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03 01:42:41
Name 애연가
Subject 스타크래프트와 E-스포츠팬으로서 너무 불안합니다.
문뜩 문뜩 떠오르던 생각을 한밤중에 글로 써보려고 합니다.

스타를 사랑하는 사람 중 한명으로서 왠지 모를 불안감이 전부터 들었습니다.

내가 이만큼 좋아하는 스타크래프트가 없어지면 어쩌나.

내가 좋아하는 선수들이 활동을 접으면 어쩌나.

이런 막연한 불안감이 가끔씩 머릿속을 휘젓고 다닙니다.

제가 이런 불안감이 드는 이유는 스타크래프트! 라는 게임이 우리나라가 아닌 블리자드에서

만들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블리자드 측에서는 이젠 수익성 없는 게임이 되어버린 스타크래프트!

우리가 스타를 사랑하는 열정이 식기도전에 사업을 접어버릴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방송경기는 하고 있지만 베틀넷은 없어지는 상황이 벌어질까 무섭습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어쩌나 하고 걱정은 하지만, 블리자드 측에서 스타에 대한 모든걸

포기하고 사업을 접었을 때 대처할 방법은 딱히 생각나지 않네요.

그냥 저에게 조그마한 바람이 있다면,

한국 E-스포츠 협회에서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것을 매입하여. 패치와 업데이트를 책임지고

관리했으면 합니다.

우리가 이룩한 게임 방송이고 우리가 이끌어온 E-스포츠인데, 블리자드라는 회사 때문에

언젠가는 없어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해방되고 싶습니다.

제 생각이 쓸데없이 보일 수 있겠지만, 나름대로 10년 후에도 스타를 보고 싶은 팬으로서는

쓸대 없는 걱정이 듭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03 01:45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가 스타에 대한 모든 판권을 우리에게 팔것같지도않고
또 블리자드 역시 앞으로 계속 게임을 만들 회사일텐데 갑자기 스타 배틀넷을 없애는 실책은 범하지않겠죠
무한초보
06/01/03 01:53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는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뭔지 잘 알고 있는 회사같은데요.
바로 [고객]이죠.
향후 몇년간 배틀넷이 없어지는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애연가
06/01/03 01:54
수정 아이콘
그냥 ... 드는 잡생각이에요. 마소가 윈98 접는다고 했을때고 그렇고, 기업이라는게 언제 돌변할지 몰라서. .. 그리고 스타2를 기다리는 것보다. 우리가 가지고 와서 계속발전시키는 쪽이 어떨까? 하는 생각도 ... 해봤습니다.
낭만토스
06/01/03 01:59
수정 아이콘
어짜피 베넷은 지금도 워3과 같은 서버를 사용하고 있죠. 블리자드가 월드오브 워크레프트를 개발하는등 워크레프트에 대한 경영이 이어지는한 스타베틀넷도 계속 되리라 봅니다. 그러나 글쓰신분께서 하신말씀대로 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죠 :)
06/01/03 05:39
수정 아이콘
스타2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금 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 고스트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세계관에 입각한 게임인데요, 이미 기획하고 있는 게임을 과연 블리자드가 판권을 우리에게 넘기겠습니까? 판권을 넘긴다면 오히려 그쪽이 우리에게 로열티를 지불해야죠, 어지간해서는 소용없는 일입니다.
하늘 사랑
06/01/03 07:40
수정 아이콘
제일 좋은 방법은 그놈의 판권을 우리가 사는건데....
그쪽에선 팔것같지 않아서 문제죠
근데 이제 전세계적으론 거의 한물 간 게임인데
계속 붙잡고 있을 필요가 있나...그냥 우리에게 팔지 블리자드
My name is J
06/01/03 08:21
수정 아이콘
스타2가 가장 큰 위협이죠...
고스트 같은 경우는 오히려 호재일수도 있습니다.
과연 스타2가 나올지, 혹은 나온다면 어떤모습일지...전 그게 제일 무섭더군요. 엉엉-
밀가리
06/01/03 10:55
수정 아이콘
그냥 저같은 일반 유저는 스타크래프트를 재미있게 즐기기만 한다면 해결된다고 생각합니다.
닭타냥
06/01/03 11:1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만 파는 스타크래프트 수익만으로도 배틀넷은 계속 운영될것 같은데요. 그리고 스타크래프트도 한때 열풍을 일으킨 게임인데.. 우리나라에 쉽게 넘길리가 없습니다. 지금 후속작(고스트)도 개발중이구요.
sway with me
06/01/03 11:48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판권의 구입은 어려울 것이라는 건 위의 분들이 이미 얘기하셨고...
스타크래프트를 통한 수익구조 개발에 판권이 장애가 된다면, 차라리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하고 좀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할 수는 없나 라는 막연한 생각을 해봅니다. 예컨데, 좌석 수가 충분히 확보되고 현장감을 담뿍 느낄 수 있는 상설 경기장을 유료로 운영한다는 것이 그 일례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만... 구체적인 사정을 모르기 때문에 자세한 건 얘기하기 힘들군요^^;;;
이러한 수익구조는 블리자드로서도 별로 거부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막연히 추측해 봅니다. 스타크래프트가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고, 그로 인한 수익이 발생하는 것은, 자사에 대한 지속적인 광고효과와 많든 적든 실질적인 수익이 꾸준히 있는 셈인데, 블리자드로서도 싫어할 이유가 없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783 <잡담>잠이 안오는 새벽 [1] Leo Messi3735 06/01/05 3735 0
19782 - 김도형 해설을 위한 변명 - [42] after_shave6535 06/01/05 6535 0
19781 스카이 프로리그 박경락 vs 송병구 관람 후기 [8] 스타독립8153712 06/01/05 3712 0
19780 그 날의 글이 문득 떠오르는군요.ㅡㅡa [8] 백야3555 06/01/04 3555 0
19779 오늘 플레이오프 이현승 선수의 미스테리한 러쉬 타이밍; [74] 초보유저6789 06/01/04 6789 0
19778 여기는 메가웹스테이션 [7] 최영식3514 06/01/04 3514 0
19777 내일...... MSL에서 최강과 최강이 다시 격돌한다!!! [27] SKY923817 06/01/04 3817 0
19776 GO팀 특히 마재윤선수 너무 안타깝네요+삼성칸 대형사고 치나요 [19] 초보랜덤4400 06/01/04 4400 0
19773 송병구....... 그가...... 다시한번 GO를 침몰시키다. [80] SKY925631 06/01/04 5631 0
19771 마재윤의 센스.(스포일러) [24] anti-terran5188 06/01/04 5188 0
19770 [Zealot] 스타를 6년 동안 하고 보면서 제일 긴장감 있었던 저 VS 저 경기 [18] Zealot3690 06/01/04 3690 0
19768 자신의 아이디와 별명은 무슨뜻이 있나요? [52] 무한초보5330 06/01/04 5330 0
19767 프로게이머 병역특례가 좀더 가시적으로 다가왔네요. [25] hannibal4153 06/01/04 4153 0
19766 [긴급분석]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11] 초보랜덤4119 06/01/04 4119 0
19765 프로게임계가 얼마나 갈까에 대한 단상 [8] SAI-MAX3661 06/01/04 3661 0
19764 그냥 심심해서 짜본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19] 들쿠달스 이3572 06/01/04 3572 0
19763 황제가 대통령이 되고, 대통령이 황제가 되는 그날의 망상 [20] 중년의 럴커4670 06/01/04 4670 0
19762 국산TV 정말 열받게 합니다. [60] 정테란4232 06/01/04 4232 0
19761 [수정공지] PgR21 커뮤니티 교류전 경품 추가 [50] homy6716 05/12/31 6716 0
19759 음.글쎄요..여론이 일부의 곳에서만 그런걸까요.. [30] 똥막싸3777 06/01/04 3777 0
19758 국립 중앙 박물관 [25] K_Mton3797 06/01/04 3797 0
19756 KTF팀의 다음주 플레이오프 변수 [24] 초보랜덤3867 06/01/04 3867 0
19755 완전히 판을 새로짜면 어떨까요....? [24] 아큐브3809 06/01/04 38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