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06/07 13:13:18
Name ocean
File #1 mania_done_1eb8af49d83ae310ac543db68c0ae1ef.jpg (55.2 KB), Download : 27
Link #1 DVDPRIME
Subject [스포츠] [논란유발][국내한정] 단군이래 최고 스포츠 스타?


1. IMF 버프
97년 국도부도사태로 자존감 바닥이던 한국 국민에게 희망을 줌

2. 한일전 버프(?)
당시 노모 히데오와 라이벌리를 형성(국내 신문의 주장)하였고
박찬호의 상승세와 노모의 하락세가 겹쳐 은근한 희열을 줌

3. 국대에서의 헌신
98아시안 게임부터 국가대표로 나서, 매경기 하드캐리
통산 성적
2승 3세이브 26⅔이닝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0.68

4. 수려한 외모
탈아시아급 피지컬에 이국적 외모인데다가
연봉도 무시무시해, 전성기때는 최고의 신랑감 후보 1위

5. 미디어 다각화 이전으로
지상파 3사와 신문에 박찬호 기사로 도배
경기 3일전 박찬호가 먹은 반찬과 경기와의 상관관계 기사뜸
경기 2일전 상대팀 전력분석 기사뜸
경기 1일전 박찬호의 승리를 기원하는 전국민의 응원문
경기 당일 승리시 모든 이닝 상대 타자별 분석기사 뜸
경기 다음날 외신 번역기사 뜸

6. 경기의 재미
2아웃 2스타라이크인 순간에도 심장이 쫄깃쫄깃....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우구스투스
19/06/07 13:14
수정 아이콘
저에겐 영웅입니다.
저는 12시간까지는 버틸 자신 있죠.
19/06/07 17:29
수정 아이콘
받고 2박3일 갑니다. 전 진짜 저 형이 얘기해주면 꼬박 들을 자신 있습니다.
거룩한황제
19/06/07 13:14
수정 아이콘
다른건 뭐 그래도 6번은...크크크크크크크
정말로 매 이닝 쫄깃하게 본 기억이....
나가사끼 짬뽕
19/06/07 13:22
수정 아이콘
박찬호는 뭔가 좀 다르죠 진짜 스포츠영웅이라는 말을 안믿었는데 IMF때 박찬호는 정말 스포츠영웅이라는 말과 너무 잘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及時雨
19/06/07 13:22
수정 아이콘
단군 이스포츠 최고 스타로 보고 들어왔네요 크크크크크크
영웅이시죠.
19/06/07 13:24
수정 아이콘
국내에 한번 들어오면 연예인 누구랑 만났네 어떻네 하면서 시끌시끌 했죠.
Joshua Ryu
19/06/07 13:26
수정 아이콘
싸인볼2만원 신라호텔 밥좀먹자XX 아이패드증여 초장김밥
Steinman
19/06/07 17:04
수정 아이콘
'그 갤러리'...
루크레티아
19/06/07 13:29
수정 아이콘
1, 3, 5 이건 진짜 당시 상황을 본 사람 아니면 아무도 안 믿죠 크크크
최훈의 말대로 진짜 당시 박찬호의 경기를 봤던 사람들이라면 찬호형에게 어느 정도 마음의 빚은 지고 살아간다고 봐야죠.
애플주식좀살걸
19/06/07 13:30
수정 아이콘
진짜 한명꼽으라면 박찬호입니다. 크크
위르겐클롭
19/06/07 13:31
수정 아이콘
말좀 많으면 어때...
Jon Snow
19/06/07 13:33
수정 아이콘
어릴때였는데 시간 맞으면 꼭 챙겨봤습니다
컵스전이 제일 꿀이었죠
19/06/07 13:36
수정 아이콘
저도 원탑급으로 보는데 누가 비빌수 있을까요

김연아 박지성에 류현진이 사이영상 타거나 손흥민이 이 페이스로 무난히 커리어끝까지 가면?
거룩한황제
19/06/07 13:38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차붐이 가장 강력한 상대이지 않을까 싶긴해요.
19/06/07 13:43
수정 아이콘
차범근님 시대는 제가 경험해보질 못해서 평가를 못하겠네요. 커리어는 손흥민 이상급으로도 볼수 있을거 같은데 지금처럼 미디어 발달이 안된 시대라 성과만큼 부각이 안된거 같아요..
19/06/07 14:07
수정 아이콘
차붐의 가장 아쉬운 부분은, 국민들의 차붐의 활약을 매스컴으로부터 보지 못했다는 것 아닐까요??
지금도 차붐 독일가면, 현지팬들의 리스펙트가 어마어마하던데 .. 만일 분데스리가 경기를 당시 지상파에서 해줬다면.... 아무리 박찬호라도;;
거룩한황제
19/06/07 14:30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그것만 해도 엄청 날테지만
당시 프로팀 중계라는 개념도 거의 없었고...그 시절 TV 보급률하고
또한 방송이 24시간이 아니라 오전시간 오후 시간만 하고 전원 내린 시대였는데...
그 누가 새벽에 방송했을리도 만무하고요...
19/06/07 14:32
수정 아이콘
그러긴 하네요;;;
그 당시면...

차붐 클라스는 진짜 어마어마했다던데
못본게 한이네요..
자료도 얼마 없는거 같고
강가딘
19/06/07 16:40
수정 아이콘
80년대 당시에 mbc에서 토요일 오후시간에 분데스리가 차붐 경기 방송을 했었죠
당연히 생방은 아니고 독일에서 지난 경기 테이프 비행기로 공수해다 1시간짜리로 편집해서 보여줬습니다
19/06/07 14:52
수정 아이콘
차범근은 제가 못봐서 모르겠고...
전국민적 관심 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탑3 로 박찬호 > 김연아 > 박세리 이렇게 봅니다.
커리어만 놓고 보면 의견이 많이 다를 수 있겠지만...
어강됴리
19/06/07 13:37
수정 아이콘
저떄 너무 잘던져서 메이저 15승은 아무나 하는줄 알았어요
R.Oswalt
19/06/07 13:38
수정 아이콘
찬화형님의 스승님 기믹이던 오렐 허샤이져와 최고액 연봉투수였던 케빈 브라운 세계 최고의 투수행
근데 나중에 커서 보니까 오렐 허샤이저 진짜 최고급 투수여서 더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월드시리즈 mvp에 싸이영상, 골드글러브에 실버슬러거까지 먹은 양반인 줄은 몰랐는데...
최종병기캐리어
19/06/07 14:21
수정 아이콘
찬호 도우미 마이크 피아자
19/06/07 15:47
수정 아이콘
받고 도우미2호 셰필드
감모여재
19/06/07 15:49
수정 아이콘
박찬화에게 전해!!
러블세가족
19/06/07 13:39
수정 아이콘
4번은 좀.. 그냥 가난한게 성실한 사람이었죠.
StayAway
19/06/07 13:39
수정 아이콘
지금 류현진이 박찬호보다 잘 던진다고 생각하지만, 스타성은 넘사죠.
책 읽어주세요
19/06/07 13:39
수정 아이콘
중고등학교 선생님 기분 좋으면 수업시간에 시청 허용
19/06/07 13:48
수정 아이콘
귀에 몰래 이어폰 꽂아놓고 듣다가 삼진 잡아서 무의식 중에 소리지르면 선생님께서 "지금 몇대몇이냐?" 그러셨죠 크크
락샤사
19/06/07 16:50
수정 아이콘
이거 레알요 크크
와카시마즈 켄
19/06/07 13:40
수정 아이콘
차범근만이 상대가 될만한 수준이죠 차범근은 국내 만화에도 자주 등장했고 모티브도 많고.
박찬호
19/06/07 15:33
수정 아이콘
만화 등장한걸로따지면 최동원이... 야구만화마다 나왔고 야구만화 아니더라도 많이 등장했죠 금테안경 이미지가 강렬해서
출근하기싫다
19/06/07 13:41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때 박찬호 선발경기 틀어줬습니다 크크
19/06/07 13:43
수정 아이콘
스타성은 박찬호를 아무도 필적 못할 것 같아요
워낙, 그 때 국가적으로 침체되어 있던 상황이라...
19/06/07 13:45
수정 아이콘
박찬호 장인 : "우리 사위는 돈은 없는데 사람이 참 괜찮아서 딸을준다"
19/06/07 13:45
수정 아이콘
IMF 당시 거의 모든 사람들이 박찬호 선수 경기를 TV로 보던 게 생각나네요.

IMF를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거창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그때의 박찬호 선수는 국민들에게 진짜 영웅, 희망, 위안 그런 느낌이었어요.
19/06/07 13:45
수정 아이콘
그때도 지금처럼
한국 시간 11시 경 경시 시작했나요?
위르겐클롭
19/06/07 13:50
수정 아이콘
경기장소 따라 다르지만 서부경기면 8시~10시 정도에 했었죠. 그래서 학교에서도 타이밍 맞으면 선생님이랑 같이 TV키고 같이봤고... 저는 BK가 출전했던 월시 7차전이었나도 같이 봣던거같네요(7차전은 BK가 나오진 않았던것같은) 쌤이 틀어줘서
19/06/07 13:56
수정 아이콘
그렇죠~다저스 경기는 교류전 아니면 평일은 11시 경기가 요즘 일반적인데 그때는 어떻게 돌아갔었나 궁금해서..
스카피
19/06/07 14:32
수정 아이콘
정지연
19/06/07 15:28
수정 아이콘
네 그때도 평일은 11시쯤 시작이었어요.. 그래서 제게 다저스 경기는 11시에 시작한다는 인식이 박혀있습니다..
19/06/07 13:47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엔 itv에서만 중계했던것 같은데..그래서 거의 못봤던게 너무 아쉬웠어요.
그래도 컴퓨터를 구입하고, 메가패스를 한달 대기해서 개통한 다음부터는 128k? 정도의 화질로 열심히 시청한 기억이 나네요. 특히 아버지가 새벽마다 제 방에 오셔서 보고 계시면 제가 깨는 패턴.
반성맨
19/06/07 13:49
수정 아이콘
영국이 축구를 낮에만 했어도 지성팍이 비벼볼만 했을텐데...
19/06/07 14:16
수정 아이콘
사실 최고의 상대라면 차붐(지상파에서 분데스 중계)
안정성 롤코타는 김연아 아닐까요??
열혈둥이
19/06/07 13:50
수정 아이콘
지금 같은 때에 박찬호 마냥 띄워주면 안티도 어마어마하게 생길겁니다. 반작용이 너무 심해요.
영웅이 필요한 시대에 영웅이 나타나서 온나라가 집중하게 되는 상황은 없는게 나아요.

그냥 방탄이 그래미! 시큰둥 봉준호가 아카데미! 시큰둥 류현진이 사이영! 시큰둥
이런게 좋아요. 좋아할 사람만 좋아하고 관심없으면 굳이 안봐도 되지만 알고보면 엄청난 영웅들.
누렁쓰
19/06/07 13:53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 스타들과는 비교하기가 힘든 점이 바로 1번입니다. 그나마 박세리 선수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는데, 아무래도 박찬호 선수에 대기에는 조금 모자라지 않나 싶습니다. 차범근씨의 시대에 살아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중계가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범근씨를 대기에도 애매하지 않나 싶구요. 저에게는 그냥 원탑입니다.
Ryan_0410
19/06/07 13:54
수정 아이콘
Imf 때 라는 게 젤 큰 것 같네요.
영웅이었죠 정말
아라가키유이
19/06/07 14:03
수정 아이콘
손흥민이 발롱 포디움 들거나 류현진이 사이영 들어야 넘을듯.
누적치도 남다르죠
젠지훈
19/06/07 14:18
수정 아이콘
하루종일 할수있어.. 말..
스테비아
19/06/07 14:20
수정 아이콘
하루종일 뉴스에 기분 좋은 소식이라고는 저거뿐....ㅡㅜ
골든글러브
19/06/07 14:26
수정 아이콘
요즘 운동선수들 박찬호의 실력을 본받을 수 없다면 인성이라도 본받아야...
멀고어
19/06/07 14:30
수정 아이콘
별명에 전혀 이의가 없죠. "코리아 특급"
19/06/07 14:37
수정 아이콘
"대륙 심장에 조국혼을 던진다". 캬하~~ 최고의 국뽕 제목이네요. 저 시대는 그 만큼 국뽕이 절실한 시대이기도 했죠. 국민 대부분 암울하고 힘든 시기를 살아가던 시절이었으니까요.
중곡동교자만두
19/06/07 14:41
수정 아이콘
댓글 편-안 크크크크

저는 너무 어릴때라서 잘 못느끼겠어요. 찬호박 아이스크림 광고는 기억나는데...
피지알 연령대가 높아서 더 공감을 많이 하시는 것 같네요
지금 20대~30대들은 벅지성, 김연아를 꼽을것 같은데,
10대~20대 초반 친구들은 누굴꼽을까요 크크크크
19/06/07 14:42
수정 아이콘
손 아닐까요??? 류뚱도 크보시절을 기억해야 카타르시스를 느끼는거라 크크
가브리엘
19/06/07 14:41
수정 아이콘
시기까지 겹쳐서 언터쳐블 일 것 같습니다.!!
108번뇌
19/06/07 14:44
수정 아이콘
실력이나 세계적인 인지도, 영향력등은 더 한 선수가 있을수도 있겠지만 IMF때 박찬호, 박세리의 활약은 진짜 희망, 영웅이었죠.
19/06/07 14:51
수정 아이콘
박찬호 박세리는 진짜... 크크크 박찬호 선수는 뭔가 국가에 대한 헌신? 희생? 이런 이미지도 있었고 그 당시 tv뉴스에도 1승할때마다 나온 기억 납니다.
19/06/07 14:55
수정 아이콘
선수 위상은 차범근, 한국 위상은 박찬호
해맑은 전사
19/06/07 14:55
수정 아이콘
6번 크크크
김병현이 며칠 전 박찬호vs류현진 질문 받자, 주저없이 박찬호를 더 높게 평가했습니다.
이유는 쫄깃하게 보는 재미가 있어서...
19/06/07 15:24
수정 아이콘
2아웃 2스트라이크 잡아놓고
연속 12구 볼질해서 주자 만루에
9번 투수타석에 12구 혈전끝, 헛스윙삼진의 카타르시스란...
처음과마지막
19/06/07 15:04
수정 아이콘
만날수 있다면 2박3일 토크 하고 싶습니다

IMF 시절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던 박찬호 영웅이죠

그시절 경험하지 못한분들은 잘모르겠지만요
후유야
19/06/07 15:15
수정 아이콘
찬호형 텍사스 이적후 첫경기 본다고 몰래 새벽에 일어나서 본 적도 있어요. 그당시 해축도 안보고 그 시간에 일어나는 게 말도 안되는 거였는데
그러나 형은 나에게 빅똥을 줬지
라울리스타
19/06/07 15:19
수정 아이콘
지금 류현진이 박찬호 전성기 시즌보다 잘 던지고 있지만

위에서 말씀해 주셨듯이 IMF, 세기말의 우울한 시대적 배경 + 한국인 최초 메이저리거에
파워피쳐 특유의 쫄깃한 경기 스타일(feat.약쟁이 시대)이 겹쳐서 보는 맛이 정말 엄청났지요.

오죽하면 그때가 KBO 암흑기였는데, 여러가지 분석 중 신빙성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박찬호 경기 보느라 국민들이 KBO에 흥미를 못 느낀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였죠. 크크
19/06/07 15:26
수정 아이콘
박찬호의 등장부터 02월드컵까지 kbo의 유례없는 암흑기였던 걸 생각하면... 박찬호의 존재감은....
Joshua Ryu
19/06/07 16:24
수정 아이콘
파워피쳐 특유의 쫄깃한 경기스타일보다는

제구력이 안좋아서 팩바이비치 팩넷 남발 아닐까요
박찬호
19/06/07 15:29
수정 아이콘
류현진이죠
19/06/07 15:34
수정 아이콘
형님 요새 말이 짧아지셨네요.
예전같으면 후배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A4용지 가득 120페이지 채우셧을텐데
그러고 보니 형님이 처음 la로 가셨을 때, 현지에서 기자회견 때 말씀하셨던, 꼭 성공하셨다는 말이 제 마음에 와닿았던것 같습니다.
분명 형님은 그때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국민들의 기대
주변 팀메이트들의 견제들을 받으셨을텐데 말이죠

투머치토커도 할만한게 아니군요
불려온주모
19/06/07 15:35
수정 아이콘
차범근은 중계가 잘되지 않고 언론이 활발한 시대가 아니었고
박찬호는
중계 시간대 좋음(우리나라가 자영업 비율 높은데 그 자영업자들이 한가하게 티비 틀어놓기 딱 좋은 시간대 중계)
선발투수라 5일 간격으로 꼬박꼬박 나옴 선발이라 얼굴 주구장창 비쳐줌. 팀에 언론이 라이벌리 붙일 수 있는 일본인 투수 있음. 팀도 한국인 많은 LA에 성적도 나쁘지 않음 아시아인인데 구위로 누르는 타입이라 삼진도 많지만 플라이 비중이 높음(그래서 찬호 도우미는 주로 외야수) 희한한 스타성도 있음(이단옆차기 한한한한만두 약즈 61 62 올스타)
무엇보다 선수로나 인간으로 구설수 없는 사람이라
정지연
19/06/07 15:38
수정 아이콘
케이블 채널도 쉽게 보기 어려워서 공중파가 사실상 티비를 보는 거의 유일한 채널이던 시절인데 공중파에서 고정적으로 중계를 해줬던 것의 영향도 크다고 봅니다. 만약 케이블에서만 중계를 해줬으면 보고 싶어도 못볼 사람이 수두룩 했을거예요.. 당시에 엠넷에서 해준 넥스트 콘서트영상을 비디오로 떠서 돌려보던 시절이었으니..
이전 시절엔 해외에서 생중계 하기가 힘들던 시절이라 차붐의 활약은 제대로 느끼기 힘들었지만 박찬호를 시작으로 해외에서 활약하는 한국 선수들의 경기를 바로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더 인상이 깊었습니다.
박지성 선수가 해축의 아버지라 해버지라면 박찬호 선수는 해외 스포츠 중계의 아버지쯤 되겠죠
지금뭐하고있니
19/06/07 16:02
수정 아이콘
성리할때 영웅이 나타나는 게 아니라 희망이 필요할때 영웅이 나타나죠 (만들어지죠) 90년대를 경험한 세대에게 박찬호는 스포츠영웅 그자쳅니다
치토스
19/06/07 16:03
수정 아이콘
박찬호,김연아,차범근 3대장에 박태환이 약 안했으면 4대장에 낄수 있다고 보는데 약쟁이므로 탈락
19/06/07 16:14
수정 아이콘
이거 옆동네에서는 김연아 아니냐고 파이어됐던것 같은데,
아무래도 아죠씨들이 많은 이곳이다 보니 박찬호로 대동단결이네요 크크크

물론 저도 박찬호가 단연코 원탑이라고 생각합니다.
류현진이 사이영 2연패 해도 박찬호 정도 위상은 못 가질것 같네요.
Rorschach
19/06/07 16:1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진짜 당시의 '관심도'를 놓고 이야기하면 박찬호를 넘을 사람이 앞으로도 있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죠 크크
19/06/07 16:21
수정 아이콘
imf때문에 아무도 못비빈다고 생각합니다 양말 벗었을때 단기 임팩트로는 세리누님
강동원
19/06/07 16:32
수정 아이콘
찬호형이 지면 하루 내내 다들 그냥 시무룩
타자들 욕 겁나했죠. 특히 피아자.
19/06/07 16:40
수정 아이콘
물빠따 코라 저희 아부지한테 잡혔으면 죽었을껍니다

요새 감독한다던데 ㅡ,ㅡ
Joshua Ryu
19/06/07 16:48
수정 아이콘
박찬호가 못한우승 알렉스코라가 감독으로 이미했습니다
19/06/07 16:40
수정 아이콘
인정
39년모솔탈출
19/06/07 16:42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MLB 경기 틀어줌
앚원다이스키
19/06/07 16:46
수정 아이콘
박찬호가 진짜 부동의 원탑이죠. 이건 반박의 여지가 없음;;
19/06/07 17:16
수정 아이콘
평화왕이네요. 반박 댓글이 없음.
최강한화
19/06/07 17:31
수정 아이콘
박찬호 선수가 더 대단한건 대약물시대에 거둔 성적이라는점 입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19/06/07 17:53
수정 아이콘
저는 사실 잘 모르겠는데... 야구에 관심이 없어서 그런가..
39년모솔탈출
19/06/07 18:01
수정 아이콘
선수로써는 뛰어넘는 선수가 있을 수 있어도(커리어던, 실력이던)

스포츠영웅으로는 올타임 넘버원이라고 봅니다.
19/06/07 18:07
수정 아이콘
imf도 imf지만 한국인이 메쟈에 가서 백만불 받겠다라고 하면 풉 하고
심하면 미친 놈 헛소리한다고 하던 시절임을 감안해야 합니다.

정말 대단했죠.
지니팅커벨여행
19/06/07 18:09
수정 아이콘
댓글이 이정도로 모였는데 퐈이아가 아니야??

당시 가판대의 스포츠 신문들이 박찬호 등판일엔 온통 도배를 했죠.
한번은 '박찬호 4승' 이라고 1면에 나와 있길래, 엥 또 이겼어? 하고 있는데 아래에 작은 글씨로 '오늘 출격' 뭐 이렇게 적혀 있곤 했죠.
박찬호의 화제성을 미끼로 낚시성 1면 제목이 난무하던 시절...
녹차김밥
19/06/07 18:1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인데.. 지금 말씀들 하시는 시기가, 연도로 따지면 몇년도 정도의 기억들이신가요? 콕 집어 97년? 98년? 99년?
구밀복검
19/06/07 18:54
수정 아이콘
제일 가까운 건 98년이라 봅니다. 99년은 박찬호가 살짝 폼 죽었을 때고, 00-01년은 이미 박찬호도 베테랑일 때라 저 정도 센세이셔널한 분위기는 많이 가셨을 때고.. 97년에도 박찬호 열기가 어마어마하긴 했는데 IMF 터진 건 오프 시즌이었죠. 외환위기 전은 다른 스포츠들도 짱짱할 때라 상대적으로 박찬호 몰빵 현상도 덜했고요. 특히 97년에는 월드컵 예선에서 아시아 양학뽕에 거하게 취할 때였죠. 그러다 98년 넘어가고 나서 이런저런 스포츠단들 다 부도 나고 중계 끊기고 월드컵에서 네덜란드에게 5:0으로 밟히고.. 그때부턴 오매불망 박찬호 박세리였죠 다들.
야부키 나코
19/06/07 18:19
수정 아이콘
그리고 텍사스는 최고의 선수를 영입하게 되는데....
긴 하루의 끝에서
19/06/07 18:2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90년대 혹은 80년대 이전 스타들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 싶네요. 차범근도 그 중 한 예일 수 있고요.
구밀복검
19/06/07 18:58
수정 아이콘
4번도 팩트입니다. 당시 신랑 롤 모델로 박찬호 이길 사람은 한석규 뿐이었어요.
http://news.donga.com/voice/pop/3/all/19971021/7293066/9
saintkay
19/06/07 20:41
수정 아이콘
여러분 제가 2012년 한화 이글스 담당기자였지 말입니다. 그땐 별로 말을 해볼 일이 없었어요. 하지만 은퇴 이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23 [스포츠] [KBO] 통신 3사 번호이동 우승을 노리는 허도환 [29] 손금불산입8580 23/11/13 8580 0
79362 [스포츠] 프로야구 뉴미디어 중계권 쿠팡 독점? [48] 핑크솔져10461 23/10/30 10461 0
78217 [스포츠] [KBO] 이주형 좋은 유망주네요 [37] 쿨럭7605 23/08/28 7605 0
77263 [스포츠] 야구 오프닝 브금 [14] 핑크솔져5434 23/07/07 5434 0
74835 [스포츠] 일본의 이번 WBC 시청률 [21] 탈리스만9067 23/03/17 9067 0
74445 [스포츠] KBS WBC 중계진에 김구라 합류 [13] 핑크솔져9622 23/02/23 9622 0
74248 [스포츠] WBC 지상파 3사 해설위원. 이대호,이종범,박용택 [43] 핑크솔져8850 23/02/10 8850 0
70945 [스포츠] [월드컵] 방송 3사 카타르 월드컵 해설진 확정... [61] 우주전쟁9714 22/09/28 9714 0
66923 [스포츠] 카타르 월드컵 가상조추첨 해보시죠 [102] 위르겐클롭3913 22/03/30 3913 0
66671 [스포츠] 유희관이 KBS N 해설로 간 이유 [14] 강가딘7312 22/03/17 7312 0
66174 [스포츠] [피겨스케이팅] 여자 쇼트프로그램 결과 [32] 1절만해야지8836 22/02/15 8836 0
61216 [스포츠] 쿠팡 올림픽 독점중계 엎어진듯.. [20] 키토9585 21/06/25 9585 0
60507 [스포츠] 롯데 자이언츠 나균안 투수로서 첫 퀄리티 스타트, 첫 승리.gfy (용량주의) [21] SKY926636 21/06/01 6636 0
59383 [스포츠] 야구 움짤 고소 예정.jpg [74] insane10743 21/04/21 10743 0
59093 [스포츠] 황당하고 멘붕, 데이터 기반 기용" 허문회, 지시완 배제 논란에 격렬 해명  [17] insane8026 21/04/14 8026 0
48778 [스포츠]  '4년 2160억 최대규모' KBO, 지상파 3사와 중계권 계약 [29] 청자켓6900 20/02/03 6900 0
41616 [스포츠] 안톤 오노의 경지(?)로 가는 호날두 [81] 내일은해가뜬다11936 19/07/30 11936 0
40903 [스포츠] [해외축구] 이적시장 bbc가쉽 + 트위터 찌라시 [17] v.Serum3496 19/07/14 3496 0
40446 [스포츠] [KBO] 야구는 홈런 놀음 [29] 내일은해가뜬다6161 19/07/04 6161 0
39090 [스포츠] [논란유발][국내한정] 단군이래 최고 스포츠 스타? [93] ocean8794 19/06/07 8794 0
38168 [스포츠] 올라올 놈은 올라온다 [8] 니시노 나나세5436 19/05/19 5436 0
34445 [스포츠] [KBO][단독] KBS MBC SBS 케이블 3사, 시범경기 중계 보이콧 [34] 치열하게7313 19/03/08 7313 0
33935 [스포츠] 현재 프로야구 중계권 문제 정리 [34] 청자켓7668 19/02/26 76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