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10 09:54:13
Name The Siria
Subject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7) - 슈퍼파이트
7. 슈퍼파이트

CJ미디어의 게임 시장 진출에 관한 이야기는 너무 많이 나온 이야기이다.
MBC게임 인수를 위한 협상이 결국 결렬이 되면서, 그들은 온미디어를 견제하기 위한 게임 채널의 진출을 위해 직접 시장에 뛰어들기로 결심을 한다. 이미 2005년에 WEG 측에 대한 자금 투자로 일종의 컨텐츠와 인력 확보에도 성공한 시점에서, 남은 것은 그들이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과 채널의 런칭 뿐이었다.
아직, 채널의 런칭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진출 방식은 확실하게 생각해 두었던 것 같다.
슈퍼파이트라는 형식.
최고의 강자 두 명끼리의 맞대결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이를 통해 시장에 자연스럽게 진입하겠다는 그들의 의지는 슈퍼파이트라는 형식의 새로운 대회를 이끌어 낸다. 예전의 온게임넷 라이벌전이나, MBC게임의 무한종족최강전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더욱 규모가 커지고, 무엇보다 자본이 뒷받침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힘과 집중도는 사못 달랐다고 하겠다.

그래서 시작이 된 슈퍼파이트.
2006년 10월 3일 1회 대회는 대중적인 관심을 가장 많이 끈 대회였다.
임요환과 홍진호의 마지막 대결.
E-Sports의 영원한 두 라이벌의 대결로 테마를 잡은 이 대회는 임요환의 군 입대와 맞물려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고, 임요환이 가진 위치까지 겹치면서, 상당한 주목 속에 경기가 치루어졌다. 여기에, 임요환과 마재윤의 대결은 그간 우승자임에도 상대적인 약세에 있던 마재윤을 단숨에 주목의 대상으로 끌어올리는데 한 몫을 했다.
  두 번째 슈퍼파이트는 임요환과 홍진호의 대결의 연장 선상에 있었다. 박정석과 이윤열이라는 4천왕의 한 축끼리의 대결을 통해 전 대회의 연장을 시키고, 여기에 OSL에서 처절한 사투를 벌인 고인규와 염보성을 대결시키면서, 라이벌전의 이미지를 한층 강화시켰다. 아울러 장재호와 마누엘 센카이젠의 경기는 워3라는 종목의 대중성을 부각시키고, 세계적인 관심을 끌기 위한 시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세 번째 슈퍼파이트는 아마도 게임팬들의 큰 관심 속에 치루어진 대회일 것이다. 이윤열과 마재윤의 대결은 비슷한 시기에 우승을 차지한 두 선수의 대결 이상의 의미였다. 마재윤의 최고수 논쟁부터, 이윤열과 마재윤이 상징하는 종족의 대표성, 여기에 당대 제 일의 선수를 가린다는 의미까지. 실제로 한 번 붙여보고 싶었다는 생각을 그대로 담아낸 경기였으며, 마재윤의 승리로 끝이 난 이 대회는 실제로도 많은 주목을 받은 대회였다. 서지수의 지명 매치는 그러한 주목에 또 하나의 획을 더 하는 경기였다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

슈퍼파이트는 무엇보다 궁금한 관심사를 잡아내어 이를 치루는 대회이다.
임요환의 마지막 경기, 이윤열과 마재윤의 라이벌전, 장재호의 부활, 서지수의 도전과 같은 이슈를 선점하여, 그 이슈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데 성공을 했다. 사실, 양 방송사의 리그처럼 어떤 이야기 구조 속에서 대립각을 창조한 것은 아니다. 그 점에서는 인위적이라 할 수 있겠지만, 시대의 흐름 속에서 그런 이슈를 잡아내고, 그 이슈를 확장시킨 노력에는 경의를 표하고 싶은 것도 사실이다. 요컨대, 더욱 대중적으로 E-Sports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이랄까.
다양한 종목에 대한 관심의 끈을 아직은 놓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충분히 좋은 평가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워3나 피파 온라인과 같은 게임의 발굴에 그들은 일정 부분 기여를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게임 시장의 전반적인 확대에 일정 부분 일조를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다양한 매체에서 게임리그를 접할 수 있다는 것 자체는 축복이라고 봐도 무방한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 과제가 많다.
무엇보다 앞으로의 이슈 선점을 위해 더욱 부단히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기왕이면, 전용 채널을 통한 중계와 독자적인 리그를 통한(하나 못해 프로리그 중계라도)게임리그의 지속적인 기여도 중요할 것이다.
더욱 많은 게임들을 소개하는 역할도 기대한다.
자유도가 높은 만큼, 그 자유도를 활용하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슈퍼파이트는 상당한 성과를 얻었고, 남은 것은 이 성과를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는 일이리라.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6) - 국제화의 위기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5) - 노재욱과 류경현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4) - 개인리그 vs 프로리그(?)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3) - 프런트의 시대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2) - 창단, 그리고 과제들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 - 성명석의 징계 파동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보아남자친구
07/01/10 16:20
수정 아이콘
매번 좋은글 감사합니다
07/01/10 19:1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과거 MW때부터 시리아님의 글을 읽은 나름대로 애독자 입니다 ^^

음 개인적으론 W3의 선수들에 대한 이야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과거 MW에서 쓰셨던 소설과 같은 프리뷰,리뷰글들처럼요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07/01/11 11:37
수정 아이콘
기대에는 못 미쳤지만, 그래도 이름값은 한 대회라고 생각합니다.
금요일 오후로 시간을 잡았던건 아직도 이해가 안 가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728 만약 공군팀이 소울을 이긴다면.. 주훈감독은 어느 선수를 내보낼까요? [56] 다주거써5326 07/01/25 5326 0
28724 만약 전상욱 선수의 탱크가 잡히지 않았다면??? [152] 천마7737 07/01/24 7737 0
28723 투신, 충분했다 [20] 종합백과5364 07/01/24 5364 0
28722 내일 MSL!! 과연 4강전에 누가 진출할것인가! [27] SKY924447 07/01/24 4447 0
28721 e-sports?? e-starcraft?? [23] 스쳐가는인연4338 07/01/24 4338 0
28720 아직 그들은 죽지 않았다. <1> Blaze[Name]. 변길섭 [22] Espio4676 07/01/24 4676 0
28719 오늘 스타리그 16강 전부다 빅메치 [50] 처음느낌8630 07/01/24 8630 0
28718 스타뒷담화에서 토론이 펼쳐지면 문제가 해결된다? [40] 최강견신 성제9430 07/01/24 9430 0
28717 팬까페 연합클랜 4차리그 3주차 경기 결과입니다. [3] lOO43999 07/01/24 3999 0
28716 TL.net의 스타크래프트 2006년 결산을 보았습니다. [10] Anyname5075 07/01/23 5075 0
28715 [PHOTO]스카이 2006 프로리그 통합챔피언전 HEROSTORY [26] 오렌지포인트4311 07/01/23 4311 0
28714 슈파 프리즘에서 슈파 4회 에결 토너먼트 대진을 발표했습니다. [48] SKY927193 07/01/23 7193 0
28713 '가림토' 김동수 KTF 입단! [99] 솔로처11433 07/01/23 11433 0
28712 [1/24]KIN_Wind의 10season 준플레이오프 KIN vs DDR preview [3] 쉰들러4124 07/01/23 4124 0
28711 [1/24]Ob_jamong의 10season 준플레이오프 EGG vs JOA preview 쉰들러4034 07/01/23 4034 0
28710 T1의 장밍루 영입설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19] 다크고스트5577 07/01/23 5577 0
28708 ygclan에서 진행한 진영수선수 인터뷰입니다. [18] kkong6501 07/01/23 6501 0
28707 온게임넷 , MBC Game 에 대한 짧은 정의 [51] Zwei6822 07/01/23 6822 0
28704 프로리그에 관한 소박한 통계 [3] KuTaR조군4320 07/01/22 4320 0
28703 [맵 결산] 아카디아 2 [17] Nerion6039 07/01/22 6039 0
28702 스타크란 판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몇 가지 제안 [34] 막강테란☆4981 07/01/22 4981 0
28701 포스트임요환, 고인규에게서 그 가능성을 보다. [50] 기영우6170 07/01/22 6170 0
28628 [PT4] 신청명단(1/18) [17] 캐럿.4354 07/01/18 43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