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07/10 17:20:39
Name MBAPE
Link #1 FIFA
Subject [스포츠] 한국축구는 언제부터 일본축구에게 역전을 허용하기 시작했는가.jpg
a.png

1993년 FIFA랭킹이 시작된 이래 한일 양국의 평균 피파랭킹 순위입니다.

1562745267.png

90년대 중반이후로 일본의 FIFA랭킹이 한국을 앞지르기 시작합니다. 

1.jpeg

국제대회에서의 성과 역시 90년대이후로 일본이 아시안컵 4회 우승, 월드컵 16강진출 3회로 아시아 국가중 가장 뛰어난 국제대회 성과를 보였습니다.

FIFA랭킹, 국제대회에서의 성과를 종합해보면 한국축구가 일본축구에게 역전을 허용한 시점은 90년대 중반이후로 보입니다.

90년대 중반이후로는 한일전에서 승리해도 경기내용은 밀리거나 한국 특유의 반일로이드 꾸역승이 많았죠.

1990년대 초반까지는 한국의 일방적인 압승이었으나 1992년 J리그 출범이후 90년대 중반이후로는 더이상 예전의 일본이 아니었죠.

더이상 80년대 후반까지의 일본을 상대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것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ormal one
19/07/10 17:24
수정 아이콘
일본쪽의 선수들 평균수준이 더 높죠. 축구도 다인원 게임인지라 한두명의 슈퍼 플레이어로는 판도를 뒤집기가 어렵죠.
그린우드
19/07/10 17:27
수정 아이콘
유전자야 비슷하고 인구수가 3배가까이 차이나니까 인재풀도 그만큼 차이나는거죠. 대신 한국은 종종 어나더레벨이 나오고요. 인구수가 30배 가까이 나는데도 축구못하는 그나라는 수수께끼고......
19/07/10 17:37
수정 아이콘
(일단 유전자적으로 비슷한 신체조건이라는 전제하에) 절대적인 인구숫자가 중요한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보다 축구인재 풀의 인구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네델란드는 인구 1,700만인데(심지어 지금 네델란드 주축선수들은 네델란드 인구 1,500만 이하였던 시대에 탄생한 선수들입니다.) 분위기상 유소년 학생 대부분이 축구클럽 활동에 참여했을테고 그 엄청난 축구 참여 풀에서 잘하는 선수들이 걸러져셔 나온 게 지금의 네델란드 국대죠.

우리나라 같은 경우 유럽의 소국보다 축구 클럽활동에 참여하는 유소년수가 적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그만큼 축구인재 풀이 작은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절대적 인구가 많으면 축구에 참여하는 유소년 인재풀도 훨씬 클 거라는 것은 당연한 말이지만 말입니다.
조선일보망해라
19/07/10 17: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축협이 요새 7부리그까지 K리그 확장하는 프로젝트 진행 중인데 이게 잘 정착했으면 해요
WeakandPowerless
19/07/10 19:22
수정 아이콘
당장 월컵 준우승 크로아티아만 해도 전체 인구가...
19/07/11 01:54
수정 아이콘
반례를 수수께끼로 치부하고
주장을 이어나가면 안되죠;;
그린우드
19/07/11 08:24
수정 아이콘
중국깔라고 농담친건데요;;;; 그나라~~ 이런식으로 언급한거 보면 아실텐데.
불광불급
19/07/10 17:35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우리나라는 양학을 잘못하는게 더 큰듯... 강팀상대로 도깨비 팀 노릇하고
파비노
19/07/10 17: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짧게짧게가 아닌 슈퍼스타의 한방으로 승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게 라인 내리는 약팀한테는 안통하고,
라인 올리는 강팀한테는 역습한방으로 이기는 경우가 많은듯
本田 仁美
19/07/10 17:42
수정 아이콘
자국 리그의 문제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솔로14년차
19/07/10 17:44
수정 아이콘
실질적으로는 2000년대 중반 이후였다고 봅니다. 피파랭킹은 경기수가 많으면 올라가는 편이었어서, 월드컵 예선 때 올라가곤 했었죠.
19/07/10 17: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막상 일본하고 A 매치하면 진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상대 전적은 상당히 앞서있기도 하고...
19/07/10 17:49
수정 아이콘
맞대결에서 우리가 강한 거죠. 일본 선수들 한국하고 할 땐 스트레스 배로 받는다더군요.
그리고 상대전적은 우리가 일본과의 맞대결에서 강하기도 하고 예전에 많이 쌓아두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축구의 역사는 긴데 프로축구의 역사는 짧습니다.
19/07/10 17:51
수정 아이콘
아마 최근엔 확실히 열세긴 할거에요
근데 본문랭킹봐도 뭐 확 차이나는것도 아니죠

옛날엔 한수아래 였는데 이제 따라잡히고 비등비등한거죠
19/07/10 17:54
수정 아이콘
최근에 열세인가요? 진 기억이 별로 없는데말이죠
u-23 u-20 포함하면 압승아닌가요...
19/07/10 17:55
수정 아이콘
찾아보진 않았지만 최근도 열세는 아닐 거 같은데요. 아무튼 80년대 이전보다 비등비등해진 건 맞을 거고요.
그것보다 요즘은 예전처럼 한일 정기전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한국 일본이 축구로 붙는 경우가 잘 없죠.
사실 둘이 정기적으로 붙는다고 양국한테 별 이득이 있는 것도 아닌 거 같고요.
19/07/10 18:13
수정 아이콘
https://jonsan.tistory.com/254

저도 잘 못찾겠는데 아마 이때쯤 비슷한 기사봤던거 같습니다. 뭐 최근이라는게 어디서 끊느냐 문제도 있고 말씀하신대로 전적이 많지도 않죠

제 댓글 요지도 지금은 비등하다였구요
공노비
19/07/10 22:40
수정 아이콘
확실히 열세였던적은 없었죠
너에게닿고은
19/07/10 18:14
수정 아이콘
좀 대놓고 말하면 전통의 피지컬로 조져버리기가 있죠
19/07/10 17:46
수정 아이콘
일본축구 성장에 대해 경계하는 목소리가 90년대부터 있었고 저는 당시엔 축구 좋아하는 소년으로 한일 축구 격차가 나면 어쩌나하고 걱정했었는데 일본축구가 분명 성과를 내긴 했지만 생각만큼 무섭게 성장하진 않았던 거 같네요. 일본 뿐 아니라 동아시아 축구의 한계인 거 같기도 하고요.

그럼에도 일본축구는 우리나라에선 과소평가 당하는 점은 있는 거 같습니다.
일본이 밖에서 성적내고 그래도 대부분 우리나라 사람들은 잘 모르고 한일전 맞대결 이기면 다 까먹죠.
사실 저래도 한일축구 격차가 그리 크진 않고 한일전 맞대결에선 뒤지지 않으니까요.
일본 축구가 조금조금씩 성과 내는 건 눈에 띄지도 않고 별로 관심도 없죠.
예를 들면 우리나라 20세이하팀이 준우승하면 열광하면서 일본 20세 이하 팀이 준우승 한 적이 있는 건 모르는 사람이 태반일 거예요.
보통은 우리가 더 잘한 거만 기억하고 피파랭킹은 '피파랭킹 의미없음'으로 정신승리 하고요.
19/07/10 17:47
수정 아이콘
올림픽은 피파랭킹 상관없는 경기인가요?
19/07/10 17:53
수정 아이콘
나이제한 있으니 성인대표팀이 아니죠
레가르
19/07/10 18:11
수정 아이콘
U-23 대표팀이니 피파랭킹과 상관 없죠
조선일보망해라
19/07/10 17:48
수정 아이콘
일본이 시스템이나 인프라는 우리보다 앞서있고 국제대회 성과도 더 좋은데도 우리랑 맞대결에선 크게 압도하는 모습을 못보여주는 이유는 상성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일본축구의 고질병인 뚝배기에 취약한 점을 한국은 잘 이용해왔죠.
까리워냐
19/07/10 17:53
수정 아이콘
다 필요없고 아시안컵 못먹으면 큰 소리 절대 못칩니다.
아시아 전역의 유일하고도 최고의 권위를 가진 컵대회를 몇십년간 못먹었었는데 그 동안 일본은 간간히 우승 해왔으니 할말이 없죠.
억울하면 아시안컵 우승 해야됩니다.
홍승식
19/07/10 17:53
수정 아이콘
월드컵과 상대전적 생각해보면 딱히 일본이 한국 축구를 능가했다는 생각은 안 듭니다.
김엄수
19/07/10 17:57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에 99 청소년 월드컵때 일본이 준우승인가 했었는데
그때 시스템 이야기가 정말 많이 나왔던거 같아요.
투자도 많이하고 리그에 대한 관심도도 높고 해외 진출도 더 많이하고요.
저는 일본은 딱 한계단만 올라가면 안정적인 월드컵 8강~16강급 전력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정말 오랜기간 일본 특유의 스타일을 정착시켜왔는데
이제 선수가 누군지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 경기력은 꾸준히 나오더라고요.
19/07/10 17:57
수정 아이콘
가장 뛰어난 국제대회 성과란게 일본이 꾸준하게 성과를 낸건 맞지만 우리나라 4강한번간거로 우려먹을수는 있지않나 싶어요. 언제적 4강이냐 하지만 그만큼 아시아팀으로서는 대단한거죠
노이즈캔슬링
19/07/10 18:08
수정 아이콘
ELO레이팅는 한국이 더 높긴 하네요
19/07/10 18:10
수정 아이콘
한국 - 일본은 또이또이하죠 야구면 일본>한국 이지만 축구는 한국>일본 인데 별차이없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더치커피
19/07/11 08:05
수정 아이콘
야구는 부등호 2개쯤 더 붙이셔야..
노다메
19/07/10 18:13
수정 아이콘
일본이 언제 능가했데요??

아직도 한국 만나면 쩔쩔메는거 보이던데
19/07/10 18:16
수정 아이콘
근 20년간의 ELO점수를 뽑아본 적이 있는데,
2000년부터 역전되어서, 2015년에 다시 재역전 하기까지 일본이 지속적으로 우리나라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피파랭킹도 그렇고 elo도 그렇고 그 격차가 대체로 크지 않다는 것이고
그렇다면 각 대결마다 승패는 어느 한쪽이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는 말이지요.
너에게닿고은
19/07/10 18:19
수정 아이콘
근데 리그나 선수들 뎁스 보면 일본이 부러울 수 밖에 없기는 하고,
최근 ACL 보면 이젠 K리그가 못 버티고 있는건가 싶긴 합니다.
(물론 전북은 감독이 바뀌었기 때문에 봐야하고, 시민구단들이야 경험이 적으니 논외지만.)
Bemanner
19/07/10 18:20
수정 아이콘
월드컵 보면서 든 생각이 해외팀들이 일본을 진짜 경계하고 진짜 분석해서 피지컬 축구 하면 일본이 한국만큼의 성과도 내기 어려울 거 같은데
그냥 자기들 하던대로 볼차다가 일본선수들이 예쁘게 볼 차는거 보고 당황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일본-벨기에전 보면서 든 생각..
떡대 되는 팀들이 작정하고 한일전에서 한국 축구이 하듯이 하면 일본축구가 저 멀리로 날아갈 거 같던데..
조선일보망해라
19/07/10 18:39
수정 아이콘
벨기에도 한국 상대한 독일 마냥 전력분석 하나도 안한 느낌이었어요. 뒤늦게 피지컬의 우위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걸 알고선 힘과 뚝배기로 경기 막판 뒤집기 성공했지요.
광개토태왕
19/07/10 18:31
수정 아이콘
미국월드컵 최종예선 도하의기적 에서 일본이 탈락하긴 했지만 그때 일본 축구가 엄청나게 많이 따라왔었습니다
although
19/07/10 18:34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일본이나 중국이 생각했던 것만큼 성장을 못했다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사실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성장하는 일본축구를 바라보던 그때가 위기감이 더 심했죠..

한국축구 욕하는 거야 뭐 하루이틀이 아니지만, 전 적어도 앞으론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월드컵 전후로 어린선수들이 축구로 많이 유입된게 정말 크고, 요즘 연령별 선수들을 보면 기본기가 많이 올라온게 보입니다.
그리고 지도자나 국내리그, 해외리그 등등 타 종목에 비해 일자리가 정말 많다는 점은, 앞으로도 유망주 수급에 큰 어려움이 없다는 걸
의미하는데 이거 진짜 큰겁니다. 한국처럼 스포츠 환경이 척박한 나라에서 이정도 골격을 갖추는게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아시안컵에서 성과를 못내는 점은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지만, 앞으로 국제대회에서 한국이 일본보단 성적이 더 잘나올거 같네요
Normal one
19/07/10 18: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 같은 경우에는 일정 수준 이상 인프라를 구축하고 난뒤에는 본인들만의 쓸데없는 곤조?같은게 들어가는 경우가 많죠.
J리그를 경험한 현직 선수들의 뒷이야기를 들어보면 일본 축구의 전반적인 시스템은 극찬하지만 그런 부분에서는 답답하고 막혀있는 부분이 있다 하더라고요.
카바라스
19/07/10 18:45
수정 아이콘
사실 8~90년대 일본 만나기만 하면 쥐어패던게 신기했던거고 지금은 그나마 밸런스 맞춰진거라봐야..
지니팅커벨여행
19/07/10 18:50
수정 아이콘
피파랭킹이 객관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의 저 9위(98년)라는 순위에서 그냥 걸러도 무방한 지표가 아닌가 생각되네요.
05년과 11년에도 일본은 13위에 랭크되었지만, 과연 그 당시 일본보다 잘하는 팀이 고작 12개 밖에 안 되었나 하면 또 아니거든요.
물론 아시안컵과 같은 대회에서 성적을 내야 한다는 윗분들의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탱구와댄스
19/07/10 18:52
수정 아이콘
일본은 j리그의 규모와 시장크기 생각하면 오히려 못하는 거죠
보라도리
19/07/10 18:58
수정 아이콘
일본은 확실히 유럽 비슷하게 볼키핑 패스등 세밀하고 스킬 풀 한 능력은 한국 보다 평균적으로 낫지만 토너먼트 단판제 들어가서 늪축구 들어가면 자기 능력 하나도 못 뽐내죠 크크 벨기에전 그 유리하다가 그렇게 무시하던 펠라이니 피지컬 축구에 모든 흐름이 바뀜
러블세가족
19/07/10 18:59
수정 아이콘
피파랭킹이 옛날에는 A매치 수가 많을수록 높아서.. 실제로 역전당한건 2000년대부터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쥬갈치
19/07/10 19:14
수정 아이콘
사실 한일은 누가 압도한다 이런게 없어서
엎치락뒤치락이죠
19/07/10 19:14
수정 아이콘
피파랭킹은 모르겠고 상대하면 질 거 같진 않은데 이번 월드컵에선 확실히 한국보다 일본이 잘했어요.
19/07/10 20:40
수정 아이콘
딱히 역전당했다는 생각이 든적이 없어요
Achievement
19/07/10 20:45
수정 아이콘
비슷하다는 생각은 들어도 역전은 좀. 피파랭킹이 그닥 신뢰도 있는 지표라는 생각도 별로 안들어서요.
차아령
19/07/10 22:31
수정 아이콘
국대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강한거 같아요.
밀로세비치
19/07/10 23:06
수정 아이콘
한국은 선수하나하나에 경기력이 크게 바뀌는거 같은데 일본은 어떤선수가 들어가도 크게 달라지는 경기력은 아닌거 같아요 기복이 적다고 해야하나 그런 느낌을 많이 받는거 같습니다

사실 한국축구의 전성기는 박지성의 은퇴와 함께 끝났다고 생각해요 피지컬을 앞세운 늪축구로 꾸역꾸역 싸우다가 세트피스나 빠른 역습으로 결정내는게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하는데 조광래 부임과 함께 이도저도 아닌 모습으로 거의 8~9년을 날려버렸어요
딱총새우
19/07/11 00:45
수정 아이콘
일본이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축구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붙으면 (우리가) 이긴다라는 말도 최근 일본의 아시안컵 기록과 러시아 월드컵에서 활약을 생각하면 무슨 의미가 있나 싶구요.
19/07/11 01:57
수정 아이콘
대 일본전 버프가 있는듯

야구도 평균 리그 수준이나

야구 인프라는 차이가 많이 날텐데

국대끼리 붙으면 왠지 안질것 같은 느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980 [스포츠] 2010년대 분데스리가 선수랭킹 TOP20.(키커 랑리스테 기준) [1] MBAPE3444 19/11/13 3444 0
45314 [스포츠] 이승우 못지 않게 현재 심각한 프라이부르크 코리안듀오 [9] MBAPE8861 19/10/27 8861 0
45302 [스포츠] 이승우, 벨기에팀 1군 명단에서 아예 제외 [42] MBAPE10870 19/10/27 10870 0
45295 [스포츠] 이승우, 시즌 8번째 명단제외 [21] MBAPE8927 19/10/27 8927 0
44980 [스포츠] 지난 10년간 프리미어리그 포워드부문 시즌 평점 TOP5 [7] MBAPE4117 19/10/18 4117 0
44976 [스포츠] 지난 10년간 분데스리가 미드필더부문 시즌 평점 TOP5 [2] MBAPE3589 19/10/18 3589 0
44623 [스포츠] 해병대에 간 이천수.jpg [10] MBAPE9750 19/10/09 9750 0
44567 [스포츠] 사무라이재팬의 차세대 미래 '미나미노 타쿠미' [11] MBAPE6529 19/10/08 6529 0
44492 [스포츠] 90년대 이후 ELO 축구 랭킹 아시아 지역 TOP5.txt [8] MBAPE4352 19/10/06 4352 0
43959 [스포츠] 일본 현지에서 일본 역사상 최고의 스포츠스타로 선정된 선수.jpg [31] MBAPE9325 19/09/23 9325 0
43638 [스포츠] 동양투수가 마지막으로 사이영상에 근접했던 시즌. [8] MBAPE7863 19/09/14 7863 0
43298 [스포츠] 왕첸밍 2006,2007시즌 포스. [17] MBAPE6094 19/09/04 6094 0
43248 [스포츠] NBA에서 야오밍이 남긴 업적. [24] MBAPE7893 19/09/03 7893 0
43025 [스포츠] 현재 일본 현지에서 가장 인기 많다는 축구선수.jpg [16] MBAPE12564 19/08/29 12564 0
42892 [스포츠] 해병대 vs 전직 국가대표 선수들.gif [15] MBAPE8624 19/08/26 8624 0
42518 [스포츠] 도르트문트구단 선정 카가와가 도르트문트에서 터트린 베스트골 TOP10.GIF [8] MBAPE3658 19/08/18 3658 0
42487 [스포츠] 카가와 신지, 국가대표팀에서도 날아다녔던 시절.gif [11] MBAPE7229 19/08/17 7229 0
42449 [스포츠] 월드클래스라는 호칭이 어울렸던 2011~2012시즌 카가와 신지.jpg [24] MBAPE7590 19/08/16 7590 0
42247 [스포츠] 독일 명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공식 레전드로 인정받은 선수.jpg [12] MBAPE7702 19/08/12 7702 0
41050 [스포츠] 어느덧 10년째 유럽에서 활약중인 아시아인 센터백.JPG [24] MBAPE8516 19/07/17 8516 0
40728 [스포츠] 한국축구는 언제부터 일본축구에게 역전을 허용하기 시작했는가.jpg [52] MBAPE8137 19/07/10 81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