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1 16:19:26
Name 한강두강세강
Subject [일반] 이준석 후보의 국민연금 공약과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판에 관하여
이준석 후보가 국민연금을 신-구 연금 분리한다는 공약을 내놓은 건 경제적 부담을 미래에 떠넘길 수 없다는 명분입니다.

지난 1차 토론 때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공약을 비판했죠. 이재명 후보가 기후변화, 전세계 추세에 맞춰 에너지 전환이라는 부담을 미래에 떠넘길 수 없다고 답했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문제는 돈인데, 에너지 전환에 어느정도 비용이 든다는 말은 아끼더라고요.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였죠.

새로운 정부에서 이런저런 사업 할건데 돈 좀 든다, 하지만 꼭 필요하다, 매번 기대하는 건 이런 거지만 아쉬웠습니다.

이준석 후보 바보 만드는 건 문재인 전 대통령처럼 웃으며 허허허 좋은 비판 감사하고 저희 다음 정부에서 잘 검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는 게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군
25/05/21 16:24
수정 아이콘
결국 신재생은 하긴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서, 반대로 안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종종 궁금합니다. 아무리 봐도 돈 룩 업 마인드 같아요...
25/05/21 16:48
수정 아이콘
신-구 연금 분리 역시 연금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죠. KDI 안은 신-구 연금분리 후 구연금의 부족분은 재정으로 충당하자는 주장입니다. 현재 적자재정 상황에서 구 연금의 부족분은 국채를 발행해서 조달할 수밖에 없고, 국채 역시 미래세대의 부담이 됩니다. 신-구 연금 분리는 연금보험료로 부담을 질 것인지, 세금으로 부담을 질 것인지 선택하는 문제에 불과합니다.

결국 연금문제의 핵심은 기존 수급자들의 수급액을 줄이는 것입니다. 인구구조를 생각할 때 무조건 연금은 고갈될 수밖에 없고, 미래세대는 많은 돈을 내고 적은 돈을 받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연금계정을 분리하든 붙이든 결국 기존 수급자의 연금액을 감액하는 것이 아니면 그 무엇도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5/21 17:13
수정 아이콘
연금액 감액이 진보쪽은 사회권 강조성향 때문에 좋아하지 않고, 보수쪽은 계약으로 이미 형성된 재산권을 사회적인 필요에 따라 직접 조정하는 일인지라 선호하지 않는 일일겁니다.

물론 더 직접적인 이유는 정치적 비난 쪽이겠지만요....
25/05/21 17:19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연금액 감액은 진보와 보수 모두 얘기하기 어려운 부분이죠. 신-구 연금 분리 역시 해결책이 될 수 없는 포장지에 불과한데, 일각에서는 분리만 하면 해결되는 것처럼 논의되는 것이 안타까워서 댓글을 적었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5/21 17:28
수정 아이콘
신구 연금 분리는 당장 보험료 올리는 걸 같은 양의 세금인상+채권발행으로 녹여서 가시성을 줄이는 방법이니까요.

비난회피라는 전통적인 정치기법이죠....
손꾸랔
25/05/21 19:47
수정 아이콘
듣고 보니 신구연금 분리란 것도 결국 조삼모사군요.
하긴 하늘에서 돈이 쏟아지는 5병2어의 기적이 없는 한 돈 문제가 해결될 리가
+ 25/05/24 22:35
수정 아이콘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 정확한 설명은 못하지만 그런 주장하시는 분들의 결론을 들어보면 어차피 세금 투입을 해야된다면 조금이라도 일찍 시도하는 게 부담이 적다고 알고 있습니다. 연금액 감액도 고려되어야겠지만 그것만으로 해결하기엔 현실적 어려움이 있으니 개인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감액과 신구연금 분리 동시 적용 정도가 적절하다고 봅니다.
Pelicans
25/05/21 16:48
수정 아이콘
풍력 발전을 친중이랑 엮는건 좀 신박한 논리긴 했어요 크크크
신성로마제국
25/05/21 17:46
수정 아이콘
열성 지지자들이 좋아해주니깐요.
빼사스
25/05/21 16:52
수정 아이콘
전 사실 국민연금이 낸 돈이 많긴 하지만 덜 받는 쪽으로 해도 크게 불만 없습니다. 괜히 자꾸 되도 않는 더 받는 쪽을 챙기려다가 그냥 망하는 것보다야 나은 거니까요. 민주당도 이런 의견들이 상당수라는 것도 좀 이해했으면 싶습니다. 어차피 직장인들은 회사가 절반 내주기 때문에 덜 받아도 손해는 아니라고 봅니다, 받기만 한다면.
포도씨
25/05/21 20:07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 다 돌려주고 각자도생하는게 나은것 같은데 안하겠죠. 아이가 셋인데 자꾸 미안한 생각이 듭니다. 기후변화는 어쩔 수 없더라도 자식들에게 짐이 되고싶지 않은 마음은 누구나 비슷할텐데 말이지요.
닉언급금지
25/05/21 20:51
수정 아이콘
늘 그렇지만 포장은 그럴 듯 한 데
까보면 썩은 개대가리....
누군가입니다
25/05/21 22:02
수정 아이콘
연금문제가 분리로도 해결되리라고 생각 안합니다만
에너지 이야기도 나왔으니깐 하는 소린데 미래 환경을 위해서 친환경에너지 써야한다는 인간들이 태어나지 않은 세대도 제물 삼는 연금개혁안 보고도 입닫는거보면 결국 종교문제라고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798 [불판]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초청 2차 토론회 (2) [381] Pelicans12840 25/05/23 12840
6797 [불판]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초청 2차 토론회 [379] Pelicans20219 25/05/23 20219
6794 [일반] 오늘 발표한 이준석 개헌안 생각 [240] 다크서클팬더11201 25/05/23 11201
6793 [일반] 민주주의의 관용과 상대주의 [21] 남편2906 25/05/23 2906
6792 [일반] 지귀연 "후배들 밥 사주고 주점 들러 찍은 사진... 술은 안 마셔" [86] a-ha7936 25/05/23 7936
6791 [일반] [한국갤럽]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0%, 유보 8% [58] 철판닭갈비5386 25/05/23 5386
6790 [일반] 여론조사로 가늠해볼 수 있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효과 [87] 전기쥐4441 25/05/23 4441
6789 [일반] 김문수 지지자들 앞에서 이재명 지지선언을 한 손학규(?) [27] SaiNT5275 25/05/22 5275
6787 [일반] 정치 브로커 명태균과 어제(21일) 통화한 이준석 [135] Rio11422 25/05/22 11422
6786 [일반] [속보] 이준석 “단일화 없다... 끝까지 내 이름으로 승리할 것” [55] 사이프리드6451 25/05/22 6451
6782 [일반] 이번 대선 이재명 득표율 예상해봅니다. [44] 홍철4307 25/05/22 4307
6781 [일반] 이준석 "국회 해산권 긍정적으로 생각" [252] 전기쥐12930 25/05/22 12930
6780 [일반] 보수유권자로서 이재명 후보에게 바라는 거 딱 하나. [79] 국힙원탑뉴진스4182 25/05/22 4182
6779 [일반] [NBS] 이재명 46%, 김문수 32%, 이준석 10% [90] 철판닭갈비6136 25/05/22 6136
6778 [일반] 이재명 주춤, 김문수/이준석 상승세. [18] 아서스3518 25/05/22 3518
6777 [일반] 이재명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얻은 득표율 이상을 얻을수 있을까요? [96] 김은동3347 25/05/22 3347
6776 [일반] 이준석측 "친윤, 당권 준다며 단일화 제안" [106] 철판닭갈비6544 25/05/22 6544
6775 [일반] 현재 국민의힘 분위기 [74] a-ha9163 25/05/21 9163
6774 [일반] 유권자보고 수준 이하라는 선대위원장 [99] 체크카드8546 25/05/21 8546
6773 [일반] 호텔경제학은 달라졌으나, 언론은 달라지지 않았다 [125] meson5069 25/05/21 5069
6772 [일반] 이준석 후보"대구에서 최저임금을 안주는 건 특별히 업주의 도덕적 잘못이 아니다" [233] 크레토스10780 25/05/21 10780
6771 [일반] 호텔경제학은 8년 동안 무엇이 달라졌는가? [138] 하나5517 25/05/21 5517
6770 [일반] 이준석 후보의 국민연금 공약과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판에 관하여 [13] 한강두강세강2434 25/05/21 24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