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7/11/30 18:55:16
Name 은하관제
File #1 GCWC_2017.jpg (611.7 KB), Download : 7
File #2 Group_Stage_Day4.png (705.3 KB), Download : 0
Subject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4일차 (수정됨)




<<장소>>
중국 베이징 워터큐브

<<중계진>>
1일차 : 신정민 캐스터, 이대형(홍코노) 해설
2일차 : 신정민 캐스터, 진경환(하이드) 해설
3일차 : 김정민 캐스터, 이대형(홍코노) 해설
4일차 : 김정민 캐스터, 진경환(하이드) 해설

<<금일 일정>>
1경기 : SPT vs BTG
2경기 : KSV Black vs CE
3경기 : Fnatic vs Roll20 eSports
4경기 : Ballistix vs Team Dignitas

<<대회 Rule>>
그룹 스테이지 : 8팀 풀리그 (BO2)
플레이오프 : 8팀 더블 엘리미네이션 (BO5)

<<중계주소>>
* 중국 생방송 보기 :
http://gold.blizzard.cn/minisite/2017gcwc
* 영어 생방송 보기 :
https://www.twitch.tv/gcwc
* 한국어 생방송 보기 :
https://www.twitch.tv/blizzheroeskr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18:5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2017 GCWC 4일차 불판으로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지난 일정과 마찬가지로 4경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한국팀 경기는 2경기와 4경기네요.
은하관제
17/11/30 19:08
수정 아이콘
3일까지 진행된 현재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Pt5] KSV Black, Ballistix (2승 1무)
2위) [Pt4] Roll20 eSports (2승 1패)
3위) [Pt3] Fantic, Team Dignitas, (1승 1무 1패) CE (3무)
4위) [Pt1] SPT (1무 2패)
5위) [Pt0] BTG (3패)
은하관제
17/11/30 19:08
수정 아이콘
1경기는 현재 성적이 가장 좋지 않은 두팀간의 대결입니다. 여기서 지게 되는 팀은 확실하게 패자조를 굳히는 셈이겠죠. 1세트는 파멸의 탑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19:11
수정 아이콘
참고로 금일 시공에 29.2 대격변급 패치가 진행되었죠. 비록 대회는 아니지만 앞으로의 히오스 메타가 어떻게 변할지 궁금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19:14
수정 아이콘
1경기 1세트 : 파멸의 탑
밴 : (ETC - 태사다르) - (티리엘 - 아바투르)
BTG : 데하카 - 그레이메인 - 루시우 - 스투코프 - 아눕아락
SPT : 레가르 - 아서스 - 정크랫 - 카라짐 - 발라
은하관제
17/11/30 19:19
수정 아이콘
첫 제단이 뜬 상황에서 봇에서 대결. 아눕아락이 결국 사망했네요. 뒤이어 루시우까지. SPT가 기세가 좋습니다. 그메까지 잡히면서 격차가 꽤 커지는데요.
은하관제
17/11/30 19:22
수정 아이콘
이거 아눕이 잘 못버티는데요. 또 다시 2데스가 나오면서 격차가 좀 더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19:24
수정 아이콘
1레벨차가 나는 상황. 12대 11레벨이 되가는 와중에 핵 체력은 36-19로 꽤 차이가 납니다.
은하관제
17/11/30 19:25
수정 아이콘
BTG 순간 집중이 좋았네요. 순식간에 발라를 녹여버리고 뒤이어 아서스까지 잡아버립니다.
은하관제
17/11/30 19:30
수정 아이콘
그래도 레벨이 여전히 앞서고 있는 것은 SPT입니다. 일단 16대 15상황이 되니 SPT의 폭격수를 노려보려던 BTG가 퇴각을 하네요. 제단 3개가 뜹니다.
은하관제
17/11/30 19:31
수정 아이콘
일단 BTG가 특성을 맞추고, 봇에서 한타를 벌이는 양팀입니다. 하지만 BTG가 체력을 버티지 못하네요. 아눕아락과 데하카가 죽고 맙니다.
은하관제
17/11/30 19:32
수정 아이콘
루시우와 스투코프조차도 터지면서 결국 32대0. 화끈하게 SPT가 승리를 거둡니다.
은하관제
17/11/30 19:35
수정 아이콘
BTG는 오늘도 승리를 거두지 못한다면 최약체팀으로 자리잡을 수 밖에 없겠네요.
은하관제
17/11/30 19:36
수정 아이콘
2세트 맵은 하늘 사원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19:37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 덕인지 몰라도 겐지 밴이 다시 스멀스멀 올라오는거 같기도 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19:43
수정 아이콘
1경기 2세트 : 하늘 사원
밴 : (겐지 - ETC) - (트레이서 - 소냐)
SPT : 태사다르 - 카라짐 - 아서스 - 발라 - 일리단
BTG : 그레이메인 - 레가르 - 레오릭 - 아바투르 - 무라딘
은하관제
17/11/30 19:48
수정 아이콘
레오릭이 울버린...이 아니라 카라짐한테 뜯겨버리네요 크크...
은하관제
17/11/30 19:49
수정 아이콘
BTG는 또 다시 초반부터 경험치를 밀리고 시작하네요. 아바투르가 있지만 우위를 확 가져오지는 못하는거 같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0
수정 아이콘
레오릭이 또 다시 탑에서 물렸네요. 확실히 무는게 좋은 일리단과 카라짐입니다. 이제 봇에서 신단이 뜨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1
수정 아이콘
일단 BTG가 신단을 먹고 있습니다. 9대 8랩 상황에서 SPT의 선택은 신단보다 탑을 압박해 줍니다. 탑에서 손해를 계속보는 BTG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19:51
수정 아이콘
결국 탑 상황도 신단 상황도 같이 밀리는 BTG입니다. BTG는 너무나도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2
수정 아이콘
우두 트라이를 하는 BTG. 비록 레오릭이 죽긴 했지만 꾸역꾸역 우두를 차지하는데 성공합니다. 반격의 기회로 마련할 수 있을까요.
뮤토피아
17/11/30 19:52
수정 아이콘
그나마 우두는 먹었네요. 이것마저 뺐겼다면 미래가 아예 없을 뻔 했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6
수정 아이콘
일단 특성은 같은 상황에서 한타가 벌어지네요. BTG 한타를 이번에는 잘 하는거 같네요. 레오릭 궁으로 인헤 아서스가 미처 빼지 못하고 사망.
뮤토피아
17/11/30 19:56
수정 아이콘
반격이 이루어질까 싶었는데 빼는 타이밍을 미처 잘 잡지 못해서 도리어 더 큰 화를 불렀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7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 이후 싸움에서 포커싱이 갈려버리면서 오히려 교환에서 불리한 상황이 나와버립니다. 킬 수에서 이득을 본 것은 SPT. 결국 랩 차이는 조금 더.
은하관제
17/11/30 19:57
수정 아이콘
특성 차이 덕에 편하게 우두를 사냥하고 성공하는 SPT. 뒤이어 BTG가 퇴각을 빨리 하지 못해서 레오릭 사망. 그리고 무라딘까지 기어이 물어죽입니다.
뮤토피아
17/11/30 19:58
수정 아이콘
기껏 소환한 지게로봇이 애처로이 터져 나가는 모습입니다..
뮤토피아
17/11/30 19:58
수정 아이콘
끝난 것 같군요. 2대 0이 되네요.
은하관제
17/11/30 19:58
수정 아이콘
우두와 함께 핵각을 보려고 하는 SPT입니다. 과연 핵각이 나올지. 일단 밑에서 무라딘과 레오릭이 최대한 견제는 해보지만 레오릭이 또 죽고. 핵이 터집니다.
은하관제
17/11/30 19:59
수정 아이콘
이번 GCWC의 최약체는 결국 BTG가되는 거 같네요. 아쉬운 모습입니다. SPT는 처음으로 2대0 승리를 거두네요.
은하관제
17/11/30 20:01
수정 아이콘
이어서 2경기는 한국팀 KSV대 중국팀 CE의 대결이 진행됩니다. 과연 오늘 CE는 또 다시 무승부를 만들 수 있을지...?
17/11/30 20:13
수정 아이콘
이 버젼은 오늘 패치된 지원가 너프버젼 아니겠죠?
은하관제
17/11/30 20:15
수정 아이콘
네 알렉스트라자 나온 직후 버전 패치로 알고 있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0:13
수정 아이콘
2경기 1세트 맵은 파멸의 탑입니다.
뮤토피아
17/11/30 20:13
수정 아이콘
CE는 면면들이 익숙치 않은데 국제 단위의 무대는 이번이 첫 출전인지 궁금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20:16
수정 아이콘
일부 멤버 변경은 있었지만, 두번째 이스턴 클래시때 출전한 적이 있고, 그 이후 블리즈컨과 이번 GCWC가 될껍니다.
뮤토피아
17/11/30 20:18
수정 아이콘
아 생각보다 많이 나왔군요. 별로 임팩트가 없었기에 기억을 못하고 있었나 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뮤토피아
17/11/30 20:15
수정 아이콘
KSV는 그레이메인은 거의 대부분 고정픽이군요.
은하관제
17/11/30 20:18
수정 아이콘
2경기 1세트 : 파멸의 탑
밴 : (아바투르 - 태사다르) - (스투코프 - 루시우)
KSV : 그레이메인 - 레가르 - 아서스 - 크로미 - 빛나래
CE : 데하카 - 카라짐 - 누더기 - 메디브 - 나지보
은하관제
17/11/30 20:19
수정 아이콘
누더기와 메디브도 그렇고, 나지보라. CE가 나름 칼을 간 걸까 싶네요. 되게 오랜만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0:21
수정 아이콘
레가르가 초반에 물리면서 시작하네요. CE 확실히 중국팀중에선 돋보이긴 합니다.
뮤토피아
17/11/30 20:23
수정 아이콘
크로미와 나지보가 교환되네요.
은하관제
17/11/30 20:23
수정 아이콘
상황을 잠시 잘못 봤네요. 일단 레벨을 조금 앞서고 있는것은 KSV. 그래도 CE도 그닥 차이가 안나네요.
은하관제
17/11/30 20:25
수정 아이콘
그래도 KSV 경험치 우위를 위해서 강력하게 탑 푸쉬를 해주고 탑 성채를 깹니다. 만일 KSV가 제단을 먹으면 5발을 발사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20:26
수정 아이콘
빛나래가 조금 무리하긴 했지만, 제단에서 다섯발을 발사하면서 핵 체력에서 앞서는 KSV입니다.
뮤토피아
17/11/30 20:26
수정 아이콘
일단 메디브의 활약이 눈에 띕니다. 그리고 빛나래가 사망하지만 그 사이에 포를 쏴서 KSV 다시 한 번 이득을 취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20:27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누더기가 나와서 그런가, 누더기의 갈고리가 적중률이 높은 편인거 같네요. 10레벨이 될때부터가 확실히 문제가 되겠죠.
은하관제
17/11/30 20:28
수정 아이콘
데하카가 일단 잠복을 통해서 압박에서 살아납니다. 그리고 양팀 다 10레벨이 되고 누더기는 당연하다시피 먹기. 그리고 칠면을 선택한 카라짐.
은하관제
17/11/30 20:29
수정 아이콘
누더기가 먹기를 시전했는데 오히려 위로 시전한 바람이 좀 모양새가 이상해졌습니다. 물리는 상황에서 끈덕지게 버텨보지만 제단 발동을 못막은 CE
뮤토피아
17/11/30 20:30
수정 아이콘
메디브의 활약이 정말 눈부십니다.
은하관제
17/11/30 20:31
수정 아이콘
그메를 먹은 누더기. 그래도 그메 움직임이 좋은 덕에 칠면을 안맞고 살아갑니다. 일단 자리 자체는 KSV가 좀 더 좋아보이는 듯. 결국 누더기 잡히고 마네요.
은하관제
17/11/30 20:32
수정 아이콘
누더기가 죽자 꽤나 힘이 빠져버린 CE. 결국 제단 추가 발동이 되면서 핵 체력은 36대 9가 됩니다.
뮤토피아
17/11/30 20:32
수정 아이콘
얼핏 보면 정말 팽팽한 것처럼 보이지만 핵체력은 너무나도 차이나는 상황. KSV의 운영이 돋보이네요.
뮤토피아
17/11/30 20:32
수정 아이콘
이걸 사네요. 리치 선수. 선치도 제대로 들어갑니다.
은하관제
17/11/30 20:32
수정 아이콘
그메를 먹고. 차원문을 타고. 그메가 살고. 이거 참 누더기가 힘이 빠지는 상황이 계속 나오네요.
은하관제
17/11/30 20:34
수정 아이콘
제단이 3개가 뜹니다. 이거 경험치만 동등할 뿐이지 핵 체력이 너무 차이나는 양팀입니다. 하필 3개기 때문에 더 고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성은 우위인 CE
은하관제
17/11/30 20:34
수정 아이콘
특성이 밀리는데도 공격을 하는 KSV. 진짜 KSV 그걸 또 제대로 이깁니다. 메디브부터 터지면서 결국 전원 전멸한 CE. 클라스 차이를 보여줍니다.
뮤토피아
17/11/30 20:35
수정 아이콘
잘 버텼는데 결국 순식간에 다 터지네요.
은하관제
17/11/30 20:35
수정 아이콘
15레벨대 16레벨이였는데도 들어와서 전원을 전멸시킨 모습은 정말 공포스러울 정도네요.
은하관제
17/11/30 20:39
수정 아이콘
2세트 맵은 영원의 전쟁터입니다. 과연 CE는 각성을 하고 4무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은하관제
17/11/30 20:45
수정 아이콘
2경기 2세트 : 영원의 전쟁터
밴 : (그레이메인 - 가로쉬) - (루시우 - 아바투르)
CE : 카라짐 - 티리엘 - 아눕아락 - 태사다르 - 트레이서
KSV : 겐지 - 레가르 - 아서스 - 리밍 - 우서
은하관제
17/11/30 20:46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아눕아락 상대로 리밍이 나온거 같네요. 이러면 고치는 확실하게 잘 풀어지겠죠.
은하관제
17/11/30 20:49
수정 아이콘
일단 집에 한번씩 갔다오는 KSV입니다. 우서도 아서스도 마나 상황이 좀 안좋긴 했네요.
은하관제
17/11/30 20:50
수정 아이콘
트레가 조금 위험햇지만 살아갑니다. 그리고 겐지도 조금 위험할뻔. 어쨋든 잘 살아가는 양 딜러들. 태사를 물다 빠지고, 그러다 아눕을 캐치해서 잡는 KSV
은하관제
17/11/30 20:51
수정 아이콘
CE 역전을 해보나요? 아서스를 물어뜯어죽이는 CE입니다. 하지만 그 다음이 아쉬웠네요. 태사다르와 티리엘이 죽고 마는 CE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0:52
수정 아이콘
아까 1대2 교환에 이어 조금 뒤 다시 1대2 교환이 나왔네요. KSV 이득을 계속계속 보고 있습니다. 응징자와 함께 탑으로 간 KSV가 압박을 줍니다.
은하관제
17/11/30 20:5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아서스에게 세명이 들러붙으면서 결국 아서스를 잡아내는데 성공한 CE입니다. 싸움광들이긴 하네요 CE. 2세트 전투력은 정말 좋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0:53
수정 아이콘
태사다르, 트레이서, 카라짐이 빈사상태가 되지만 그래도 어쨌든 안물리고 안죽고 살아나네요.
뮤토피아
17/11/30 20:53
수정 아이콘
확실히 CE팀의 한타 집중력은 좋은 것 같네요. 운영만 좀 더 갖춰지면 경계 대상 1호 팀인 듯 싶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0:55
수정 아이콘
아서스가 잘 비벼주면서 사네요. 아서스 정말 끈덕지게 버티는게 대단한거 같습니다. 하지만 CE도 수비를 잘 해주고 있으면서 경험치를 나름 유지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20:55
수정 아이콘
리셋과 리치의 리밍과 겐지. 킬각 물어주는게 정말 매섭네요. 트레이서도 죽을뻔하고, 티리엘은 기어이 죽이고 마네요.
은하관제
17/11/30 20:56
수정 아이콘
결국 10레벨을 먼저 찍으면서 불멸자를 차지하는데 성공합니다. CE가 레벨만큼은 그래도 기가막히게 챙겨주긴 하네요.
뮤토피아
17/11/30 20:57
수정 아이콘
티리엘 고통받는군요.
은하관제
17/11/30 20:57
수정 아이콘
아서스에게 궁 2개를 쓰면서 살린 후 벌어진 한타. 리밍이 죽을뻔 했지만 꾸역꾸역 살아갑니다. 그 덕에 티리엘이 닭쫓던 개가 돼버렸네요; 결국 사망.
은하관제
17/11/30 20:58
수정 아이콘
뒤이어 트레이서도 죽어버리면서 그동안 유지했던 경험치의 균형이 기울어지기 시작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21:00
수정 아이콘
일단 불멸자가 뜬 상황에서 서로 궁을 많이 뺐고 사상자는 없었네요. CE도 나름 날카로운 움직이였습니다. 그러나 아눕이 물리면서 장법이 빠지고 마네요.
은하관제
17/11/30 21:01
수정 아이콘
13이 되기 전 후반전 불멸자가 나오는데 CE에게 그닥 좋은 위치가 아닙니다. 일단 불멸자 체력을 계속 깎아주는 상황. 겐지는 진짜 상대방을 거슬리게 해줍니다.
은하관제
17/11/30 21:01
수정 아이콘
양팀 체력관리도 그렇고 한타력이 만만치 않네요. 하지만 리밍과 겐지의 추격이 훨씬 더 좋았죠. 결국 확실하게 전원 전멸시키는 KSV. 정말 강력합니다.
뮤토피아
17/11/30 21:02
수정 아이콘
CE팀도 서서히 힘이 빠지네요.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지는 모습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1:03
수정 아이콘
CE가 진짜 못하는게 분명 아닌데, KSV가 그보다 더 위의 실력에 있다보니 버겁네요. 리밍이 또 다시 살고, 역으로 거의 다 터진 CE입니다.
뮤토피아
17/11/30 21:03
수정 아이콘
결국 2대 0으로 경기가 종료되네요.
은하관제
17/11/30 21:03
수정 아이콘
겐지가 16분에 7만5천딜. 어마어마합니다. KSV 처음으로 CE한테서 2pt를 얻어내는 팀이 됐네요.
은하관제
17/11/30 21:07
수정 아이콘
3경기는 유럽 프나틱 대 북미 롤20입니다. 어제 유럽팀들이 한국팀에게 단 1pt도 못얻었기 때문에 오늘은 벼르고 있을껍니다.
뮤토피아
17/11/30 21:21
수정 아이콘
아 한국 방송 너무 끊기고 리방도 많고 고통스럽네요..ㅠㅠ
은하관제
17/11/30 21:24
수정 아이콘
3경기 1세트 맵은 저주받은 골짜기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1:27
수정 아이콘
3경기 1세트 : 저주받은 골짜기
밴 : (겐지 - 태사다르) - (발라 - 폴스타트)
롤20 : 레가르 - 데하카 - ETC - 카라짐 - 정크랫
프나틱 : 아눕아락 - 그레이메인 - 리밍 - 루시우 - 아서스
은하관제
17/11/30 21:27
수정 아이콘
오늘 트위치 방송상태가 정말 많이 안좋네요. 버퍼도 심하고 힘든거 같습니다. ㅠㅠ 어제는 중국 클린피드가 속썩이더니 오늘은 트위치가..
은하관제
17/11/30 21:30
수정 아이콘
정크랫의 폭탄으로 아눕아락이 안쪽으로 들어갔네요. 정크랫의 좋은 센스. 그리고 아눕아락은 상대적으로 좀 아쉽네요.
은하관제
17/11/30 21:31
수정 아이콘
포탑압박을 해주는 프나틱. 어쨌든 경험치를 맞춰보려고 합니다. 일단 롤20이 용병을 먹고 뒤이어 프나틱도 먹겠네요.
은하관제
17/11/30 21:32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레벨이 밀리는 덕에 롤20은 첫 공물을 상대적으로 편하게 먹습니다.
뮤토피아
17/11/30 21:33
수정 아이콘
프나틱 이번 롤20팀과의 대결에서도 밀리게 되면 정말 리빌딩의 의미를 찾기가 더욱 힘들어질 것 같은데요.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21:36
수정 아이콘
아 이거 경기를 보는게 힘들 정도로 트위치 상태가 ㅠㅠ
은하관제
17/11/30 21:37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생각보다 무력한게 아쉽긴 합니다. 첫날 KSV한테 1:1을 기록하면서 많은 기대를 했는데, 그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조금 아쉬운 느낌. 그래도 잘하겠죠.
은하관제
17/11/30 21:37
수정 아이콘
일단 아쉬운대로 화질을 낮춰서 방송 보고 있습니다. 현재 레벨이 동등한 상태에서 공물 스택은 서로 0대0. 13대 13인 상황. 사실상 평행선이죠.
은하관제
17/11/30 21:38
수정 아이콘
그 운영을 정말 좋아하는 프나틱이 운영카드를 하나도 안챙겨서 더 레벨 우위를 못차지하는거 같긴 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21:39
수정 아이콘
프나틱은 공물을 아직까지 하나도 챙기지 못하고 있네요. 중간에 카라짐을 잡을뻔 했지만 정화 덕에 카라짐은 잘 살아납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0
수정 아이콘
롤20은 프나틱을 우두쪽으로 부르네요. 공물을 일단 하나 챙기고 다시 올라가는 프나틱. 그런데 궁상황은 프나틱보다 롤20이 더 좋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2
수정 아이콘
프나틱은 공물을 주는 선택을 하고, 대신에 16레벨 타이밍이라서 우두를 치는 선택을 하네요. 그러자 롤20도 우두를 사냥합니다. 서로 상대편 우두를 치네요
은하관제
17/11/30 21:42
수정 아이콘
서로 우두를 챙긴 상황에서 프나틱이 조금 더 기세상에서는 차이가 있네요. 적 투사까지 챙기는데 성공한 롤20은 미드 압박을 해줍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4
수정 아이콘
정크랫 덫 위치가 참 좋네요. 상당히 거슬리는 위치에 있네요. 데하카 Q에 아눕아락이 물리고 잠복이 빠지네요. 대치상황이 되는 와중에 그메가 끌립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4
수정 아이콘
그메가 소리방벽을 통해 살고, 소 궁을 끊어주고 했지만 결국 프나틱은 버티지 못합니다. 버티지 못하고 저주를 당합니다. 롤20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은하관제
17/11/30 21:46
수정 아이콘
프나틱의 성채는 3개 다 빈사상태가 됐네요. 경험치를 아직은 비등비등하지만 이 균형이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일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8
수정 아이콘
프나틱 결국 답답한 와중에 결국 우두 사냥으로 싸움을 시도. 한타 정말 치열한 궁 싸움에서 10개가 다 빠진 후 결국 레가르가 잡힙니다. 데하카도 사망.
은하관제
17/11/30 21:48
수정 아이콘
ETC한테 4인궁이 걸리는 거였는데 그게 끊어진게 이번 한타에서 대승을 만들어낸거 같습니다. 근데 이렇게 잡고도 경험치는 묘하게 같네요.
은하관제
17/11/30 21:49
수정 아이콘
3명이 남은 와중에 ETC가 탑 성채에서 좀 무리한 포지션을 잡아서 죽고 마네요. 결국 핵각이 완성대면서 프나틱이 1대0으로 앞섭니다.
은하관제
17/11/30 21:49
수정 아이콘
롤20은 정말 잘했는데 그 우두상황에서 결국 말려서 역전당한게 됐네요. 이번 경기는 정말 아쉽겠습니다 롤20.
뮤토피아
17/11/30 21:49
수정 아이콘
근데 결국 이걸 일단은 프나틱이 한타를 이기면서 조금 앞서가네요. 근데 여기서 곧바로 순식간에 다 짤리면서 핵각이 나오는군요.
뮤토피아
17/11/30 21:50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이기긴 했지만 표정들이 밝지 못하다는 부분이 이 게임의 과정을 잘 드러내 주는 것 같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1:54
수정 아이콘
3경기 2세트 맵은 용의 둥지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2:00
수정 아이콘
3경기 2세트 : 용의 둥지
밴 : (태사다르 - 겐지) - (리밍 - 가로쉬)
프나틱 : 레가르 - 폴스타트 - 아눕아락 - 크로미 - 아서스
롤20 : 카라짐 - 그레이메인 - ETC - 데하카 - 정크랫
은하관제
17/11/30 22:03
수정 아이콘
9초? 10초? 데하카와 폴스타트가 시작하자마자 만나고 폴스타트가 말리면서 그대로 사망하네요. 거의 기록급인데요 ;;
뮤토피아
17/11/30 22:04
수정 아이콘
이번에도 일단 시작은 롤20이 좋네요.
은하관제
17/11/30 22:05
수정 아이콘
폴스타트가 미드에서 또 다시? 2데스째를 기록합니다. 프나틱의 폴스타트답지 않은 좀 난감한 플레이인데요. 첫 킬 당한게 생각보다 컸나 봅니다.
뮤토피아
17/11/30 22:05
수정 아이콘
트위치 렉이 너무 심하군요..ㅠㅠ
은하관제
17/11/30 22:07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2데스를 기록한것 덕에 경험치 차이가 계속적으로 생기네요. 그래도 폴스타트가 봇으로 날아오면서 정크랫을 잡으면서 만회했네요.
은하관제
17/11/30 22:09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상당히 궁을 많이 투자하면서까지 미드 수비를 하고, 어떻게든 프나틱이 상대를 물어뜯기 시작하면서 결국 데하카가 죽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2:10
수정 아이콘
크로미 궁 덕에 그메가 꼼짝없이 당하면서 결국 그메가 죽고 맙니다. 롤20이 기세를 확실히 넘겨주는데요 이거.
은하관제
17/11/30 22:12
수정 아이콘
이걸 또 폴스가? 3번째 죽고 마는 폴스타트. 이번 판 한정으로 폴스타트 컨디션은 영 별로인거 같네요.
뮤토피아
17/11/30 22:12
수정 아이콘
근데 폴스타트가 너무 자주 끊기네요.
은하관제
17/11/30 22:14
수정 아이콘
또 다시 폴스타트가... 4번 끊기네요 크흐 ㅠㅠ 프나틱 입장에서 폴스타트는 진짜 욕먹을꺼 같은데요 이거 크크크
은하관제
17/11/30 22:14
수정 아이콘
결국 4연치킨 덕에 용기사를 선물(?)받은 롤20입니다. 진짜 너무 갑갑한 프나틱이네요.
은하관제
17/11/30 22:20
수정 아이콘
일단 좀 괜찮을까 싶어 영문 방송으로 옮겨봤습니다. 봇 성채를 깨부순 롤20이 봇으로 전진을 하네요. 투사와 용병을 이끌고 말이죠.
은하관제
17/11/30 22:20
수정 아이콘
어쨌든 롤20은 신단이 뜨자 탑봇을 빠르게 열고 용기사를 먹을 준비를 해보려 합니다. 프나틱 견제가 될까요. 결국 견제 실패하고 용기사를 롤20 차지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22:22
수정 아이콘
용과 함께 들어갔던 롤20. 이거 그런데 ETC가 끊겨버리면서 용기사도 결국 퇴각을 합니다. 그리고 오히려 봇 압박을 시까지 합니다. 최소한 봇 앞라인은 열기 직전.
은하관제
17/11/30 22:22
수정 아이콘
포탑을 빈사상태로 만들어놓고 용병을 차지한 프나틱입니다. 후반이 되면 힘을 내서 강해지는 걸까요 프나틱.
은하관제
17/11/30 22:24
수정 아이콘
건물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은 프나틱입니다. 그렇다보니 적극적으로 라인관리가 안되고 있긴 하네요.
은하관제
17/11/30 22:25
수정 아이콘
탑과 봇을 차지한 롤20이 또 다시 용기사를 먹을 준비를 합니다. 그래도 이번에는 프나틱 수비를 하려고 하겠죠. 일단 5명이 다 온 롤20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2:26
수정 아이콘
폴스타트가 일단 봇 신단을 차지했네요. 그래도 폴스타트 이번에는 상대 갱깅을 잘 피해줍니다. 그리고 역으로 2명을 잡아내기까지!
은하관제
17/11/30 22:26
수정 아이콘
프나틱도 참 저력이 대단하네요. 결국 용기사도 차지하면서 봇 압박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탑에도 투사가 라인을 푸쉬해주고 있네요.
은하관제
17/11/30 22:27
수정 아이콘
그 와중에 그메가 죽은 상황. 결국 프나틱이 초반의 불리함을 또 다시 이겨내고 2대0승리를 거둡니다. 롤20은 너무나 안타까운 상황이 또 나왔네요.
뮤토피아
17/11/30 22:28
수정 아이콘
결국 다시 한 번 승리는 프나틱이 가져가는군요. 롤20은 정말 후반부 집중력이 너무나도 아쉽겠네요.
뮤토피아
17/11/30 22:30
수정 아이콘
광고할 때는 기가 막히게도 버퍼가 없군요. 놀라워라..
은하관제
17/11/30 22:32
수정 아이콘
오늘의 4경기는 발리스틱스 대 디그니타스입니다. 이 경기를 볼때는 버퍼링이 별로 없었으면 좋겠네요 ㅜ
은하관제
17/11/30 22:42
수정 아이콘
1세트 맵은 용의 둥지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2:48
수정 아이콘
4경기 1세트 : 용의 둥지
밴 : (태사다르 - ETC) - (아서스 - 아바투르)
디그 : 데하카 - 카라짐 - 겐지 - 무라딘 - 리밍
발리 : 그레이메인 - 레가르 - 아눕아락 - 루시우 - 정크랫
은하관제
17/11/30 22:51
수정 아이콘
정크랫을 물어주면서 일단 기세를 올려보는 디그니타스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2:52
수정 아이콘
아 미드에서 디그니타스 겐지 실수가 있었네요. 발리스틱스 3명이 겐지를 잘 때려서 킬을 올립니다.
은하관제
17/11/30 22:53
수정 아이콘
정크랫 센스! 데하카를 밀려나게 하면서 잡아주는 센스 좋았어요.
은하관제
17/11/30 22:54
수정 아이콘
레가르가 탑 투사를 잡고 우물을 먹고 전장에 오네요. 데하카 정말 좋은 움직임. 정크랫도 루시우도 제대로 먹히네요.
은하관제
17/11/30 22:55
수정 아이콘
아눕아락도 제대로 두들겨맞으면서, 돌진으로 피해봤지만 겐지의 사정범위 안이여서 결국 잡힙니다. 이거 발리스틱스 좀 밀리는데요.
뮤토피아
17/11/30 22:56
수정 아이콘
초반이긴 하지만 발리스틱스가 많이 힘들어 보이네요.
은하관제
17/11/30 22:56
수정 아이콘
무라딘을 먼저 잡았던 발리스틱스. 하지만 그메와 루시우를 겐지의 힘으로 끊어주면서 디그니타스 좋은 모습. 용기사까지 탑승하면서 좋네요 디그니타스.
뮤토피아
17/11/30 22:56
수정 아이콘
겐지가 활약을 많이 하는군요.
은하관제
17/11/30 22:57
수정 아이콘
레벨 차이가 2 가까이 나는 상황인지라 발리스틱스 힘겹네요. 겨우 10레벨을 만든 발리스틱스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2:58
수정 아이콘
아눕아락이 피가 상당히 많이 빠졌네요. 먼저 이니시를 걸었음에도 디그니타스의 반격이 매섭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00
수정 아이콘
특성이 밀리는 발리스틱스. 미드 용기사를 디그니타스가 탈수 있는 상황이라서 꽤나 힘드네요. 그 와중에 발리스틱스 견제가 제대로 안됐는데요. 용기사 탄 디그니.
은하관제
17/11/30 23:00
수정 아이콘
프나틱을 어제 그렇게 잘 두들겨팼던 발리스틱스가 디그니타스에게는 휘둘리고 있다니 이거 참 팀간 상성은 알다가도 모를일이긴 합니다.
은하관제
17/11/30 23:02
수정 아이콘
14대 16레벨 차이. 2레벨까지 차이나는 상황이다보니 발리스틱스 답답함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04
수정 아이콘
16을 어떻게든 맞춘 발리스틱스. 이 이후에 어떤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은하관제
17/11/30 23:05
수정 아이콘
일단 정크랫이 탑 신단을 밟으면서 한박자 끊어는 줍니다. 그래도 힘든건 여전하죠.
은하관제
17/11/30 23:05
수정 아이콘
정크랫이 공중에서 산화하해버리네요. 정크랫의 픽이 발리스틱스에게는 딱히 도움이 되지 못한거 같습니다. 용기사 탑승을 할꺼 같은 디그니타스.
은하관제
17/11/30 23:06
수정 아이콘
17대 19레벨에서 용기사를 탄 디그니타스. 디그니타스는 할 게 많지만 발리스틱스는 너무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07
수정 아이콘
결국 20레벨을 만든 디그니타스. 봇 성채를 터트려주면서 조금씩 조금씩 발리스틱스를 더 말려주고 있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09
수정 아이콘
결국 아눕아락이 산화. 데하카 광역궁으로 루시우도 잡힙니다. 디그니타스는 유유히 용기사를 탈 수 있겠네요. 레벨 차이도 너무 큰 상황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10
수정 아이콘
1세트 디그니타스의 밴픽은 본인들이 잘하면서도 상대방에게 주면 강력할 수 있는 것을 챙긴 덕에 수월하게 이긴거 같네요. 결국 핵각이 나오네요.
뮤토피아
17/11/30 23:1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스무스하게 밀렸네요. 뭔가 픽부터 꼬인 듯한 느낌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16
수정 아이콘
2세트 맵은 거미 여왕의 무덤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22
수정 아이콘
4경기 2세트 : 거미 여왕의 무덤
밴 : (ETC - 태사다르) - (정크랫 - 누더기)
발리 : 그레이메인 - 레가르 - 아서스 - 카라짐 - 크로미
디그 : 우서 - 겐지 - 리밍 - 아눕아락 - 말퓨리온
은하관제
17/11/30 23:25
수정 아이콘
말퓨리온을 워비 선수가 가네요. 주로 브루저류 탱을 가던 선수인데 말이죠.
뮤토피아
17/11/30 23:25
수정 아이콘
경기 시작되니 귀신같이 버퍼가 생기는군요.
은하관제
17/11/30 23:26
수정 아이콘
아눕원탱인 상황에서 아눕아락을 물어잡아주며 시작하는 발리스틱스입니다. 지금 영상 간헐적으로 정지되는건 클린피드 문제인거 같네요.
뮤토피아
17/11/30 23:26
수정 아이콘
아서스가 끊겼네요.
은하관제
17/11/30 23:27
수정 아이콘
영상이 끊기는 와중에 아서스가 잡혔습니다. 그리고 조금 전 카라짐까지도 끊기네요. 이거 발리스틱스 또 밀리는거 같은데요.
은하관제
17/11/30 23:28
수정 아이콘
첫 거미시종 소환할 상황이 되는 디그니. 밑에서 그메도 빈사상태가 됐고, 전반적으로 디그니타스가 더 좋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29
수정 아이콘
첫 거미시종 소환에 성공하는 디그니타스. 발리스틱스는 이 위기를 잘 넘겨야겠죠. 일단 7레벨을 찍긴 찍었지만 경험치가 더 벌어지겠죠.
은하관제
17/11/30 23:30
수정 아이콘
8랩대 9랩 차이. 10전에 발리스틱스는 입금을 해야 할텐데 그 와중에 아서스가 잘리고 그메까지 죽었습니다.
뮤토피아
17/11/30 23:31
수정 아이콘
이건 좀 많이 차이나는데요?
은하관제
17/11/30 23:32
수정 아이콘
어제의 그 디그니타스와 오늘의 디그니타스는 다른 팀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확실히 폼이 올라온 모습인거 같네요. 거미를 또 소환하는 디그니타스.
은하관제
17/11/30 23:32
수정 아이콘
10레벨이 됐지만 역전각은 커녕 더 압박을 받는 발리스틱스. 이번판도 정말 어려워 보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33
수정 아이콘
보석 입금을 언제 할 수 있을까요 발리스틱스. 지금 상황으로는 너무 힘들어보입니다. 디그니타스 견제가 너무 하기 좋죠.
은하관제
17/11/30 23:34
수정 아이콘
크로미가 그대로 삭제됐네요. 디그니타스 정말 강력합니다.
뮤토피아
17/11/30 23:35
수정 아이콘
클린피드도 렉걸리고 트위치도 렉걸리고 발리스틱스가 게임은 져가고 있고... 여러 모로 보기가 괴롭군요.
은하관제
17/11/30 23:36
수정 아이콘
레벨차는 더더욱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화면은 계속 송출이 제대로 안되는 상황. 여러모로 답답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37
수정 아이콘
결국 영어 방송으로 다시 넘어왔습니다. 계속 보기 너무 힘드네요 ㅠ
은하관제
17/11/30 23:37
수정 아이콘
영어방송이 진행 상황이 훨씬 빠르네요. 디그니타스 발리스틱스를 압도적으로 누릅니다. 성채 2개도 터트리면서 3레벨 이상 차이를 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39
수정 아이콘
발리스틱스가 역전할 확률은 정말로 낮다고 봐야죠. 우두쪽 매복도 해봤지만 여의치 않습니다. 아서스는 또 다시 고립된거 같은데요. 일단 빠져나옵니다.
은하관제
17/11/30 23:40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차이. 디그니타스 대단합니다. 발리스틱스를 전원 전멸시키면서 디그니타스가 한국의 발리스틱스를 상대로 2대0 승리를 거둡니다.
뮤토피아
17/11/30 23:40
수정 아이콘
디그니타스는 이 폼을 유지만 한다면 확실히 리빌딩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은하관제
17/11/30 23:41
수정 아이콘
이로서 현재 GCWC에 진출한 한국팀과 유럽팀은 서로간에 기묘한 먹이사슬이 형성된거 같은 기분입니다.
은하관제
17/11/30 23:46
수정 아이콘
오늘 일정은 여기까지입니다. 오늘 경기결과가 반영된 현재 순위입니다. 여전히 한국과 유럽이 상위권이긴 합니다.

1위) [Pt7] KSV Black (3승 1무)
2위) [Pt5] Ballistix, Fnatic, Team Dignitas (2승 1무 1패)
3위) [Pt4] Roll20 eSports (2승 2패)
4위) [Pt3] SPT (1승 1무 2패), CE (3무 1패)
5위) [Pt0] BTG (4패)
은하관제
17/11/30 23:47
수정 아이콘
내일(12/1) 진행될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경기 : SPT vs Ballistix
2경기 : Team Dignitas vs Fnatic
3경기 : Roll20 eSports vs KSV Black
4경기 : CE vs BTG
은하관제
17/11/30 2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로서 오늘 불판을 마치겠습니다. 오늘 시청하기 어려우셨을 텐데 보신 분들, 중계하신 분들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내일 불판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27 제4회 LGT 스타크래프트1 빨무 팀플 [3] 하남매그리고아빠2367 17/12/02 2367
12026 [LOL] 2017 KeSPA컵 결승전 - kt ROLSTER Vs LONGZHU (3) [331] 반니스텔루이6307 17/12/02 6307
12025 [LOL] 2017 KeSPA컵 결승전 - kt ROLSTER Vs LONGZHU (2) [323] 반니스텔루이7485 17/12/02 7485
12024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6일차 [100] 은하관제2230 17/12/02 2230
12023 [LOL] 2017 KeSPA컵 결승전 - kt ROLSTER Vs LONGZHU [327] 반니스텔루이8653 17/12/02 8653
12022 [축구]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조추첨식 #2 [436] SKY929571 17/12/02 9571
12021 [축구]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조추첨식 [339] SKY927362 17/12/01 7362
12020 [LOL] 2017 KeSPA컵 4강전 (5) [412] 반니스텔루이8907 17/12/01 8907
12019 [LOL] 2017 KeSPA컵 4강전 (4) [328] 반니스텔루이6682 17/12/01 6682
12018 [LOL] 2017 KeSPA컵 4강전 (3) [315] 반니스텔루이8038 17/12/01 8038
12017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5일차 [150] 은하관제2385 17/12/01 2385
12016 [LOL] 2017 KeSPA컵 4강전 (2) [310] 반니스텔루이6672 17/12/01 6672
12015 [LOL] 2017 KeSPA컵 4강전 [327] 반니스텔루이7150 17/12/01 7150
12014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4일차 [183] 은하관제2889 17/11/30 2889
12013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6) [282] 반니스텔루이7573 17/11/29 7573
12012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5) [308] 반니스텔루이8099 17/11/29 8099
12011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4) [314] 반니스텔루이6047 17/11/29 6047
12010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3) [307] 반니스텔루이6057 17/11/29 6057
12009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3일차 [163] 은하관제2380 17/11/29 2380
12008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2) [321] 반니스텔루이5030 17/11/29 5030
12007 [LOL] 2017 KeSPA컵 8강 2R 2일차 [308] 반니스텔루이7793 17/11/29 7793
12006 [LOL] 2017 KeSPA컵 8강 2R 1일차 (2) [142] 반니스텔루이5245 17/11/28 5245
12005 [히어로즈] 2017 골드 클럽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2일차 [127] 은하관제2300 17/11/28 23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