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14 10:06:17
Name 스마스마
Link #1 https://m.sports.naver.com/golf/article/011/0004473650
Subject [스포츠] [골프] 로리 매킬로이,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 (수정됨)
제가 스포츠/연예 게시판에 골프 관련 글을 쓴 건, 수년 전 필 미켈슨이 (명성 추락 전 마지막으로 빛나던) 최고령 PGA Championship 우승 달성이었네요. 그리고 쓸 일이 없다가 요건 안 쓰면 안 되겠다 싶어서 씁니다.

네, 표제처럼 북아일랜드가 낳은 슈퍼스타 '로리 매킬로이'가 금일 끝난 4대 메이저 중 첫 빠따인 '마스터즈'에서 우승하면서 역사상 6번째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습니다.

마지막 메이저 우승이 2014년 이었으니, 메이저 우승으로는 11년 만.
그 사이 PGA 페덱스컵(야구로 따지만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급) 우승을 세번이나 했으니 우승상금이야 원없이 벌었지만 커리어 그랜드슬램 장군을 놓은 것이 2014년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달성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긴 했습니다.

진 사라젠,
벤 호건(현대 골프 스윙의 아버지)
잭 니클라우스(사상 최고의 선수 1)
개리 플레이어
타이거 우즈(사상 최고의 선수 2)
에 이은 역사상 6번째 달성.

18번홀 티샷 잘치고 120야드 숏 아이언이 푸쉬가 나서 벙커에 넣고, 벙커샷 탈출 잘 한 뒤 1m 남짓한 파펏을 놓쳐 강제 연장전 진입.
연장전에서는 좋은 동료이자 선배인 저스틴 로즈(영국)와 자웅을 겨뤄,
역시 티샷 잘 치고, 이번엔 절치부심했는데 세컨샷 아이언을 거의 50cm 수준으로 붙여 버디를 잡아내며 우승을 달성했네요.

극장형 우승이라 더 큰 감동이었는 듯.

동 세대의 슈퍼스타들이 10년 정도면 커리어 하락을 경험하는데, 로리도 이 바닥에서 슈퍼스타로 등극한지 15년 정도는 되었으니 이 정도면 타이거 우즈, 필 미켈슨에 버금가는 역대급 커리어를 유지하고 있네요.

본인보다 늦게 우승을 경험한 브룩스 켑카보다 메이저 우승 수가 모자라다고 투덜대던 넷플릭스 방송 본 게 엇그제 같은데, 최소 동타는 이루었네요. 맘도 편해졌으니 추가 메이저 우승 기대해 보겠습니다.

우승 축하합니다. 로리.

* 필 미켈슨은 US OPEN 우승을 못해서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을 못했는데, US OPEN 준우승만 6번이라... 그리고 나이도 50대 중반. 사실상 물건너갔죠. 아쉬워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4 10:14
수정 아이콘
새벽을 홀딱새며 볼 가치가있는 최종라운드였네요
15번홀 7번아이언 하이드로우 샷은 정말 예술이었습니다
물론 그전 13번홀 80야드 써드샷 대실수 후 더블보기나
막홀 1.5미터 퍼터를 빼는 등..진작 우승을 확정지을 수있었지만 결국은 극복하고 이뤄냈네요
대단합니다 맥길로이
無欲則剛
25/04/14 1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3:30에 깨나서 중계를 본 보람이 있네요. 이렇게 살 떨리는 골프 토너머트는 처음인거 같습니다.
또 익숙한 자멸패턴인가 싶었는데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두번 다시 일어서네요. 팬으로서 진짜 기쁩니다.
15번 홀 세컨드 샷은 올해 마스터즈 최고의 샷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래동안 비판받았던 캐디 해리 다이아몬드도 이걸로 뭔가 성불할수 있게 됐네요.
無欲則剛
25/04/14 10:18
수정 아이콘
딴소리지만 사상 최고의 선수 1은 타이거 우즈라고 봅니다.
스마스마
25/04/14 10:27
수정 아이콘
저도 택1하라면 업계에 더 많은 영향력을 내린 우즈라고 보긴 합니다.
다만, 잭 형님의 커리어가 어마무시하긴 해서... 메이저 18회 우승, 준우승 19회라는 성적은 정말 대단하죠.

특히 당시의 드라이버로 리얼 300야드를 친 괴물이기도 하죠.
골프 채널에서 선정한 역사상 최고의 장타자 부문에서 존 데일리(사상 최초의 시즌 평균 300야드 달성자)를 꺾고 1위에 선정되었을 정도. 물론, 드라이버 장타가 우승과 가깝다는 것을 널리 알린 것은 우즈이고(1997년 마스터즈의 전설적 퍼포먼스) 그로 인해 골프 장비의 대대적인 혁신이 주도되긴 했지만요.
無欲則剛
25/04/14 10:52
수정 아이콘
타이거 우즈의 기념비적인 2000년 US오픈 우승을 다룬 다큐멘터리 Perfection at Pebble에 아주 인상적인 코멘트가 나오는데 대충 잭 니콜라우스는 당대의 선수들보다 요만큼(한 뼘) 더 잘 했다, 타이거는 이만큼(팔 벌리고) 더 잘 했다.
저는 잭 니콜라우스의 경기를 본 적이 었어서 모르겠지만 많은 사람들 골프 관계자들도 그렇게 얘기하는거 보면 그런거 같아요.
25/04/14 12:21
수정 아이콘
저도 골프 고트는 타이거라고 생각하지만,

한 뼘 차이나게 잘 하는게 사실 같이 쳐보면 제일 화가나는거라 그렇게 수십년을 해먹으면 진짜 꼴도 보기 싫을 것 같네요.

아예 타이거처럼 말도 안되면 포기라도 하지 될듯말듯 한데 칠 때 마다 진다고???
LuckyVicky
25/04/14 10:33
수정 아이콘
저스틴 로즈가 은근히 임팩트 있는 우승의 연장 패배가 좀....
25/04/14 10:50
수정 아이콘
제 아이디가 목표 에버리지 타수인데 크크
로리 정말 대단합니다
switchgear
25/04/14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어나자 마자 티비를 켜니까 로리 볼이 도랑에 빠지는 장면이 딱 나오더군요. 3타차 선두에서 버디 아니면 안전하게 파를 잡자는 작전결과가 더블보기로 나오면서 쉽게 가던 경기가 갑자기 접전이 되는 순간부터 보기 시작했네요. 크크
마지막홀 세컨샷 치기 직전까지도 천신만고 끝에 어케 우승은 하는구나 했는데 125야드 웨지샷이 벙커가 가고 결국 파세이브 못하는거보고 이걸 저스틴 로즈가 우승하는구나 했네요.
그래도 같은 실수는 2번 안하고 결국 우승하는걸 봤습니다. 아마 앞서 18번 홀에서도 같은 하이 드로우를 친게 그대로 밀려서 벙커를 간거 같은데 같은 샷을 2번째하니 칼같이 붙여서 끝을 내네요.
Lena Park
25/04/14 11:19
수정 아이콘
새벽에 못 봐서 이제야 유툽으로 보고 있는데 우승 못할거 같은데요?? 흐흐
본문에 적어주셨듯 정말 최정상급 기량을 오래 유지하는거 같아요.대단합니다 로리
25/04/14 11:26
수정 아이콘
재밌는 게임이었어요 어제 늦게까지 보다가 도저히 안 되겠어서 일단 좀 자고 아침에 결과 확인했네요 ;;
탑클라우드
25/04/14 11:47
수정 아이콘
역시 제가 라이브로 보지 않아야 역사가 이뤄지는... 허허허

지난 몇 년간 리브 측과의 갈등에 선두에 섰고,
그 와중에 정치적(?) 희생양이 되며 현타온 모습을 볼 때 여러모로 안타까웠는데, 결국은 해내네요.

멋지다 로리.
25/04/14 11:51
수정 아이콘
이혼하고 나서 뭔가 절치부심 한 느낌 입니다. 축하합니다.
25/04/14 12:22
수정 아이콘
재결합 했답니다.
25/04/14 12:40
수정 아이콘
잉? 상당히 시끄럽게 이혼소송한다더니 재결합 했네요.
25/04/14 12:24
수정 아이콘
로리 우승 축하합니다. 11년만에 드디어 성불한 느낌.

이제 마음 편하게 다시 전성기를 맞을 것 같습니다.

같은 조에 디셈보랑 치는거만 빼고는 모든게 완벽하다 싶었는데 최 상위권 선수들 멘탈을 저 따위 백돌이 기준에서 생각하면 안되는거였네요.

어제 로리 우승 기원하는 의미에서 스파이더 X 슬렌트넥 34인치 하나 들였는데,

퍼터 빼고는 완벽했던 터라 참 아이러니하네요 크크
이재훈
25/04/14 12:26
수정 아이콘
매번 하이라이트만 보다가 3라운드까지 로리의 행보가 심상치 않아 새벽에 일어나 각잡고 본 보람이 있네요~ 하이페이드, 15번홀 드로우등 트러블상황에서 오히려 정말 대단한 샷들을 보여주며 우승하는 모습에 울컥했네요. 압박감속에 퍼팅이 흔들리자 연장전에서는 샷으로 커버하는 모습까지! 로리의 다음 대회가 벌써 기다려지네요~ 축하합니다.
스마스마
25/04/14 12:5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순조롭게 진행되던 1라운드 4언더에서 후반 몇 개의 실수로 이븐으로 끝난 것이, 절치부심의 계기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샷감은 나쁘지 않아, 실수만 안하면 된다... 약간 이런 감정이 있잖았을까요.

위대한 경기였습니다.
ArchiSHIN35
25/04/14 13:16
수정 아이콘
로리가 드디어 이뤄냈군요. 제 마음속의 고트는 조던스피스지만 그 다음으로 좋아하는 로리 축하합니다. 뭔가 점점 완벽해지는 느낌이예요.
스텔스
25/04/14 13:19
수정 아이콘
4대메이저대회 우승이 커리어그랜드슬램인거죠?
지나가는 골린이인데, 4대메이저대회중 서열도 있나요?
無欲則剛
25/04/14 13:38
수정 아이콘
최초의 오픈으로 불리는 전통과 근본의 디 오픈
우승스코어가 이븐파가 되도록 설정하는 최고로 어려운 유에스 오픈
유일하게 같은 코스에서 개최하는 우아함의 극치 마스터즈

이 3개에 비하면 뭔가 딸리는 PGA 챔피언십….
스마스마
25/04/14 14:55
수정 아이콘
네, 대충 윗 분 설명처럼 봅니다.
우열을 가릴 순 없지만 PGA 챔피언십(어째서 PGA 투어 직접 주관 메이저인데...)을 가장 낮게 봅니다.
그렇다고 쩌리는 아니고 나머지 3개의 위상이 너무 커서요.

이제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 가능성이 높은 게 필 미켈슨과 조던 스피스인데,
본문에도 썼듯 필은 좀 어려워 보이고, 조던 스피스가 PGA 챔피언십 먹으면 커리어 그랜드슬램입니다.
이 친구도 혜성같이 나타나서 짧은 기간에 메이저 3개 먹고 PGA 챔피언십도 근처까지 갔는데, 제이슨 데이의 첫 메이저 우승으로 2위에 그친 게 현재 기준으로는 한이죠. 근데 로리보다 더 어린 친구라... 폼은 좀 떨어져도 워낙 숏 게임과 퍼팅이 예리해서 언젠가는 하잖을까 합니다.

다만 기존의 커리어 그랜드슬래머와 나란히 하려면 보다 선수 스스로의 위상을 올릴 필요가 있는데 요 몇년 경기력이 많이 별로이긴 하죠.
無欲則剛
25/04/14 15:56
수정 아이콘
네 스피스도 이젠 그냥 그런 저런 선수중 한명이 된거 같아요.....뭐 마스터즈에 나오지도 못하는 리키 파울러 같은 선수들에 비기면 양호하지만.
그나저나 남자도 여자도 다 전성기가 빨리 오고 빨리 가는 느낌입니다. 요즘은.
사바나
25/04/14 14:02
수정 아이콘
??? : 퍼터가 안된다면 세컨을 붙여라
스마스마
25/04/14 14:57
수정 아이콘
15번 수퍼 훅은 정말 예술이었죠...
25/04/14 14:05
수정 아이콘
또 말아먹는줄 알았네요
축하합니다. 요즘은 성불이 트렌드
25/04/14 14:12
수정 아이콘
하와이에서 이 경기를 라이브로 보는 호사를 누렸네요.
연장 챔피언퍼트 넣고 주저 앉을때 저도 찡하더라구요.
골퍼라면 누구나 가지고 싶은 스윙을 하는 로리... 글랜드슬램 축하합니다.
(그러니 그 스윙 반에반에반만 저한테 좀....)
Far Niente
25/04/15 08:49
수정 아이콘
전반끝나고 2위랑 4타차 난대서 무난히 우승하겠구나 했는데 이걸 또 연장가서 크크 드라마 한편 뚝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0032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4559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6764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9145 0
88034 [연예] 오늘 더쇼에서 데뷔 후 첫 음방 1위에 성공한 이즈나 Davi4ever1314 25/04/15 1314 0
88033 [스포츠] [KBO] 이쯤되면 타자들 집합시켜도 무죄 [16] 손금불산입2619 25/04/15 2619 0
88032 [스포츠] [KBO] LG와의 전적을 뺀 성적(feat. 오늘의 순위) [12] 무도사1944 25/04/15 1944 0
88031 [스포츠] [KBO] 현재 평균자책점 순위 [11] 포스트시즌2399 25/04/15 2399 0
88030 [스포츠] 치어리더에 진심인 대만, LG 입단한 이주은을 향해 비난 폭주 [16] 아롱이다롱이3883 25/04/15 3883 0
88029 [스포츠] [KBO] LG 트윈스, 11년만에 팀 합작 노히트 노런 승리.gif (용량주의) [34] SKY922119 25/04/15 2119 0
88028 [연예] 유니스 미니 2집 타이틀곡 'SWICY' M/V [1] Davi4ever695 25/04/15 695 0
88027 [연예] 신병 시즌3 카메오 : 한가인 [13] Croove5276 25/04/15 5276 0
88026 [스포츠] 차...찬규야... [13] 제논4505 25/04/15 4505 0
88025 [스포츠] [KBL] ??? : 경기 과열되는 일 없이 먼저 잡는다. [14] 무적LG오지환3360 25/04/15 3360 0
88024 [스포츠] [KBO] 선발 10승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17] 손금불산입4927 25/04/15 4927 0
88023 [스포츠] [EPL] 99% 확정된 강등권 [11] 매번같은4021 25/04/15 4021 0
88022 [스포츠] [KBO] 트레이드로 웃음 짓고 있는 롯데 [51] 손금불산입4158 25/04/15 4158 0
88021 [스포츠] [해축] 전반기 2위 후반기 14위 지금은 6위 손금불산입2060 25/04/15 2060 0
88020 [스포츠] [해축] 부메랑왕 레반도프스키 [3] 손금불산입1974 25/04/15 1974 0
88019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5호 홈런은 점심콜.gif (용량주의) [7] SKY922686 25/04/15 2686 0
88018 [스포츠] [KBO] LG의 이주은 치어리더 [19] Croove3979 25/04/15 3979 0
88017 [스포츠] 이정후 여기로 공 날려줘 [15] Croove6228 25/04/15 6228 0
88016 [스포츠] 피닉스 마이크 부덴홀저 감독. 뉴올리언스 데이비드 그리핀 부사장 각각 경질 [13] SAS Tony Parker 2874 25/04/15 28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