카이 2005 때의 포스가 돌아오나 싶었는데...방송경기에서는 무너지더군요. (특히 MBC 서바이버때 심했다는..)

후우..안타깝습니다.
wAvElarva
07/01/11 01:09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도 약간 그렇지 않나요? 크게 성적이 떨어졋는줄은 모르겟지 만 팀내 이재호선수의 성장 때문인지 염보성선수가 웬지 포쓰가 줄어든 느낌이 들던데요.
07/01/11 01:38
수정 아이콘
송병구 선수도 그렇고, 손영훈 선수.....
信主NISSI
07/01/11 04:01
수정 아이콘
2년차징크스가 왜 생길까? 전 두가지의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누구나 생각하는 '정보노출'입니다. 신인인때는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되지만, 커리어가 쌓이면 상대가 그만큼 긴장을 한다는 것이죠. 어느정도는 이것으로 설명되지만, 어느정도라고 생각합니다. 혹, 신인선수라 하더라도 준결승정도를 진출했다면 그 이전에 이미 어느정도는 노출되었다고 봐야합니다.

보다 중요한 이유는 사람들의 인지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2년차징크스를 안겪는 선수가 더 많지만, '이미주목받은선수'만 집중하기에 이미 주목받은 선수는 그 이상의 성적을 내야만 2년차징크스 소릴 듣지 않죠. 게다가 스타판의 특성상 그 이상의 성적을 낸선수는 결국 더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더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하는 순간 2년차 징크스가 됩니다. 4개대회정도 꾸준히 성적을 내는(마재윤선수처럼)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면요.

예를 들면... 박성준선수의 경우 몇번의 예선탈락, 그리고 듀얼탈락... 그이후에 첫진출에 우승을 했지만 결국은 신인이었다는 거죠. 사실 홍진호선수에게 져서 듀얼에서 탈락했을때 그를 기대한 많은 팬들이 있었고, 바로 그 다음듀얼에서 임요환-홍진호-박정석-박성준이 한조를 이루는 그 상황에서도 박성준선수의 진출을 예상하는 사람도 꽤있었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첫번째 전성기를 '신인때'라고 스타판은 판단하게 되는데... 여기서 벗어나는 선수는 강민선수나 조용호선수등 오랫동안 활약한 몇몇 선수들 밖에 없겠네요. 게다가 이 두선수도 '지금당장'은 그만큼의 활약을 못하고 있으니...
07/01/11 08:4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도 매년 결승 한번씩은 올라가줬죠.
변은종 선수는 언제를 전성기로 쳐야 할지.. 모르겠네요.
4강권에는 자주 올라오는 선수인데, 그 이상이 없어서요.
07/01/11 14:15
수정 아이콘
변은종 선수는 그나마 2006년이 가장 좋았죠[...프로리그 진정한 에이스 시절과는 또 개인리그가 따로 논다는-_-;] 4위 및 3위 한 번. 문제는...=_=;
지터와 브라이
07/01/11 17:05
수정 아이콘
김현진 선수 KPGA 4차리그 3위로 데뷔..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연속진출... 아쉽네요.. 많이기대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789 토스잡는 마재윤 [27] 제3의타이밍6637 07/01/27 6637 0
28788 죄송합니다. 저 다시 글 쓸랍니다. [33] kimera5417 07/01/27 5417 0
28783 역시 슈퍼파이트는 슈퍼파이트다. [73] gungs6718 07/01/27 6718 0
28782 해설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23] 그래서그대는5980 07/01/27 5980 0
28781 컨디션은 일시적이지만 수준은 영원하다 [12] 펠레5718 07/01/27 5718 0
28780 슈퍼파이트 해설진 답이없네요.. [160] Eugene10646 07/01/27 10646 0
28779 그분의 역습 [14] SkPJi5813 07/01/27 5813 0
28775 프로리그 중계권 입찰분쟁 [19] 아유5200 07/01/27 5200 0
28767 [PT4] 신청명단 (1/26) [3] 캐럿.4711 07/01/26 4711 0
28697 [PT4] 맵 추천 받습니다! [51] 캐럿.4012 07/01/20 4012 0
28774 안녕하세요 후로리그의 노블입니다. [3] 이프4114 07/01/27 4114 0
28773 스타리그인가 OSL인가. [114] [법]정의7351 07/01/27 7351 0
28771 드디어 내일 벌어지는 빅이벤트! 4회 슈퍼파이트! 에이스중의 에이스는 누구? [35] SKY926491 07/01/26 6491 0
28768 올드 팬이 바라본 김동수. [46] rakorn6703 07/01/26 6703 0
28766 가치관으로 따져본 프로게이머의 성향 [21] 선택과실신5825 07/01/26 5825 0
28765 인터뷰 삭제, e-sports에서도 언론 검열?? [74] 김민성7536 07/01/26 7536 0
28764 임,이,최 역대 3대 테란과 마재윤 선수의 어쩔수 없는 딜레마. [23] 해변의 카프카6789 07/01/26 6789 0
28762 이번 시즌에는 밸런스가 붕괴된 맵이 너무 많습니다 [26] 선택과실신5758 07/01/26 5758 0
28761 마.재.윤...참... [14] 하이6305 07/01/26 6305 0
28760 MC는 괴로워 1회 - 기욤 패트리 등장 [15] Sol_Dide5986 07/01/26 5986 0
28759 여성들의 스타에 대한 지식 지수?! ^^(오늘 경기를 본뒤 그냥 든 생각) [31] Pride-fc N0-14380 07/01/26 4380 0
28758 July, 박성준의 전성기 ... 그리고 마재윤 [4] Aqua4704 07/01/26 4704 0
28754 본좌 논쟁 하는 걸 보면서... [34] 자유로운4370 07/01/25 43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