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12/08 09:48:52
Name 손금불산입
File #1 DH_Dzemz9ltGJXyQuZAuXg.jpeg (55.2 KB), Download : 33
Link #1 본문에
Subject [스포츠] [해축]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 (데이터) (수정됨)


원 출처: https://onenil.medium.com/atletico-2-0-proactive-possession-passing-panache-in-depth-analysis-7d24c209a756
번역 출처: https://www.fmkorea.com/3227248558 에펨코리아 왼발의염기훈



Atletico 2.0 : 달라진 디에고 시메오네의 축구

Atletico 2.0: Proactive, Possession, Passing & Panache: In-depth Analysis

One Nil



올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개막 후 8경기 6승 2무, 18득점 2실점을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적시장 마지막 날에 토마스 파티가 급작스럽게 이적한 것을 고려한다면, 이는 결코 우리가 예상했던 초반 행보가 아니다. 시메오네가 다시 한 번 자신의 축구를 확립한 것으로 보여지는데 특이한 것은 지금 하고 있는 축구가 우리가 보통 '시메오네'하면 떠올리는 축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기존의 아틀레티코는 상대에 반응하는(reactive) 축구를 구사했다. 그러나 올시즌 아틀레티코는 보다 주도적(proactive)인 축구를 구사하는 팀이 되었다. 그렇다. 이제 아틀레티코는 더 이상 완벽한 역습을 만들어내기 위해 끝없이 인내하는 팀,  리스크 회피적인 엄격한 4-4-2로만 설명할 수 있는 팀이 아니다. 이제 시메오네의 선수들은 공을 더 자신있게 소유하고, 더 많은 패스를 시도하고, 공을 더 많이 돌리면서 상대를 움직이게 만든다. 경기를 지배하며 상대를 서서히 무너뜨리고자 한다. 점유율과 별개로 아틀레티코는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시도했다. 우리는 이번에 그 내용들을 하나 하나 살펴보고자 한다.



높아진 점유율 & 상대를 움직이게 만든다

2 uhM3vWlf3xNgC3g77lTgCw

지난 4시즌동안 아틀레티코의 패싱 & 점유율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올시즌 아틀레티코는 시메오네 부임 이후 최초로 평균 점유율 54%까지 올라왔다. 물론 이제 라 리가 개막 후 2달이 지났을 뿐이고 시즌이 종료될 때까지 30주가 남았지만 아틀레티코는 일시적으로만 변한 것이 아니다.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틀레티코는 2019/20시즌 경기당 평균 463번의 패스를 시도했다. 전체적으로 아틀레티코는 항상 경기당 패스 횟수가 500회 이하였다. 그런데 2020/21 시즌 이 수치는 경기당 600회에 가깝게 올라왔다. 이전 시즌보다 30%가 증가한 수치이며, 패스 성공률 역시 78% 내외에서 83%까지 상승하였다.



전진성

그러나 높아진 점유율, 더 많은 패스만으로 과거보다 공격을 많이 시도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단지 볼 소유만을 위한 소유일 수 있으니까. 그런데 올시즌 아틀레티코는 가장 직선적이고 공격적인 팀이다. 아래 그래프를 통해 리그 내 다른 구단들과 비교해서 아틀레티코가 얼마나 전진성 있는 팀인지 살펴보자.

3 D3zmHdutKUJ3RTrLtS 8 Q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X축은 경기당 성공한 패스 횟수를 보여준다. Y축은 패스가 앞으로 전진한 거리를 백분율로 보여준다. 만약 패스가 돌아간 거리가 200야드 일지라도 상대진영방향으로  전진한 거리가 20야드 뿐이라면, 이 값은 10%를 기록하는 것이다.

팀의 수직방향 전진성을 평가하기 전에 우리는 경기당 최소 400회 이상의 패스를 성공시킨 구단만 고려하였다. 경기당 패스 성공횟수가 400회 이상이라면, 총 패스 횟수(X축)와 전진 비율(Y축)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아틀레티코는 경기당 500회 가까운 패스를 성공시키고 있음에도 전체 패스의 33%는 앞으로 전진한다. 이것은 아틀레티코가 공을 소유함과 동시에 앞으로 전진함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하프 스페이스 & 피치 중앙 이용 증가

4 1uS6yjw4vC2TjImSMINMqQ

지금부터 말할 내용은 이번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 말할 수 있다.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경기를 꾸준히 챙겨본 사람이라면, 팀 공격찬스의 대다수가 측면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격 방식이 역습이든, 점진적인 빌드업이든 그동안 시메오네는 항상 측면에서의 창의성에 크게 의지해왔었다. 기회가 측면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박스 중앙에서 기회를 잡기 위해 2명의 스트라이커를 배치하는 것 역시 당연한 일이었다.

알바로 모라타가 팀을 떠났고 디에고 코스타는 기량이 하락했다. 주앙 펠릭스는 자신을 향한 비판을 침묵시키지 못했다. 시메오네에게 남은 것은 본인이 가진 인적자원에 적응하는 것이었다. 라다멜 팔카오, 디에고 코스타, 알바로 모라타, 앙투안 그리즈만의 시대는 떠났다. 시메오네는 또 다시 완다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실망스러운 시즌을 맞이하기 전에 새로운 아틀레티코, Atletico 2.0 을 만들어야함을 깨달았다.

과거의 아틀레티코는 체격조건이 좋고, 피지컬로 상대를 압도하며 공중볼과 세컨볼을 장악하는 팀으로 여겨졌으나 지금의 팀에는 그 때와는 다른 캐릭터들 : 주앙 펠릭스, 앙헬 코레아, 마르코스 요렌테 같은 야수들이 있다. 이 선수들을 이야기할 때는 정교한 퍼스트터치, 영리한 움직임, 우월한 패스와 드리블 테크닉을 이야기한다. 즉, 아틀레티코의 최전방에 강철같은 선수들이 빠지고 비단결같은 선수들이 추가된 것이다. 그래서 시메오네는 하프 스페이스를 장악하고 중앙을 공략하기 시작했다.

5 LTFNFtBXeR4nExFAMu5 PQ

위 그래프는 2016/17시즌 이후 자료인데, 올시즌 처음으로 아틀레티코의 중앙 공격이 30% 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 글의 후반부에서 이에 대해 더 자세하게 언급할 예정이다. 가장 주목해야할 점은 팀이 중앙공격을 지향함으로써 일부 선수들의 기량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가장 주목할 선수는 바로 포르투갈의 원더키드 주앙 펠릭스이다.



vs 로코모티브 : 펠릭스와 코레아가 중앙 지역에서 빠른 콤비플레이를 통해 기회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vs 카디즈 : 펠릭스와 코케는 상대 라인 사이에서 빠른 콤비 플레이를 시도한다. 득점 기회로 연결되진 않으나 아틀레티코는 다시 공을 소유해서 공격을 시도한다.



수혜 선수 : 주앙 펠릭스

8 NmCfz18PT3sq6b5v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앙투안 그리즈만을 대체하기 위해 주앙 펠릭스를 영입했을 때, 펠릭스를 향한 엄청난 기대감이 있었지만 첫시즌에 펠릭스가 보여준 활약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펠릭스가 올시즌 라 리가 최고의 공격자원으로 성장했다는 것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다. 아틀레티코가 하프 스페이스와 중앙 공격 플레이를 집중했기 때문에 펠릭스의 정상급 기량이 나올 수 있었다. 현재 팀의 공격방식은 펠릭스에 맞춘 형태로 보이며 지금까지 펠릭스는 도저히 막을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시즌의 펠릭스는 주로 9번 역할을 맡으면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약적이었다. 그러나 올시즌은 왼쪽 하프 스페이스 지역에서 활동하면서 훨씬 더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다. 펠릭스의 움직임은 아틀레티코의 빌드업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9 qS8xxC5p0UfH dt0UBPbeg10 eL6evWEruF9OKWcGFsXzmg

2019/20시즌 히트맵을 보면 그가 어떤 역할로 주로 활용되었는지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2020/21시즌 펠릭스는 확실히 왼쪽 하프 스페이스 지역에서 뛰고 있다.



수혜 선수 : 마리오 에르모소

11 Kp7uPzvJW2W2K8Kz

아마도 마리오 에르모소는 라 리가에서 가장 저평가된 수비수일 것이다. 아틀레티코가 2019/20시즌을 앞두고 그를 영입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치열한 경쟁도 없었던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펠릭스와 마찬가지로 에르모소의 2019/20시즌은 좋지 못했다. 그러나 2020/21시즌 에르모소에게는 새로운 역할이 주어졌다. 에르모소는 풀백과 센터백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선수인데 레프트백으로서 자신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에르모소는 힘과 스피드를 갖췄고 공을 잘 다루며 특히 패스 범위가 상당히 넓은 선수이다.

가진 것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 시메오네는 올시즌 에르모소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했다. 백3의 왼쪽 센터백 역할이 에르모소에게 주어진 새로운 역할이다. 에르모소는 현재 2경기 (카디즈전 4-0 승리, 바르셀로나전 1-0 승리) 에서 이러한 역할을 맡았으며 2경기에서 실수를 하지 않았다.

에르모소는 아틀레티코가 공을 잡은 상황에서 가장 큰 부가가치를 만들어낸다. 이 선수는 아틀레티코가 상대 진영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넓은 패스 범위로 볼-플레잉 센터백을 두는 효과를 보게 만든다.

12 pAR2pfF5R2d9p0HviL4vwg

이 이미지는 에르모소가 4-4-2 시스템의 카디즈를 상대로 어떠한 선택지를 가져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에게는 정말 다양한 패스 옵션이 있다. 여기서 에르모소가 어떠한 선택을 하더라도 상대를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 패스의 타이밍, 강도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는 그의 역량에 달려있다. 그가 비슷한 상황에서 어떠한 선택을 해왔는지 살펴보자.



vs 바르셀로나 : 에르모소는 반대 측면에 바르셀로나 선수가 부족한 것을 간파했다. 그리고 반대 측면으로 공을 넘겨 팀이 득점 기회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vs 바르셀로나 : 에르모소는 공을 받기 전에 펠릭스의 움직임을 포착한다. 첫번째 터치로 바로 공을 연결시켜 득점 기회를 만들어냈다.

에르모소는 단 2경기(카디즈,바르셀로나)에서 xG Build-up 값 1.62를 기록했다. 이는 한 경기에서 에르모소가 포함된 점유는 끝내 득점으로 마무리 될 확률이 80%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카디즈전은 아틀레티코가 70%에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했기 때문에 작은 xG Build-up 값을 꾸준히 누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바르셀로나전 아틀레티코의 점유율은 46%였다. 그럼에도 에르모소는 22명의 선수들 중 가장 높은 xG Chain, xG Bulid-up 수치를 기록했다.

15 U1FsBeUIpyl8VMpuU9H wA

빨강 : 자신의 진영을 향한 패스
노랑 : 앞으로 나아가지만 상대를 뚫는 패스는 아니어서 팀이 전진하는 효과는 못보는 패스
초록 : 앞으로 나아가는 패스이면서 동시에 팀을 한 단계 전진시켜 다음 단계의 플레이로 이어지게 만드는 패스

에르모소는 8번의 상대의 라인을 꿰뚫는 패스를 성공시켜서 아틀레티코가 전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 내 최고 수준의 xG Bulid-up 수치를 기록했다. 에르모소는 라 리가에서 패스를 통해 팀을 전진시키는데 가장 뛰어난 센터백이다.

16 pcfnoXVpSGPg6XCuBfnlcw상대에 맞춰 바뀌는 포메이션

17 2U5POHs9uYTUIEtb

지난 5시즌간 시메오네는 라 리가 38경기에서 평균 34~35경기를 4-4-2로 시작했다. 4-3-3이나 4-2-3-1을 쓰는건 많아야 2~3경기였다. 그러나 2020/21시즌 이것 마저도 달라졌다. 시메오네는 더 이상 4-4-2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선수단 구성에 맞는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a) 공격진은 이전보다 피지컬 능력이 떨어지고 기술 능력이 향상되었다.
b) 미드필더진은 경기를 지배하고 공을 순환시키면서 경기 페이스를 주도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c) 에르모소, 히메네스 같은 센터백들은 공을 잘 다루어서 공격수, 미드필더진을 잘 서포트해줄 수 있다.

지난 10년간 아틀레티코에서 했던 축구와 다른 방식으로 나간 경기가 이미 올시즌 3차례나 있었다. 가장 차이가 두드러진 3경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vs 바르셀로나 : 공 소유 시 3-4-2-1 / 공 미소유 시 5-3-2

바르셀로나전 1-0 승리는 의심할 여지없이 시메오네의 완벽한 승리라고 말할 수 있다. 펩, 엔리케, 발베르데, 세티엔을 상대할 때 시메오네는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결코 4-4-2라는 기본 틀을 수정하지 않았다. 바르셀로나는 시메오네가 무엇을 할지 다 알고 있는 것처럼 보였고 결국 아틀레티코에게 바르셀로나전은 매번 힘겨운 싸움이었다. 그러나 이번 경기에서 시메오네는 3명의 센터백 (사비치, 히메네스, 에르모소) 와 트리피어, 카라스코를 기용함으로서 수비 상황 5-3-2를 만들었다.

18 y15VOdxEH4wDmAVj7AKlOg

펠릭스와 코레아가 프랭키 데 용, 미랄렘 피아니치를 향한 패스길을 막아 바르셀로나가 측면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조르디 알바와 세르지 로베르토는 이 경기에서 가장 많은 볼터치를 기록했는데 아틀레티코의 백5 시스템은 측면에서 공을 잡은 두 선수마저 막아버려 알바와 세르지의 영향력은 미비했다.

19 OW BtZehieLAXRUimoFNjg

공을 소유한 상황에서 아틀레티코의 포메이션은 3-4-2-1로 변했다. 윙백은 전진하고 요렌테가 2명의 스트라이커를 보좌했다. 아틀레티코는 뎀벨레가 에르모소, 카라스코, 펠릭스 중 그 누구 하나도 확실하게 막지 않는 것을 십분 활용하여 세르지 로베르토를 곤란하게 만들었다. 에르모소는 공을 소유한 상황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우리는 앞서 이미 그의 활약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20 0IibK1etrDD8M8ZE7GJ yw

사울이 조금 더 앞으로 전진해서 펠릭스는 세르지쪽으로 조금 더 다가갈 수 있었다. 그래서 세르지는 펠릭스와 카라스코 모두를 신경써야했다. 뎀벨레는 에르모소가 활용할 공간을 죽인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세르지의 수비를 제대로 돕는 것도 아니었다.

2016/17시즌 이후 아틀레티코의 바르셀로나전 평균 점유율은 32%였다. 이 경기에서 시메오네 부임 이후, 아틀레티코는 처음으로 바르셀로나전 점유율 46%를 기록했다.

vs 로코모티브 모스크바(원정) 4-3-3

시메오네는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로코모티브 모스크바를 상대로 4-3-3 포메이션을 시도했다. 에레라는 4-3-3 미드필더에서 6번 역할을 맡았고 사울과 요렌테는 전진한 형태의 중앙 미드필더였다. 최전방은 펠릭스-수아레즈-코레아가 위치했다. 그런데 시메오네의 4-3-3은 일반적인 4-3-3과 달랐다. 사울과 요렌테는 메짤라처럼 넓게 경기장을 활용했다. 비록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었지만, 로코모티브의 굳건한 조직을 깨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21 s9ZVmtMI7JhlZJRRjGLZw

좌측 이미지 : 아틀레티코의 패스 맵으로 펠릭스-로디-사울 / 코레아-요렌테-트리피어가 3각형을 이루고 있는걸 볼 수 있다.
오른쪽 이미지 : 이것은 시메오네가 원했던 형태이며 에레라의 패스 옵션을 극대화했다.

우선, 아틀레티코는 이미 측면에 2명에 선수가 위치했다. 왼쪽에는 로디와 펠릭스가 있었고 오른쪽에는 코레아와 트리피어가 있었다. 두 선수는 로코모티브의 밀집한 포진을 좌우로 늘어지게 만들었다. 여기에 사울과 요렌테마저 측면으로 빠져 좌우 측면에 선수 1명씩을 더 배치했다. 따라서 로코모티브는 중원에서 1명씩을 더 빼내어 풀백과 윙어의 수비를 도왔다.

22 CiDFHRAHu9xDnHpZh8YD0w

센터백들과 6번 에레라는 상대 공격수 2명과 3:2 상황을 맞이했다. 더 높은 지역에서는 사울과 요렌테가 로코모티브의 선수들을 중앙 미드필더 지역에서 벗어나게 만들기 위해 최대한 넓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로코모티브 중앙 지역에는 펠릭스와 코레아가 상대 선수와 2:2 상황을 맞이한다. 아틀레티코가 어떻게 상대 진영으로 넘어갔는지 확인해보자.



24 Q1VVXHt3UPJxzBrvoJj2DA

이 공격이 성공한 것은 본질적으로 에레라가 수아레즈에게 연결한 패스 덕분이지만, 빌드업 이전에 사울이 가장 왼쪽에 위치한 선수라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아틀레티코는 왼쪽 지역에서 사울-펠릭스-로디라는 삼각 대형을 구축하게 된다. 펠릭스는 점점 중앙 지역으로 이동하며 로코모티브 중앙 미드필더의 시선을 분산시킨다. 펠릭스로 인해 에레라가 수아레즈에게 패스할 길이 생겼고 수아레즈에게 공을 연결받은 코레아가 슈팅으로 이 상황을 마무리한다. 이 경기에서 아틀레티코가 승리를 거두진 못했으나 이러한 접근으로 빠르게 파이널 서드 지역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25 0Yni4mI4QIQZ6Pg8MMpmnQ

이 경기에서 에레라는 91개의 패스를 시도했고 로코모티브는 페널티킥을 제외한 xG값이 0.2에도 미치지 못했다. 시메오네는 이들에게 거의 기회를 내주지 않았다. 그러나 불운하게도 핸드볼 판정으로 인한 페널티킥이 주어져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vs 카디즈 : 공 소유 시 3-4-2-1 / 공 미소유 시 4-4-2

카디즈전은 아틀레티코가 시작부터 경기를 주도한 게임이었다. 계속 득점 기회를 만들어내며 카디즈에게는 좀처럼 기회를 내주지 않았다. 카디즈가 승격팀이지만 10경기 4승 2무 4패를 기록할만큼 만만한 상대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들은 지금 리그 5위다. 카디즈는 4-4-2 형태로 깊숙히 내려앉는 것을 선호하며 상대에게 공간을 허용하지 않기 위해 밀집해있는다. 아틀레티코전에서 취한 전략도 다르지 않았다.

상대의 낮은 라인, 조밀한 4-4-2 포메이션을 깨기 위해 시메오네는 올시즌 최초로 3-4-2-1 시스템을 선택했다. 시메오네가 공을 계속 소유하고, 경기 페이스를 아틀레티코 의지대로 좌우하고 계속해서 서서히 카디즈를 무너뜨릴 기회를 만들고자 하는 것은 아주 분명해보였다. 그의 3-4-2-1은 올해 RB 라이프치히의 율리안 나겔스만의 것과 아주 흡사했다.

26 XOfZge4m9nKL68ZyOEJ6ng

사비치-히메네스-에르모소 센터백 3인이 있고, 그 위에 코케와 에레라가 위치한다. 하프 스페이스 지역은 요렌테와 펠릭스가 담당하며 수아레즈는 9번 역할을, 측면에서는 사울과 트리피어가 윙백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포진하면 카디즈는 측면을 포기하거나, 측면을 막기 위해 중앙 밀집을 포기해야 한다. 중앙에 펠릭스와 요렌테가 있으니 카디즈는 사울과 트리피어를 풀어놓는 선택을 한다. 이로써 아틀레티코는 중앙에서 압박을 받게되면 측면에 항상 탈출구가 존재하게 되었다.

위 이미지에서 펠릭스와 요렌테가 센터백 또는 중앙 미드필더로부터 공을 받기 위해 끊임없이 점령했던 지역을 붉은 색으로 표현했다. 여기서 공을 받으면 펠릭스, 요렌테는 드리블로 상대를 제칠지, 수아레즈와 빠르게 콤비 플레이를 펼칠지, 윙백으로 공을 넘길지를 상황에 따라 결정했다. 카디즈는 피치 모든 지역에서 아틀레티코가 우위를 가져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이 경기에서 요렌테와 펠릭스가 공을 터치한 지역에 대한 히트맵은 아래와 같다.

27 6dmoQ2fnPrWq3yaagAOkfw

앞서 논의한 것처럼 하프 스페이스 지역에서 주앙 펠릭스는 상대를 드리블로 제낄 수 있고, 킬러패스를 넣을 수도 있으며 상대 수비수를 자신에게 유인할 수도 있고 추후 박스 침투를 통해 득점을 기록할 수도 있다.

이 경기에서 펠릭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득점 / 1도움 / 드리블 3회시도 3회성공 / 키패스 4회 / 빅찬스 생성 2회 / 경합 7회 중 5회 승리

이 경기의 키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왼쪽으로 넓게 포진한 에르모소는 경기를 지배하는 선수였다. 카디즈 스트라이커가 에르모소를 막으러 압박하면 코케가 프리한 상황이 되어 공을 쉽게 전진시킬 수 있었다.

2. 에르모소와 코케는 각각 가장 많은 볼터치, 가장 많은 패스를 성공시킨 선수였다. 에르모소는 109번의 볼터치, 94번의 패스 성공. 코케는 104번의 볼터치, 92번의 패스 성공.

3. 아틀레티코는 68%의 점유율, 717번의 패스 시도 91%의 패스 성공률을 기록했다. 패스 성공률 91%는 시메오네 부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결론

우리는 보다 주도적인 경기를 펼치는 Atletico 2.0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팀의 새로운 특징은 다음과 같은 핵심사항으로 요약될 수 있다.

1. 상대의 1선 압박에 대응하여 수적 우위 형성

2. 선수를 하프 스페이스에 배치하고 보다 전진한 위치, 상대의 라인 사이에 배치한다.

3. 적어도 1명의 선수를 터치 라인쪽에 두어서 상대의 압박을 탈출할 옵션으로 둔다.

4. 첫번째 사항으로 인한 수적 우위를 활용해서 팀내 최고 패서(에르모소/에레라)를 자유롭게 만든다.

5. 패스 옵션을 다양화 한다.

6. 공격 조합을 다양화 한다.
6-1) 가장 넓게 패스하는 옵션을 써서 상대를 한쪽으로 기울게 만든다
6-2) 하프 스페이스나 라인 사이로 낮고 빠른 패스를 투입시켜 상대를 때때로 놀라게 만든다.
6-3) 윙백, 하프 스페이스 공격자원, 각 측면과 가까운 중앙 미드필더, 센터백을 활용하여 측면에서의 수적 우위 발생

시메오네의 새로운 시도를 통해 선수 일부는 최고의 기량을 뽐내고 있다. 그리고 결과 역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오고 있다.

시메오네의 새로운 축구는 선수들의 장점을 살리기 위한 일시적인 해결책인 것일까? 아니면 새로운 아틀레티코를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을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최근 상승세를 경기 내적으로 심도있게 분석한 칼럼입니다. 내용이 정말 알차고 심도 있는 것 같네요.

킹준게 갓만데라는 소리까지 들었던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의 반격이라고 해야 할까요. 물론 아직 시즌은 절반도 지나지 않았고, 순항하고 있는 리가 레이스에 비해서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지만... 중요한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다시 상승 동력을 얻었고 그 가능성은 침체기를 겪었던 지난 몇시즌보다는 훨씬 좋아보입니다.

현대 축구에서 많은 감독들이 원했지만 실패한 장기집권의 성공적인 사례로 남을 수 있을지, 이번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2.0이 어떤 완성도를 보여주고 어떤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얀마녀
20/12/08 10:04
수정 아이콘
오... FM 다음시즌 전술컨셉은 이걸로..... 감사합니다....
오늘하루맑음
20/12/08 14:00
수정 아이콘
지금 fm이 다이아몬드 442가 대세인..
루비스팍스
20/12/08 10:08
수정 아이콘
수비력은 지금 최강팀임
아라가키유이
20/12/08 10:18
수정 아이콘
챔스에서 이상하게 잘 안풀려서 그렇지 현 폼은 뮌헨이랑 비빌만하죠.
아리아
20/12/08 10:25
수정 아이콘
지금 순위표보니 10경기 2실점 와...
Bukayo Saka_7
20/12/08 10:31
수정 아이콘
토레이라 거기선 행복해라
비빔밥
20/12/08 10:36
수정 아이콘
올시즌 전경기 소장하고 있는데 솔직히 새벽 시간에 보고 있으면 아직도 졸린건 사실입니다.

그래도 실적 내주는게 아름다운 축구 하고 결과 못내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시메오네 감독이 이번시즌 변화 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결과도 내주고 있기 때문에 다시 믿어보고 있습니다. 이번이 라리가 우승 적기입니다.

섬나라 축구도 우익축구로 분류되는 무리뉴가 다시 살아나는거 보니깐 현재 트렌드는 다시 우익축구인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20/12/08 10: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예전보다 확실히 볼 만 합니다. 주앙 펠릭스는 예술이고

꼬마 경기 볼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제 기준으로 최근 몇년간 가장 못하는데 잘하는 선수 = 앙헬 코레아
국밥마스터
20/12/08 11:01
수정 아이콘
팬카페에서 시즌 시작하기 전까지는 감독 경질하니 어쩌니 해던 소리 나왔던거 같은데 흐흐
손금불산입
20/12/08 11:23
수정 아이콘
반등 타이밍이 진짜 뜬금없긴 하죠 크크 2.0이 부임 10년차에 나올거라고 누가 예상을 했겠습니까
새강이
20/12/08 11:0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라리가 우승에 챔스까지 들기를
꿈꾸는사나이
20/12/08 11:25
수정 아이콘
'펠릭스'
종이고지서
20/12/08 11:26
수정 아이콘
소싯적 수지나 코스타 같은 9번만 있으면 완성인데 그게 좀 아쉽긴 합니다만 올해는 축구볼맛 나긴 합니다. 다만 빡빡한 일정과 챔스에서 흔들리는 경기력을 어떻게 잡아낼건지가 중요할것 같네요. 만약 챔스 토너먼트 못 가면 지금까지 잘해온거 말짱 다 헛일인데 체력적으로 빡빡한 일정인지라 걱정이 되긴 하네요.
소이밀크러버
20/12/08 11:30
수정 아이콘
아 좋겠다... 벵거 재임 중에 후임으로 가장 왔으면 했던 감독이 클롭이고 그 담이 시메오네였는다. 둘 다 너무 잘하니 부럽네요. 흑흑.
Cazorla 19
20/12/08 14:13
수정 아이콘
2실점하는 짠물은 유지하면서 득점력을 올린게 대단합니다.
리가 우승 가주아
김연아
20/12/08 15:44
수정 아이콘
ATM은 시메오네 아래서 꼭 챔스 좀 들었으면 좋겠어요.
친절겸손미소
20/12/08 23:02
수정 아이콘
일케 보면 대단한데, 생각해보면 전부 로테 돌리고 이 팀과 비긴 뮌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506 [스포츠] [해축] UEFA 올해의 선수 & 감독 후보 3인이 공개됐습니다 (+4~10위 추가) [12] Davi4ever6218 21/08/19 6218 0
61791 [스포츠] [해축] 축구 감독 3년이면 종신 노래를 부른다 [23] 손금불산입9155 21/07/15 9155 0
61773 [스포츠] [해축] 바르샤 그리즈만 - ATM 사울 스왑딜 추진 중 [57] 손금불산입9004 21/07/14 9004 0
60875 [스포츠] [해외축구] BBC 해외축구 이적가쉽 [8] v.Serum5887 21/06/14 5887 0
60395 [스포츠] [해외축구] 자유계약 선수들을 모집중인 바르셀로나 [19] 아라가키유이6657 21/05/28 6657 0
60335 [스포츠] [해축] 유로파리그 우승팀은 또다시 스페인 or 잉글랜드 [5] 손금불산입5637 21/05/26 5637 0
60248 [스포츠] [해축] 리그 우승을 해낸 챔피언들의 품격 [14] 손금불산입6911 21/05/23 6911 0
60247 [스포츠] [해축] 수아레스 "바르셀로나는 나를 존중하지 않았다." [6] 손금불산입7466 21/05/23 7466 0
60240 [스포츠] 라리가 우승경쟁 최종전.gfy (용량주의) [13] SKY928521 21/05/23 8521 0
60239 [스포츠] [해축]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1 시즌 프리메라리가 우승~!! [25] 종이고지서6807 21/05/23 6807 0
59930 [스포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vs 레알 소시에다드.gfy (용량주의) [11] SKY925769 21/05/13 5769 0
59499 [스포츠] [해축] 의외로 아직 리그 무관인 선수.gfy [15] 손금불산입6292 21/04/26 6292 0
59235 [스포츠] [해외축구] 투헬 첼시에서 대단한 기록 [5] 아라가키유이4658 21/04/18 4658 0
58851 [스포츠] [해축] 결국 1경기 차이로 좁혀진 라 리가.gfy [26] 손금불산입5421 21/04/05 5421 0
57864 [스포츠] [해축] 마드리드 더비 골장면 및 감상평.gfy [25] 손금불산입4196 21/03/08 4196 0
57689 [스포츠] [해축]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역대 최고의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27] 손금불산입5580 21/03/02 5580 0
57181 [스포츠] [해축] 바르셀로나 공포증을 씻고 있는 세비야.gfy [7] 손금불산입4594 21/02/11 4594 0
56756 [스포츠] [해축] 20/21시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전반기 선수평가 [20] 종이고지서4471 21/01/25 4471 0
56473 [스포츠] [해축] 21세기 알레띠 공격수 계보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8] 종이고지서4861 21/01/12 4861 0
56362 [스포츠] [해축] 결국 스타로 발전한 마르코스 요렌테 [8] 손금불산입7311 21/01/08 7311 0
56162 [스포츠] [해축]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500번째 경기.gfy [9] 손금불산입3938 20/12/31 3938 0
55689 [스포츠] [해축] 챔피언스리그 16강 매치업 이모저모 [27] 손금불산입5208 20/12/15 5208 0
55491 [스포츠] [해축] 시메오네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 (데이터) [17] 손금불산입5558 20/12/08 555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