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11/24 15:03:34
Name 물맛이좋아요
Link #1 펨코
Subject [스포츠] 시속 160km가 넘는 변화구



via Gfycat



휘네..휘어..

누가봐도 변화구..

최고 구속 105마일(169km/h)의 싱커(!)를 던지는 조던 힉스입니다.

체프먼이 나이들면서 구속이 좀 떨어지고 있는 상태라서 현존 최고 구속의 파이어볼러로 손꼽히는 선수죠.

지금 부상중인데 얼른 다시 돌아와서 불같은 공들을 던져줬으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inister
19/11/24 15:07
수정 아이콘
잭 브리튼이랑 힉스가 싱커 장인 투 탑인데, 힉스로선 아쉬운 한 해였죠
바카스
19/11/24 15:09
수정 아이콘
두번째 공처럼 컨트롤 안 잡힐 때가 많나요?
Sinister
19/11/24 15:11
수정 아이콘
엄청요
바카스
19/11/24 15:54
수정 아이콘
딱히 중용되긴 어렵겠네요ㅜㅜ
Sinister
19/11/24 15:56
수정 아이콘
아뇨. 이미 마무리입니다.
No justice
19/11/24 15:16
수정 아이콘
보기만 해도 제팔꿈치가 다 아프네요ㅜㅜ
이정재
19/11/24 15:59
수정 아이콘
원래 패스트볼은 변하죠
그래서 이제 직구라는 표현을 안쓰는거고
차라리꽉눌러붙을
19/11/24 16:01
수정 아이콘
저건 그립이 다른 것 닽은 느낌이...
이정재
19/11/24 16:0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싱커를 싱킹패스트볼이라 하는데
이걸 변화구라고 분류하는사람도 있고
패스트볼이 우선이라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죠
투심과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져서 더욱 헷갈리는것도 있고...
StayAway
19/11/24 17:39
수정 아이콘
싱커와 투심은 사실상 동종이라고 보는 시선이 대세로 자리잡는 모양이더군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9/11/24 17:44
수정 아이콘
헉 저는 이때까지 역 슬라이더 느낌으로 잡아채는줄 알았는데...
안프로
19/11/24 16:12
수정 아이콘
와... 제가 야구 4시간동안 보는거 고역이라 이해가 안가는 쪽인데
저런 공을 뿌리는 투수라면 찾아 보고 싶을 정도네요?

저런 메이저 괴물 투수들의 자원은 어디서 오는건가요
일본처럼 학교시스템이 잘 돼 있는건가
뭔가 미국에서 중고생이 야구하는 이미지가 선뜻 안떠오르는데
19/11/24 16:16
수정 아이콘
미국 중고생이 야구 많이 하기도 하고, 저런 파이어볼러들은 중남미에서도 많이 나오죠.
안프로
19/11/24 16:2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하긴 아무리 외부자원이 많아도 학교가 어느정도 베이스일수밖에 없겠군요
마그너스
19/11/24 16:16
수정 아이콘
투구 메카니즘의 변화인건지 근력이 향상되는건지 투수들이 예전보다 전반적으로 구속이 상승하네요
19/11/24 19:09
수정 아이콘
미국은 저렇게 미친 구속을 가진 선수가늘어나는추세고 일본도 프리미어 보니까 150넘는 국대에 뽑힐만한 투수들이 꽤 많던데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구속높은 투수가 더 줄어든 느낌이 들어요 에전에는 최대성 엄정욱 이런 애들이라도 있었는데 왜이럴까요 혹사로 치면 고시엔있는 일본이 더 심할텐데
19/11/24 20:31
수정 아이콘
요즘은 150km도 제구가 안되면(최소한 세컨피치는 커맨드가 되어야...) 다 두들겨 맞는 시대인지라 속도가 빨라도 2군에 수납되어 있기 마련이죠.

(평속 151의 고우석도 슬라이더 제구 안먹어주면 그냥 맞거나 장작만 쌓다가 내려오기 일쑤입니다.
19/11/24 21:58
수정 아이콘
그건 동의하는데 왜 우리나라만 유독 구속이 낮은지에 대한 대답과는 좀 다른듯 싶습니다
라니안
19/11/25 00:18
수정 아이콘
2군에 수납되어서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신듯 하네요

제 생각은
폼이 좋지 않은데 무리하게 강하게 던지는 케이스가 줄어들고
구속이 빨라도 제구가 안되면 의미없으니 구속을 줄이고 있는게 아닌가 싶긴하네요..
19/11/25 01:21
수정 아이콘
2군에서도 별로 보이지 않더라고요 ㅠ 그렇다 치더라도 일본은 국대 출전할만한 강속구가 꽤 많았는데 그냥 훈련방법의 차이인지 아니면 인재풀의 차이가 예전보다 더 심해진건지가 궁금한거였죠 허허
19/11/24 20:18
수정 아이콘
저게 말이되나요 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407 [연예] "음원 사재기로 1위 조작? 과거보다 훨씬 쉬워졌다" [50] 별이지는언덕13690 19/11/26 13690 0
46406 [연예] 미스틱 타케우치 미유 근황 [23] breathe8789 19/11/26 8789 0
46405 [연예] 50대에서 송가인을 이기는 가수가 있다? [71] Leeka11355 19/11/26 11355 0
46404 [스포츠] 한 우승 감독의 억울함 [25] bifrost9373 19/11/26 9373 0
46403 [연예] 혜리가 하는 유일한 개인기의 주인공과 만나다. [6] 강가딘8997 19/11/26 8997 0
46402 [연예] 글 삭제하겠습니다 [80] 삭제됨12643 19/11/26 12643 0
46401 [연예] [러블리즈] 서로 본인 작품이 펭수 닮았다고 투닥거리는 지애와 수정이.jpgif [5] 나의 연인6723 19/11/26 6723 0
46400 [연예] 모처럼 드립 폭발한 마리텔 트수들(feat.도티) [18] 안프로8633 19/11/26 8633 0
46399 [연예] 슈가맨에서 보고싶은 누나 [10] Croove9759 19/11/26 9759 0
46398 [연예] 박경 이슈에 숟가락 얹어보려는 신인가수.sming [12] VictoryFood10248 19/11/26 10248 0
46397 [연예] 50대 이상이 좋아하는 곡 2위 김연자-아모르파티, 1위는? [17] 미생8220 19/11/26 8220 0
46396 [연예] 역대 여자가수 초동 탑50 (아이유 3위, 우주소녀 32위) [10] VictoryFood5583 19/11/26 5583 0
46395 [연예] [주관적,약스압]한국 2~3세대 걸그룹 명곡 50위~41위 (57선) [8] kien6567 19/11/25 6567 0
46394 [연예] 실제로 음원사재기를 했는지 검증을 받겠다는 송하예의 소속사 [44] MBAPE12200 19/11/25 12200 0
46393 [연예] [여자친구] 차트인 한 김에 보는 자격지심 라이브 [15] 메자이의 학점약탈자5388 19/11/25 5388 0
46392 [연예] 박경 - 자격지심 멜론 차트인 [50] Lazymind10024 19/11/25 10024 0
46390 [연예] 뜻밖의 근황 [10] 及時雨10586 19/11/25 10586 0
46389 [스포츠] 진종오의 마음고생을 떨쳐냈던 경기 [6] Croove7816 19/11/25 7816 0
46388 [기타] 아이유 투어 콘서트 후기 [13] 퀵소희8218 19/11/25 8218 0
46387 [연예] 음원사재기 의혹에 관해 윤민수 인스타그램 댓글. [88] MBAPE13579 19/11/25 13579 0
46386 [연예] 태연 팬미팅 & 레드벨벳 콘서트 관람기 [19] 소시6668 19/11/25 6668 0
46385 [연예] 음원사재기 의혹에 휩싸인 바이브의 소속사 메이저나인 트위터 [31] MBAPE9712 19/11/25 9712 0
46384 [스포츠] 오지환 fa 6년+a 100억대 요구 [111] 청자켓12327 19/11/25 123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