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2 22:03:14
Name Altair~★
Subject 퀴즈로 풀어보는 World Cyber Games -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종목 관련 퀴즈 정답
안녕하십니까, Altair~★ 입니다.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종목 관련 퀴즈 정답을 공개합니다.

1.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총 경기수는?
(힌트 - 연도별 200경기 정도를 치렀습니다)
☞정답 - 총 경기수는 1,248경기 입니다.
단, WCG가 조별 풀리그를 7~8명씩 8개조로 치른 뒤에 이후 16강 부터 진행한데 반해 WCG 2004에서는 유일하게 조별 풀리그를 4명씩 16개조로 치른 뒤에 32강부터 진행을 했고 이때 조별 풀리그에서 동률이 발생한 경우의 Play Off 전적 자료가 없어서 실제 경기수는 이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 제가 못찾아서 그럴 수도 있는데 WCG 2004 조별 풀리그 Play Off 전적을 알고 계신 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2.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는?
(힌트 - 역대 메달리스트 / 유럽 선수)
☞정답 - Fredrik Keitel(독일) 선수가 50경기에 출전했습니다.
Fredrik Keitel 선수는 WCG 2003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적도 있는 랜덤 플레이어 입니다.
2위는 46경기에 출전한 Grospellier Bertrand(프랑스) 선수, 3위는 42경기에 출전한 Peter Neate(호주) 선수 입니다.

3.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에서 가장 많은 승수를 올린 선수는?
(힌트 - 2명, 2번 정답 선수와 출전 대륙, 입상 경력 동일)
☞정답 - Fredrik Keitel, Grospellier Bertrand 선수가 나란히 33승을 기록했습니다.
Grospellier Bertrand 선수는 대한민국에서도 오랫동안 활동한 적이 있고 WCG 2001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적도 있습니다.

4.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에서 가장 승률이 좋은 선수는? (15경기 이상 출전)
(힌트 - 금메달리스트 / 대한민국)
☞정답 - 서지훈(대한민국) 선수가 21전 19승 2패 90.5%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
서지훈 선수는 WCG 2004에서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습니다. 서지훈 선수가 패한 2패는 모두 WCG 2005 16강에서 나도현(대한민국) 선수에게 패한 경기 입니다.

5.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에서 가장 많은 경기를 치른 맵은? (버젼이 다를 경우 통합,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는 제외)
(힌트 - 2005~2006년 공식맵)
☞정답 - 총 121경기를 치른 Paranoid Android 입니다.
Paranoid Android는 2005~2006 2년에 걸쳐 공식맵으로 사용된 맵으로 테란 15:13 저그, 저그 14:15 프로토스, 프로토스 14:22 테란 의 종족별 밸런스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2위는 112경기를 치른 Dahlia Of Jungle와 Martian Cross, 4위는 105경기를 치른 Azalea 입니다.
물론 이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의 맵들이 보완된다면 변경될 수 있습니다.

6. WCG 최다 대회 출전 선수는?
(힌트 - 2명, 2번 정답 선수 가운데 한명과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선수 가운데 한명)
☞정답 - Fredrik Keitel, Peter Neate 선수가 WCG에 총 5번 출전했습니다.
Fredrik Keitel 선수는 WCG 2001부터 WCG 2005까지 한번도 빠짐없이 연속해서 출전한 바 있고,
Peter Neate 선수는 WCG 2001, WCG 2002에 출전한 뒤 한 해를 쉬었다가(국가별 예선에 불참한 것인지 탈락한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WCG 2004부터 WCG 2006까지 3개 대회를 연속해서 출전했습니다.
참고로 WCG에 4번 출전한 선수가 7명, 3번 출전한 선수가 14명씩 있으며, 대한민국 선수들은 임요환, 서지훈, 이재훈, 전상욱, 나도현 선수가 2번씩 출전중 입니다.

7. WCG 최다 연속 대회 출전 선수는?
(힌트 - 2번, 6번 정답 선수와 동일)
☞정답 - Fredrik Keitel 선수는 WCG 2001 ~ WCG 2005 5개 대회를 연속해서 출전했습니다.

8. 한 종족이 금-은-동메달을 모두 차지한 대회와 한 국가가 금-은-동메달을 모두 차지한 대회는? (보너스 문제)
(힌트 - 테란이 모든 메달 석권, 대한민국이 모든 메달 석권)
☞정답 - 한 종족이 금-은-동메달을 모두 차지한 대회는 WCG 2004, 한 국가가 금-은-동메달을 모두 차지한 대회는 WCG 2006 입니다.
WCG 2004에서는 서지훈 선수가 금메달, 전상욱(대한민국) 선수가 은메달, Christian Drechsler(불가리아) 선수가 동메달을 획득 했는데 모두 주종족이 테란 입니다.
WCG 2001의 경우도 테란이 모든 메달을 차지한 대회로 착각하실 수 있으나 Grospellier Bertrand 선수가 최종 결승전과 조별 풀리그에서 프로토스로 플레이한 적이 있습니다.
WCG 2006에서는 대한민국의 최연성-박성준-전상욱 선수가 금-은-동메달을 모두 차지한 바 있습니다.

9. 역대 WCG VS저그전 승률 100%를 기록하고 있는 선수는? (7경기 이상 출전)
(힌트 - 4명 / 테란 3명, 프로토스 1명 / 대한민국 2명, 불가리아 1명, 캐나다 1명)
☞정답 - 임요환, 서지훈, Ivan Velikov(불가리아), Guillaume Patry(캐나다) 선수 입니다.
임요환 선수는 8승, 서지훈 선수는 7승, Ivan Velikov 선수는 8승, Guillaume Patry 선수는 9승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앞 3명의 선수가 모두 테란인데 반해 Guillaume Patry 선수는 유일한 프로토스 입니다.
참고로 홍진호 선수도 5승으로 기준경기인 7경기에는 2경기가 부족하지만 100%의 VS저그전 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0. 역대 WCG VS프로토스전 승률 100%를 기록하고 있는 선수는? (7경기 이상 출전)
(힌트 - 중국 / 주종족 테란이나 저그로도 경기)
☞정답 - Chuanhai Zhuang(중국) 선수 입니다.
Chuanhai Zhuang 선수는 VS프로토스전 7승으로 승률 100%를 기록 중 입니다. Chuanhai Zhuang 선수는 테란으로 5승, 저그로 2승 씩을 기록했습니다.
참고로 임요환 선수가 6승, 서지훈 선수가 5승으로 100%의 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연성 선수는 9승 1패 90%.

11. 역대 WCG VS테란전 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선수는? (7경기 이상 출전)
(힌트 - 대한민국 / 주종족 저그)
☞정답 - 이용범(대한민국) 선수 입니다.
3개 종족 가운데 유일하게 어떤 선수도 100% 승률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는 종족전이 테란전 인데, 이용범 선수는 9승 2패 81.8%로 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2. 역대 WCG 전승 우승 선수는? (보너스 문제)
(힌트 - 대한민국 2명 / 테란 2명)
☞정답 - WCG 2001 임요환 선수, WCG 2004 서지훈 선수 입니다.
WCG 2001에서 임요환 선수는 조별 풀리그 A조에서 5승, 이후 더블 엘리미네이션에서 승자전에 살아남으며 16강 부터 최종 결승까지 5승을 기록, 10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WCG 2004에서 서지훈 선수는 조별 풀리그 G조에서 3승, 이후 32강 토너먼트 부터 10승을 추가, 13전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한 바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02 22:22
수정 아이콘
왜 테란전 상대로는 100%의 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선수가 없는 걸까요...?
베르트랑 선수와 기욤 선수의 이름을 보니 정말 반갑네요.
하쿠바사구루
06/11/03 17:57
수정 아이콘
역시 1번은 정말 못 풀겠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596 시대를 풍미했지만 점점 잊혀져가는 스타들. [55] 김종광10637 07/01/14 10637 0
28595 프로토스가 없다해도 스타리그는 흥행합니다. 그러기에 더 슬픕니다. [81] 김광훈8742 07/01/14 8742 0
28594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16강 특집 - 이제는 16강이다.(1) [8] KuTaR조군4855 07/01/14 4855 0
28593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0) - E-Sports의 중심, KeSPA [2] The Siria4820 07/01/14 4820 0
28591 이런저런 '최다' 이야기. [10] 백야4890 07/01/14 4890 0
28590 팀배틀 방식. 왜 그리워하는가. 대안은 팀플카드의 캐스팅 [38] 5836 07/01/14 5836 0
28589 성전엔 뭔가 특별한것이 있다? [20] 5star4566 07/01/14 4566 0
28587 스타크레프트2가 정말 나올까요? [29] 그래서그대는5900 07/01/13 5900 0
28586 [sylent의 B급칼럼] 강민, 빌어먹을. [27] sylent7610 07/01/13 7610 0
28585 [설탕의 다른듯 닮은] 마본좌와 킹 앙리 [25] 설탕가루인형5806 07/01/13 5806 0
28584 개인리그형 선수와 프로리그형 선수? [6] bazel4413 07/01/13 4413 0
28582 쇼트트랙과 스타, 그 혁명의 역사. [20] EndLEss_MAy4740 07/01/13 4740 0
28581 소리없이 강한 선수 이병민 [29] 인생무상5263 07/01/13 5263 0
28580 [1/14] 후로리그 10season 9round JOA vs F8 preview [2] 쉰들러4912 07/01/13 4912 0
28577 프로리그...연속 출전 금지 조항이 생겼으면 합니다. [23] 다크고스트5040 07/01/13 5040 0
28576 프로리그. 한주 12회 격돌을 기대합니다. [6] 信主NISSI4180 07/01/13 4180 0
28575 [pgr대회] 신청자 명단 (1/12) [11] 캐럿.4226 07/01/13 4226 0
28574 신한은행 3rd Season 와일드카드전 시청후기 [11] DNA Killer4735 07/01/13 4735 0
28573 PgR21 Tournament Season 4 !!! [41] 캐럿.5466 07/01/10 5466 0
28572 언제부턴가 조지명식이... [110] 이선홍8269 07/01/12 8269 0
28571 나중에 프로리그 올스타전 같은거 할때 이런건 어떨까요 [9] Pusan[S.G]짱4554 07/01/12 4554 0
28570 곰곰록 [31] 그래서그대는5432 07/01/12 5432 0
28569 신한은행 시즌 3 토너먼트 대진이 확정되었네요. [27] SKY925287 07/01/12 52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