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3/03/19 15:32
휴대폰에서 받는 신호를(LTE든 3g든) 와이파이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게 테더링으로 알고 있는데요.
핸드폰 스스로가 만드는 와이파이신호를 받아서 사용하는게 가능할진 모르겠지만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3g보다 속도가 더 나올 이유가 없어보이네요.
13/03/19 15:34
아, 속도는 딱히 빠를 필요없습니다. 근무지 3G 환경이 부실해서 연결이 자주 끊기거든요. 카카오톡도 제대로 안 보내지는 상황이라서 연결만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충분합니다.
13/03/19 15:33
핫스팟 테더링을 하는걸로 어떤 기기를 잡겠다는 건지 모르겠지만; 본인의 기기A에서 핫스팟을 켜면 A기기가 그걸 와이파이로 잡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3G신호를 받아서 와이파이화 하는거니 3G환경이 안좋으면 의미가 없죠;
13/03/19 17:27
노트북이 유선으로 연결 되셨으면 방법이 있습니다.
핸드폰이 무선을 키고 노트북이 붙는걸 우리가 핫스팟이나 테더링이라고 하는 것처럼 그 역의 방법이 있지요. AD-Hoc 이라는 기능인데 노트북이 유선으로 연결 되어 있고 노트북의 무선 랜 카드를 마치 AP 처럼 동작 시키는 방법 입니다. 인터넷에 AD-HOC 이라고 치면 한느 방법 친절히 나와 있으니 따라해 보시면 됩니다. 속도는 3G보다는 빠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