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12 11:32:03
Name [NC]...TesTER
Subject [잡담]Mind Control, Pressing and Hungry
우리는 일상 생활에 많은 긴장의 연속 속에 살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도 사고가 날지도 모른다는 아주 미약한 긴장감 부터, 상황에 따른 다양한 긴장감을 맛보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회사에 출근하면서부터 가벼운 긴장으로 시작하여, 중요한 프레젠테이션이나 미팅이 있을 경우는 그 긴장감은 극으로 치닫습니다. 심장박동수는 급격히 증감하며, 눈앞은 아찔하기도 합니다. 제 에피소드 하나 이야기해볼께요.

한 5년전쯤 학생의 신분일때 스터디 모임을 한적이 있습니다. IT관련 전공자들의 모여서(타학교) 다양한 토론들을 했었죠. 언제는 스터디 모임 대표로 제가 어느정도 큰 포럼에 발표를 한 적이 있습니다. 장소는 모여대 경영관이었구요. 좌석은 대략 6,700정도 됐었던 걸로 기억이 납니다. 그런 자리도 처음이었고, 게다가 더 큰 문제는 대대부분의 학생들이 여대생이었다는 거죠. 제 또래와 저보다 2-3살 어린 학생들이 대대부분이었고, 그 수많은 눈은 저를 주시하고 있었죠. 무슨말을 해야할지, 원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손은 이미 떨고 있었으며, 말 한마디, 한마디가 떨림의 연속이었습니다. 그 수천개의 눈을 감당하기가 그 당시 저로서는 감당을 할 수가 없었죠.

회사를 다니면서도 그런 긴장감들은 수도 없이 많았습니다. 업체와 미팅을 하는데 저는 혼자고, 업체 담당자는 대 여섯명이 나오면 제가 무슨 말을 해야할지, 또는 설득을 시켜야 할 입장인데 반대로 설득을 당해, 회사로 오게되면 그 이후의 윗분들의 압박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런 압박으로 인해 저의 긴장감은 또한 더 심해지죠. 그런 경험들을 한 후 지금은 그 당시보다는 덜 하지만 그래도 늘 긴장감의 연속은 심해집니다. 가령 이런 조건은 더욱 심해지죠.(아래 사항은 실화입니다.)

1. 윗분이 "이번 프레젠테이션을 잘 해야 이 프로젝트를 우리가 수주하는데 유리해진다. 담당자가 잘 설득 안되면, 그 집 앞에서 텐트치고 자"

2. 윗분이나 주위사람들이 "니가 좀 배가 불렀구나. 너 처음에는 이러지 않았잖아. 무조건 하라는데로 했고, 죽기살기로 했으면서 지금 등 따땃하고, 어느정도 자리 차지하니까 지금 니 태도가 그러냐?

3. 하루는 밤을 새고 아침에 책상에 엎드려 있다가 게슴치레한 눈을 뜨고 복도로 나가 윗분과 커피를 나누며, 윗분이 이런 말을 합니다. "너 어제 밤샜냐? 몸이 많이 피곤해보인다. 그게 왜그런줄알어? 니가 밤을 안새봐서 그래. 정말 타이트하게 일을 안해봤다는 증거지. 넌 좀더 타이트하게 일을 더 해야해. 그래야 지금 이 몰골이 안나오지"


저는 솔직히 배를 곯아본 적도 없고, 일을 밤새가며 타이트하게 해본적도 많았습니다. 그런 윗분들의 말에 굉장히 섭섭하더라구요. 대학원서 넣을 당시, 저희 아버지는 이런 말씀도 하셨습니다.

"부모님 힘들게 살면서도 독학해서 S대 수석하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새벽에 공부해서도 사법고시 패스하는데, 넌 뭐니?"

아마도 7,80년대에는 어느정도 통했던 말이지만 지금의 티비에 나오는 수석 합격자들은 왠지 그래 보이지가 않았습니다.


저희 아버지나 회사의 윗분들이 하신 말씀들이 틀렸다는 건 아니죠. 아마도 더욱더 매진하라는 그 분들의 가치관에 따른, 그 분들의 환경에 대해 저에게도 강요 아닌 강요를 하셨던 것 같습니다. 사실 어는 분야에서나 아마추어와 프로는 존재합니다. 하수와 고수가 존재하 듯 말입니다. 경험과 시간이 흘러야 프로와 고수가 되지만, 그 프로와 고수들 사이에도 또다른 벽은 존재합니다. 끝이 없는 거죠. 그래선 인류는 만물의 영장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네요.

------------------------------------------------------------------------------

제가 지금 왠지 회사내에서 저에게 말했던 그 윗분, 대학원서 넣을때 당시의 아버지가 되어 버린 듯 합니다. 이러면 안되는데 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 name is J
06/01/12 13:06
수정 아이콘
다들 자기 사는게 제일 힘들고 어렵죠.
삶이라는게 늘 슬프고 안타까웠는데...이젠 그런게 사치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그런걸 그만해야 어른이 될텐데말이죠...그런데 또 어른이 되기는 싫거든요. 으하하하-
가끔,, '자격없음'이 느껴지고는 합니다.
삶에 대해서 느끼는것에 자격은 없는 건데도요.

세상은 그래-라고 하는 말이 살아나갈수록 더 무섭습니다.
06/01/12 13:34
수정 아이콘
그러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는거죠.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담습은 아닐거고;;;] 노력하지만 어쩔수 없는것도 그렇고... 그래도 우리는 살아가니까요. : )
[NC]...TesTER
06/01/12 14:28
수정 아이콘
KTF펜으로서 쓴 글인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101 알탭하고나서 스타 창깨지는 것 방지하기..(듀토 스포일러있음) [10] Deja_Vu3897 06/01/14 3897 0
20099 서울대 조사위는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42] 네이버3995 06/01/14 3995 0
20098 박정석 무엇을 잘못했는가? [367] 랜덤테란6287 06/01/14 6287 0
20097 [관전평] 간단한 OSL 16강 6주차 관전평 [3] Crazy~Soul3818 06/01/14 3818 0
20093 [이윤열 선수 응원글] 부탁 - [29] Lee♣3594 06/01/14 3594 0
20092 [잡담] 왕자님과 공주님의 이야기. [5] My name is J3892 06/01/14 3892 0
20091 서지훈....불안하네요 [64] 낭만토스5060 06/01/14 5060 0
20090 안기효 선수...일단 축하드린다는 말씀을... [20] jyl9kr3693 06/01/14 3693 0
20089 팀플용 국민맵 "The Hunters"의 다양한 맵타일 버전입니다. [24] 안티테란8133 06/01/14 8133 0
20087 [서지훈 선수 응원글] 좋아한다, 안좋아한다 [25] 아반스트랏슈4483 06/01/14 4483 0
20085 조용호선수에관한 궁금증 [22] 올빼미3723 06/01/14 3723 0
20084 내가 그들에게 열광하는 이유 [5] ddalgu3581 06/01/13 3581 0
20083 악플러에 대한 방송을 보고서... [3] Zealot3500 06/01/13 3500 0
20082 오늘 경기 감상문입니다. (스타리그 아니에요.) [3] hardyz4108 06/01/13 4108 0
20081 [CYON배 7차 MSL] 전혀 새로운 저그대 저그 결승을 위한 아이디'어? [9] 청보랏빛 영혼3920 06/01/13 3920 0
20080 어린 소년 - 20060113 [3] 간지다오!2820 06/01/13 2820 0
20079 역대 8강전중 최고대박 최연성 VS 임요환!!!!!!!!!!!!!!!!!!!!!!!!!!!!!!!!!!!!!!! [84] 초보랜덤6655 06/01/13 6655 0
20075 내가 2006년 최고의 유망주다!!! [49] 멧돼지콩꿀4503 06/01/13 4503 0
20074 삼성전자 칸을 후원합니다. [19] 김치원3552 06/01/13 3552 0
20073 첼시와 레알 마드리드. [80] 히또끼리5430 06/01/13 5430 0
20072 테란을 놓고 가만히 생각해보면. [43] 김태엽4242 06/01/13 4242 0
20071 프로리그 결승전 희망 매치업 [24] 라이포겐3606 06/01/13 3606 0
20070 옵션계약이 있으면 어떨까요? [10] seed3644 06/01/13 364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