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3/03/13 12:23:37
Name sungsik
Subject [lol] 매드라이프라는 프로게이머에 대한 질문입니다.


롤 경기를 보기 시작한지 2주정도 됐고 이제야 겨우겨우 게임 흐름을 읽어나가는 정도입니다.

다만, 아직 챔프 상성이나 그런 것도 모르고 디테일함은 전혀 모르는 상태고요.
그런 상황에성 얼마전 예전에 했던 아주부 프로스트랑 블레이즈 온게임넷 4강 경기를 봤는데,
게임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선수가 매드라이프라는 서폿을 담당하는 선수였어요.

서폿이 어떻게 저런 플레이를 하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경이로웠고,
서폿을 저렇게 매력있는 포지션으로 보일 수 있게 하는 선수가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정말 실력 좋은 선수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매레기;; 라는 말도 나오고 뭔가 한계가 극명하다는 말도 나오고...그렇네요.

그래서 매드라이프라는 선수의 실력과 위상이 어느정도 되나요?
그리고 블리츠크랭크 챔프를 최근엔 전혀 안 쓰던데...이건 챔프의 한계 때문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자기 사랑 둘
13/03/13 12:29
수정 아이콘
1. 분명 롤 처음 시작했을땐 서폿으로서 압도적인 존재였지만, 지금은 다른 프로랑 동급이거나 약간 못미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최근 추세와는 다른 플레이를 펼칩니다. 최근엔 서폿터도 빠르게 2돈템을 가서 약간의 탱도 하면서 어그로도 끌어주는데..
메드라이프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즉 초반에 와드로 맵을 장악하는 플레이를 펼치지만 막상 한타 교전에서 좋은 300원이 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2.블리츠크랭크의 너프와 함께 주요대회에선 저격밴도 간간히 나왔었고, 요즘은 블리츠보다 쓰레쉬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13/03/13 12:30
수정 아이콘
매드라이프는 작년 온게임넷 롤 인비테이션 부터 시작해서 스프링, 섬머, 롤드컵까지 세계 최고의 서포터 중 하나로 꼽히던 선수입니다.
하지만 윈터시즌 결승전 패배 후 최근 여타 세계대회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하면서 살짝 위상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전에 웅이 똥싸면 치워주고 팀까지 캐리했던 모습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뜻)

블리츠는 너프 후 대회에서 얼굴보기가 어려워졌고요(누누와 함께). 아무래도 프로들 사이에선 쓰레쉬, 룰루, 소나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모양입니다.
민머리요정
13/03/13 12:31
수정 아이콘
현재 CJ로 팀을 옮긴 블레이즈, 프로스트 모두 현재의 흐름에 약간 뒤쳐진 느낌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그리고 최고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한타의 적절하고 굉장한 운영들로 팀을 이끌어왔지만,
롤챔스 윈터 결승에서의 참혹한 패배 이후 약간 내리막을 걷고 있다고 보여지는데요. (물론, 다른 팀들의 실력이 많이 올라왔다고도 보여집니다.)

매드라이프 홍민기 선수는 원래 프로 데뷔 전부터, 블리츠크랭크 장인으로 유명했다고 해요.
그리고 섬머 시즌에는 탑에서 AD로 포지션을 옮기고 최악의 시기를 보내고 있었던 건웅과 듀오를 하면서
섬머 시즌 우승도 하고, 롤드컵 결승까지 이끌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팀 전체가 침체이고, 거기에 따라서 같이 침체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싶어요....

그리고 블리츠크랭크가 많이 안쓰인다고 하셨는데,
프로경기에서는 많이 안쓰이기는 하지만, 일반게임들에서는 정말 지겹도록 많이보는 서포터가 블리츠입니다 ㅠㅠ

프로경기에서는 아무래도, 전체적인 조합을 생각하고, 라인전을 생각하며, 한타까지도 바라보기 때문에,
여러가지를 고려했을 때, 블리츠 선택이 어려운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13/03/13 12:35
수정 아이콘
위상은 한국 서폿의 기준이 될만큼 최정점입니다. 어떤 경기에서 서폿이 잘하면 '매라를 보는듯하다' '매라만큼 잘했다' 소리 나오죠.
그에 비해 실력은 최근 들어 평범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전의 전장을 지배하는 캐리형 서폿이 아니라 서폿 본연의 모습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매레기 소리는 워낙 유명하고 인기많은 선수라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안티들이 떠드는 말입니다. 매라가 못하면 까기 위한 용도에요. 반대로 빠들은 잘한 플레이에 '매멘'하면서 기도를 올립니다.
13/03/13 12:36
수정 아이콘
아.. 그런 거군요.

전성기 시절의 매드라이프 플레이를 라이브로 보지 못한 게 아쉽네요 ㅠㅠㅠ
답변 고맙습니다.
실버벨
13/03/13 12:38
수정 아이콘
스프링 시즌때인가요? 잔나 플레이를 보고 서폿 유저가 되었습니다. 진짜 입 벌리고 경기 봤어요.
롤이라는 게임하면서 서포터라는 포지션으로 그렇게 플레이가 가능하고 캐리를 하는 것은 진짜 충격이었습니다.
13/03/13 12:38
수정 아이콘
혹시 어떤 경기인지 질문드려도 될까요?
NLostPsiki
13/03/13 12:40
수정 아이콘
LOL 인비테이셔널 MIG Frost vs CLG 경기 일겁니다. 꽤 상위 였는데 결승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13/03/13 12:45
수정 아이콘
찾아봐야겠네요~
모리아스
13/03/13 12:38
수정 아이콘
서포터의 탈을 쓴 캐리였는데 요즘은 서포터하더군요
실버벨
13/03/13 12:39
수정 아이콘
매레기라는 말은.. 뭐 워낙 재평가가 자주 이뤄지는 곳이다니 보니 =_=;
사실 서포터라는 포지션으로 캐리를 하는게 신기한거였지, 지금의 플레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헌민
13/03/13 12:43
수정 아이콘
CLG EU와의 썸머시즌 결승전 5경기도 유명하고...
최근에는 웅과 샤이가 캐리하는 그림이지만 예전에는 매라가 캐리했다고 평가되는 경기가 많았죠.
샨티엔아메이
13/03/13 12:43
수정 아이콘
블리츠가 최근 프로급에서 안쓰이는 이유중 하나가 라인스왑했을때 할게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푸쉬나 견제(짤짤이)가 좋은것도 아니고 유지력이 있는것도 아닌데다
안그래도 듀오가 솔라인 상대하면 솔로라이너는 작정하고 사리게 마련이라
블리츠가 그나마 할 수있는 빈틈 노리기도 여의치않죠.
상대가 이걸알고 블리츠보이면 역으로 스왑거는거에 끌려다닐수도 있고
거기에 블리츠를 뽑느니 블리츠와 비슷한 약점이 있지만 한타에서 더 안정감있는 레오나를 뽑는게 낫습니다.
근데 매라의 레오나는 다른거에비해 별로라서....
13/03/13 12:44
수정 아이콘
CLG EU 와의 5경기 안보셨으면 꼭보세요.
13/03/13 12:46
수정 아이콘
안 봤습니다. 꼭 찾아봐야겠네요 흐흐
13/03/13 12:4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kr/pb/pb.php?id=humor&page=1&divpage=19&sn=off&ss=on&sc=off&keyword=매라&no=116716
온게임넷 롤 리그 시초 롤 인비테이션 - 매라신의 시작

https://pgr21.co.kr/pb/pb.php?id=humor&page=1&divpage=20&sn=off&ss=on&sc=off&keyword=매라&no=123073
온게임넷 롤 챔스 스프링 4강 vs 제넥스스톰 - 2:2 매치포인트 불리한 상황에서 기가막힌 이니시로 결승행

https://pgr21.co.kr/pb/pb.php?id=humor&page=1&divpage=22&sn=off&ss=on&sc=off&keyword=매라&no=133310
온게임넷 롤 챔스 섬머 vs CLG.EU - 알리스타는 이렇게 하는거야


pgr에서 볼 수 있는 것들로 한 번 찾아봤습니다.
간략하게나마 활약상 확인하실 수 있을듯
13/03/13 12:46
수정 아이콘

앗.. 정말 고맙습니다.
이제서야 이걸 보다니 ㅠㅠㅠ
13/03/13 12:48
수정 아이콘
전 '매라신' 의 전율을 느끼게 해준 경기중 하나가
IG 와의 롤드컵 개막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롤드컵 개막전은 매드라이프 하드캐리 게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혹시 그 링크같은것도 있으면 주시면 감사할것 같네요. 저도 찾아보겠지만...
실버벨
13/03/13 12:53
수정 아이콘
알리스타로 팀 캐리한 경기 말씀하시는거죠? 저도 전율이였는데..
13/03/13 12:59
수정 아이콘
예. 게다가 롤드컵이라는 세계 최대의 무대에서의 개막전,
그것도 불리한 경기의 흐름을 두세번인가 매라의 힘으로 분위기를 반전시켰죠.
물론 이외에도 샤이의 3인갱 당하는 와중에 역킬, 클템의 바론스틸등 명장면이 굉장히 많이나온 명경기중의 명경기였죠.

(간나클템은 함정)
13/03/13 12:55
수정 아이콘
다시봐도 전율이네요. 좋은링크 감사합니다.
13/03/13 12:46
수정 아이콘
2012년 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최정상급 서포터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 매드라이프는 멀리 갈 것도 없이
PGR 올해의 선수 선정에,
PGR 올해의 서포터 '단일후보' 로 설명이 다 될것 같네요. 심지어 거기에 별로 이견도 없었죠.
시라노 번스타인
13/03/13 12:49
수정 아이콘
롤윈터 전까지 팀에서 MVP를 가장 많이 받은 선수가 누군지 보면 알것 같습니다.

캐리하는 서폿 이라는 명칭은 전세계에서 두세명에게 밖에 허용되지 않는 다고 생각하고 매드라이프는 그중 한명이죠.
다레니안
13/03/13 12:55
수정 아이콘
롤을 즐기시는 유저분, 그중에 서폿유저분들이라면 잘 아시겟지만 서포터가 빛을 보려면 라이너들이 잘해야합니다.
스프링 섬머때의 아주부 프로스트는 팀원들이 모두 최고수준의 실력과 흐름을 타고 있어서 매드라이프도 같이 흐름을 탔죠.
그러나 클템의 부진, 빠른별의 약점노출, 샤이의 집중공략 (클템은 탑커버 잘 안갑니다.) 등이 이어지면서 매라도 힘을 쓰기가 힘들어졌죠. 아무리 서폿이 잘한다한들 라이너들이 밀리면 자신도 무난하게 망하니까요. -_-;
그래서 최근엔 본인이 활약을 하려기보다 맵을 장악하고 보조위주의 운영으로 노선을 바꿨습니다.(러스트보이의 주특기죠.) 전처럼 화려한 활약은 못해도 프로스트의 운영과 승률이 눈에 띄게 좋아졌죠. 매드라이프의 팬들에겐 다소 아쉽겠지만 다시 라이너들이 기량과 자신감을 찾으면 예전의 캐리형서포터로 돌아올 수 있을겁니다.

블리츠크랭크의 경우 롤챔스 4강전에서 간만에 꺼내들어 굉장히 재미를 많이 봤지만 겜빗게이밍, 그 중 고수페퍼가 "왜 다른팀들이 블리츠 안쓰는지 알겠지?" 라는 운영을 전세계로 생중계해줘서... 매라도 뭔가 느낀게 있는지 그뒤로는 블리츠를 안꺼내더군요.
칼스버그
13/03/13 13:16
수정 아이콘
겜빗한테 블리츠 꺼냈다가 고수페퍼한테 영혼까지 털린이후로는 안뽑는거 같더라구요.

전 세계에 두명있는 캐리하는 서포터끼리의 대결에서 지고 나서 매라가 노선을 바꾼듯
13/03/13 15:5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번 IEM 에서는 매라의 판정승이라고 봐야겠죠.
빠른 오라클과 적재적소 와딩을 통한 맵장악력에서 우위였다고 봅니다.
유틸성에서 룰루가 쓰레쉬에 뒤져서 그렇지 한타페이즈에서도 훌륭히 제 몫을 수행했고요.
제이메르 울프
13/03/13 12:59
수정 아이콘
매라의 알리는 전율 그 자체였죠. 으아~
13/03/13 13:00
수정 아이콘
팀이 주춤한 것이 무엇보다 큰 이유 인거 같고
요즘은 부진을 격고 하면서 메라선수자체가 이것저것 여러 스타일을 시도 해보는거 같더군요
더욱더 팀을위한 스타일을 꾀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들어요
칼스버그
13/03/13 13:15
수정 아이콘
건웅이 AD포지션에서 삽질할때는 "내가 캐리해야되" 라는 느낌으로 킬도 그냥 먹어버리고
템도 열심히 뽑고 슈퍼 플레이를 할려고 했는데
최근에 건웅이 SS급 원딜 포스를 뿜고 사실상 프로스트의 에이스가 되고 부터는
철저한 서포팅과 팀 플레이 위주로 바꾼거 같더군요.
돈템도 자제하고 와드사고 오라클 사는 형태로요.

팀 컬러에 맞춰서 플레이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실력이 죽은게 아니구요.
13/03/13 13:18
수정 아이콘
실력이 죽은 게 아니라 이타적인 플레이를 한다는 거군요. 화려함이 없어진 건 아쉽지만 뭔가 더 멋지네요.
방과후티타임
13/03/13 13:24
수정 아이콘
내가 캐리해야되 라는 느낌은 적어졌지만, iem보니 킬은 그냥 먹더군요. 크크크
13/03/13 13:27
수정 아이콘
좀 걱정되는게 서폿이 점화들고 킬을 먹다보니 죽었을때 어시먹고 죽는 서폿보다 300원씩 꼬박꼬박 채워서 돈을 주는게 약간 마음에 걸리더라고요,,
킬을 먹고 와드, 오라클이 빨리 나오는것도 좋긴 하지만...
13/03/13 14:30
수정 아이콘
어시먹어도 현상금 돌아옵니다.

킬은 한 방에 300원으로 복구지만

1어시는 1데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어요.

0/3/0 이후에 0/3/3 이 되면 300원입니다.
젊은아빠
13/03/13 13:27
수정 아이콘
인터뷰들을 꼭 보세요...
멘탈 하나만 놓고봐도 월드 탑클래스라고 생각합니다.
농담으로라도 '제가 좀 하죠 흐흐'식으로 말하는걸 한 번도 본 기억이 없네요.
인터뷰가 항상 '내가 많이 부족하다', '우리팀 OO가 잘해서 이긴거다', '나보다는 XX가 잘하더라' 로 뒤덮여 있습니다
13/03/13 13:34
수정 아이콘
아참 블리츠 얘기하셨는데 이게 빠지면 안되겠죠. 하나 더 추가할께요.

http://www.leagueoflegends.co.kr/e-sports/circuit_news_view.php?idx=97&vnum=67&page=1&keyfield=&keyword=&category=
온게임넷 롤 챔스 윈터 주간mvp - 매라의 그랩 시리즈
가을독백
13/03/13 14:34
수정 아이콘
모든 주류 서포터 챔프를 너프시키게 만든 장본인이지요. 이 말로 설명이 끝날듯하네요.
13/03/13 15:04
수정 아이콘
근데 너프된 챔프들 면면을 보면 매라 활약과는 무관하게 이미 널리 쓰이는 챔프였고 너프될 운명이었습니다.
당시 알리스타가 올챔중 픽순 1위였던걸로 기억하는데.. 블리츠, 소나도 op다 뭐다해서 말 많았구요.

차라리 다리엔 쉬바나나 겐자 우르곳 정도가.. 비주류였던 챔프를 메이저로 올려놓고 너프크리 먹이게 한 사례에 가깝다고 봅니다.
13/03/13 14:57
수정 아이콘
워낙 롤계가 재평가가 많이 이루어지다보니까..
그냥 단순히 여태 보여준걸로만치면 신급이죠..
새로운평가는 또 다시 열릴 새로운 리그에서 하면될거구요..크크
13/03/13 17:12
수정 아이콘
아직은 공식전이라 할 만한 게 딱히 없어서 모르겠네요.
챔스가 열리고, 지면 탈락하는 경기 쯤 되야 평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azellnu
13/03/13 18:00
수정 아이콘
뭐 평가야 다들 제각각이니 제 기준에서 보면 잘합니다.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잘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2345 스타2 스토리라인 만화로 그린거 없을까요? 멜로2400 13/03/13 2400
162344 노래가사 해석 좀 도와주세요 (영->한) [4] 불대가리5474 13/03/13 5474
162343 지금 온라인 상에서 군단의 심장 합본 패키지 구매가능한가요? [2] ComeAgain2460 13/03/13 2460
162342 LTE데이타를 너무 많이 쓰는데 정상인가요? [16] 메모박스3357 13/03/13 3357
162341 스쿼트 질문 [4] 로우킥황제2327 13/03/13 2327
162340 [스타2] 군심 캠페인 세이브파일 pc에 저장되나요??? [2] 뿌잉뿌잉잉5562 13/03/13 5562
162339 군심 미션중 마우스 스크롤 질문입니다. 매화틀2171 13/03/13 2171
162338 [lol] 매드라이프라는 프로게이머에 대한 질문입니다. [40] sungsik5352 13/03/13 5352
162336 역시 이영호네요 [7] 창이3485 13/03/13 3485
162335 도로주행 교육을 받다가 사고가 났습니다. [19] 오혜린4480 13/03/13 4480
162334 피로도의 개념이 있는 게임이 던파 이외에도 많이 있는 건가요? [9] 서른 즈음에2869 13/03/13 2869
162333 [핸드폰]뽐뿌에 가격은 제목과 내용에있는데 댓글로 가격 묻는건? [5] 본좌2354 13/03/13 2354
162332 뜬금없는 인기 투표..(수지 vs 수정) [56] 2'o clock7493 13/03/13 7493
162331 유게에 애니표절곡보니까 생각난건데 [2] 샨티엔아메이2650 13/03/13 2650
162330 개인적인 신념으로 불매운동하는 제품 있으신가요? [22] 실버벨2763 13/03/13 2763
162329 영어 기초부터 공부할만한 책좀 부탁드립니다. [2] FreeSpirit2313 13/03/13 2313
162328 부부가 같이 할만한 온라인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7] 귀여운호랑이11595 13/03/13 11595
162327 [스마트폰] 갤2 HD LTE 젤리빈 업글이후 배터리 문제 [4] DSP.First2111 13/03/13 2111
162326 밤 10시 이후에 마카롱 구입할 수 있는곳 있을까요? [1] 삭제됨2096 13/03/13 2096
162325 한문음절을 한글로 번역해주는 핸드폰 어플이 있나요? 하나3949 13/03/13 3949
162324 합리적 자유주의자를 이해하기 위한 괜찮은 책은 어떤게 있을까요? [4] 韓信2267 13/03/13 2267
162323 스팸전화너무심합니다 [4] JSclub1913 13/03/13 1913
162322 미국 LA거주하시는 분 계시나요? [1] 특별출연2272 13/03/13 22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