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07 02:04:38
Name EndLEss_MAy
Subject 격투기, 제 삶에 파고들기 시작했습니다.
에..그러니까 말입니다.

아마도 우리가 처음으로 '격투' 의 개념을 접한건 아주 어릴 적 유치원 시절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제 경험담을 말씀드리자면 6살 때 유치원에서 많이 괴롭히던 친구가 있었

는데 태권도 6단이신 아버지의 조언으로 그녀석을 응징하여 녀석에게 지금 생각해보

면 '스탬핑' 까지 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순하고 울지도 않던 저를 대해오던 유치원

선생님들께선 충격이셨는지 집에 전화해서 아까 그 아이가 '빈' (가명)이가 맞냐는둥..오

늘 새로운 면을 봤다는 둥..전화를 하셨었다고 하네요.

어린 시절 이야기는 접어두고..

우리가 TV에서 '격투'를 처음 접한 것은 아마도 복싱이었을 것입니다. 프로레슬링도 종합

격투의 다른 개념이니 그것도 '격투'의 범주안에 넣을 수도 있겠네요.

그렇게 어린 시절부터, 그리고 학창시절의 수많은 격투경험을 거쳐(전적이 중요하진 않

죠;;) 성인이 되니, 케이블에서 K-1을 방송해주더군요.

정말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당장 그날부로 인터넷에서 케이원에 관련된 정볼르 검색하기 시작했고 안그래도 기억력

좋은 저는 순식간에 주요선수들 이름이란 이름은 다 외우고..난리도 아니었죠.

어머니는 제게 '아그야, 쌈박질 하는 것이 그케도 잼나냐?(저는 전라도에 살죠..)' 라는

말씀을 하시다가..결국 어머니도 저에게 동화되었습니다.

그리고 MMA, 즉 프라이드와 UFC를 접했을 때의 충격이란..

'저게 인간의 스포츠인가' 라는 생각을 참 많이 했었죠.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예술의 경지에 다다른 노게이라의 트라이앵글 초크를 보면서, 그리고 크로캅의 하이킥을

보면서..'저건 스포츠가 아니라 예술이구나..두 남자가 맨몸으로 맞부딪치는 또 다른 형태

의 예술..' 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죠.

누군가는 잔혹하다고도 하고, 누군가는 방송을 금지해야 한다고도 합니다. 누군가 말했던

것처럼 저건 현대의 검투사들 끼리의 싸움일 뿐이라고 폄하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격투기(MMA, 입식타격..)는 이미 많은 사람의 삶에 일부분으로 자리 잡은 것 같습

니다. 오늘도 아무것도 아닌일로 싸우고 있을 저 멀리의 격갤 찌질이들부터 하여 금액결제

를 하고 인터넷으로라도 지켜보는 수많은 격투 팬들까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_terran
06/01/07 02:11
수정 아이콘
격투왕 바키도 한번 보세요. 격투매니아가 볼만한 황당무계하지만 중독성이 있는 만화책입니다.
06/01/07 02:14
수정 아이콘
'폭력', '로마 시대의 검투사', '인간의 잔인한 본능' 등 연관도 없는 희한한 핑계들을 갖다 붙이며 격투기를 매도하는 우리나라의 몇몇 언론들이 떠올랐다. 격투기는 폭력이 아니다. 링에 오른 선수들이 일방적으로 서로를 괴롭히거나 학대하는 관계인가? 그렇지 않다. 그들은 평생을 피땀 흘려 노력해 이 수만 관중 앞에 서서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당당한 스포츠맨들이다. 관중들은 그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그 주인공들이 그동안 흘린 눈물과 피와 땀의 결과를 확인하며 같이 울고 웃는다. 격투기란 마치 음악 콘서트나 미술 전시회처럼 그것을 만든 사람과 보는 사람들이 같이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인 것이다. - 프라이드 해설 김대환 씨의 이번 남제 관련의 칼럼에서 발췌했습니다.

아마 전혀 공감이 가지 않는 분들도 계실 듯 하지만, 인간이 살아간다고 하는 사태 속에서 이런 방식으로도 그 자신의 삶을 링 위에서 표현하고 관철해나갈 수 있다는 점은 참 흥미롭습니다. 상대를 넘어뜨리고 타격을 입히는 행위라고만 보면 그 뿐이겠습니다만, 분명 그것이 부정할 수 없는 삶으로서의 일면을 가지고 있기에 격투기에 빠져드는 저희 같은 사람들 또한 생겨나는 것이겠지요.
06/01/07 02:54
수정 아이콘
격투기 멋있죠^^ 1/6000000000 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어울리는 방식
06/01/07 04:22
수정 아이콘
직접 배워도재밋음 주짓수 같은거 때리는건ㅇ ㅏ파서; 레슬링하고 주짓수가재밋어요
김영대
06/01/07 04:53
수정 아이콘
타격기들을 배울 때 굳이 스파링 하지 않아도 되니 아프다고 안 다니면 손햅니다.
얼마나 재밌는데요. ㅠㅠ
그리고 어차피 무에타이를 하던 복싱을 하던 도장에서 친구 생기고 그러면, 넘어뜨리기 같은거 하니 레슬링도 하고 뭐 그런거죠.
정말 재밌습니다.
06/01/07 09:50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참 저도 첨 봤을때는 잔인해 보이고
누워서 싸우는게 루즈해 보였지만 계속보니 이제는
그라운드 기술이나 파운딩이 좋은 선수가 멋져 보이더군요
암튼 효도르 만큼 강할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가요?
2미터가 넘는 거인들은 실전에서는 무적인줄 알았어요 -_-
The xian
06/01/07 10:48
수정 아이콘
표도르의 이번 경기를 보며 저는 그가 격투가가 아닌 무도가로 느껴졌습니다. 사람의 어디를 때리면 어떻게 되는지를 제대로 아는...
자리양보
06/01/07 11:26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격투기에 푹빠져있죠. 티비틀면 보는 프로가 온게임넷, 프라이드, k-1, wwe정도이니..-_-; (대체 정규방송을 언제보고 안봤는지;;)
wAvElarva
06/01/07 12:57
수정 아이콘
효도르를 이길자는 2년뒤 동생이 될듯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917 인터넷이 있어서 정말 다행이야~ [4] 해맏사내3792 06/01/09 3792 0
19916 제 취향이 까다로운 건가요. -_-;; [49] jyl9kr3978 06/01/09 3978 0
19915 박지성과 맨유의 미래 [15] 천제토스강민3798 06/01/09 3798 0
19914 @@ 일단 지르고 보자 ... 어떻게 되겠지 ...^^ [11] 메딕아빠3972 06/01/09 3972 0
19912 [yoRR의 토막수필.#12]To Pgr21.com! [14] 윤여광4371 06/01/09 4371 0
19911 [정보] 박지성 선수, 선발 출전과 교체 출전시 맨유 성적 단순비교!! [12] PuzzleR3948 06/01/09 3948 0
19910 이런 어이 없는 식당이.... [25] ☆FlyingMarine☆4196 06/01/09 4196 0
19908 <조낸..조난> 이게 무슨 말인가요? [40] 비엔나커피3877 06/01/09 3877 0
19907 신념만 있다고 해서 다 좋은 게 아닌거죠..?? [8] OrBef3904 06/01/09 3904 0
19906 아마추어팀의 대반란 [15] 닭템3603 06/01/09 3603 0
19905 요즘 참 우울하네요 ^-^a [11] Love♥Toss4162 06/01/09 4162 0
19904 주관적으로 살펴본 흥미로운 사실들.... [11] Juliett November3767 06/01/09 3767 0
19901 TV를 보며 진짜 웃겼던 코너들 [50] 닭템4802 06/01/08 4802 0
19900 파포야 파포야 퐈퐈곰을 내놓아라 [86] 하야로비5163 06/01/08 5163 0
19898 무엇이 문제입니까? [17] Attack3488 06/01/08 3488 0
19897 펌] 소설가를 울린 한 소녀의 시집.. [70] 드랍매니아3904 06/01/08 3904 0
19896 사람은 너무 쉽게 망각하는 동물이다... [26] 닭템3879 06/01/08 3879 0
19895 파이터 포럼 전문가 투표.. 방식이 좀 이상한 것 같습니다.. [69] Still3791 06/01/08 3791 0
19894 재미로 보는 구파일방과 게임단. [38] xxxxVIPERxxxx5331 06/01/08 5331 0
19893 프로리그 플레이오프에서 개인전과 팀승리 [7] Marionette3661 06/01/08 3661 0
19892 [CYON배 7차 MSL] 현실이된 당신의 아이디어를 되돌아보자 - 上 [13] 청보랏빛 영혼3878 06/01/08 3878 0
19890 KTF의 포스트시즌 징크스...이번에는??? [9] 다크고스트3663 06/01/08 3663 0
19889 2005 Zerg Yearly MVP 전문가 투표에 관해서. [85] WizarD_SlyaeR4050 06/01/08 405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