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8/05 13:27:26
Name 우주전쟁
Subject 스피릿호와 오퍼튜니티호는 어떻게 죽음을 맞이했나? (수정됨)
스피릿호와 오퍼튜니티호는 쌍둥이 로버입니다. 모양이나 기능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로버들이었습니다. 둘 다 애초 미션 기간은 90일 정도로 예상하고 있었고 둘 다 예정된 미션 기간을 훌쩍 뛰어넘어서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MER_twins_white_cyc.png

먼저 멈춘 것은 스피릿호였습니다. 2009년 스피릿호는 탐사 도중 부드러운 모래사장에 빠져버립니다. 여기 지구에서 자동차가 모래사장에 빠지거나 눈밭에 빠진 것과 동일한 일이 벌어진 것이었습니다. 나사의 기술진들이 로버를 탈출시키려고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성공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화성에 겨울이 닥쳐옵니다. 스피릿호나 오퍼튜니티호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얻게 되는데 이때 태양빛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는 각도로 태양광 패널을 위치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모래사장에 꼼짝없이 빠져버린 스피릿호는 불운하게도 이 최적의 각도를 유지할 수가 없었습니다. 2010년까지는 그나마 멈춰선 자리에서 지구와의 통신은 유지가 되었지만 그것이 할 수 있는 전부였습니다. 나사는 2011년 스피릿호의 미션종료를 선언하게 됩니다.

090511-space-spirit-vmedium-530p.grid-6x2.jpg

오퍼튜니티호는 아시다시피 끈질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문제의 발단은 착륙 직후부터 이미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오퍼튜니티호의 착륙 직후 나사는 오퍼튜니티호의 로봇팔에 장착된 히터가 "온(on)" 모드로 켜진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로 전환이 안 되는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스위치가 어디 낀 것처럼 "온" 모드에서 멈춰버린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굳이 필요가 없을 때에도 히터가 계속 작동하면서 안 그래도 아껴서 써야 하는 에너지를 빨아먹게 돼 버립니다.

mer-robotic-arm.jpg

나사에서 내놓은 해결책은 밤에는 로버를 아예 꺼버렸다가 아침에 다시 켜는 것이었습니다. 비유하자면 밤이 되면 집에 있는 두꺼비집을 내렸다가 아침에 다시 올리는 거였죠. 물론 이렇게 되면 밤 동안에는 로버가 차가워지게 되는 데 다행히 그게 운용 한계치 이하로 내려가지는 않았기 때문에 나사에서는 매일 오퍼튜니티호의 전원을 끄고 켜기를 반복했습니다. 소위 말하는 "딥 슬립(deep sleep)" 전략이었죠. 이 '딥 슬립' 전략이 아니었다면 오퍼튜니티호는 애초에 예상된 미션 기간인 90일을 버티는 것도 쉽지 않았을 거라고 합니다.

그러나 2018년 6월 화성에 관측사상 역대급 규모의 먼지폭풍이 불어 닥칩니다. 나사는 이 무렵에 오퍼튜니티호에 장착된 시계장치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5,000번 이상의 셧다운이 진행이 되면서 장치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 가 생각하는 것이죠. 이러다 보니 로버가 밤에는 자야 되는데 자지를 않고 계속 활동 모드로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의 히터는 계속 켜져 있었을 것이고요. 안 그래도 먼지폭풍으로 충전이 제대로 안 되는 상태에서 딥 슬립 전략에 차질이 생기고 결국 계속 켜져 있었을 히터가 남아있던 전력을 다 소비해 버렸을 거라는 게 나사의 생각입니다. 물론 이것은 나사에서 확실하게 확인해 주는 상황은 아니라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추정입니다. 사실 이미 한계치를 훌쩍 넘어섰기 때문에 어제까지 잘 움직이다가 바로 오늘 작동이 안 된다고 하더라도 이상할 게 하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MkM9ZfRnrRZrLXZBkdFdmW-650-80.jpg.webp

화성 전체를 포함하는 자기장도 없고 대기도 희박해서 태양으로부터 오는 방사선에 직접 노출이 되는 열악한 환경이기 때문에 오퍼튜니티호가 영구적으로 살아있을 순 없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만약 저 히터의 스위치가 고장이 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가정을 하지 않을 순 없습니다. 만약 그랬다면 오퍼튜니티호는 오늘도 화성의 사진을 우리에게 전송하지 않았을까요? 어차피 그만 하라고 할 때까지는 계속 일 했을 친구니까요.

oppytracks_wide-1173d507a9c4f04a7a7a452473de4f77a3f1eb21.jpg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6-24 16:15)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기영화
20/08/05 13:45
수정 아이콘
https://creativepark.canon/ko/contents/CNT-0024559/index.html
https://creativepark.canon/ko/contents/CNT-0024525/index.html
다른 글에도 달긴 했었는데, 화성 탐사선 소장하기입니다!
우주에 대한 로망은 모두가 있는 것 같아요~
VictoryFood
20/08/05 14:08
수정 아이콘
사람이나 로봇이나 제대로된 수면과 식사가 이렇게 중요합니다.
20/08/05 16:30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잘 읽고 있습니다.
이선화
20/08/05 16:40
수정 아이콘
미래에 로봇이 지배하는 세계가 되면, [노예처럼 부려먹히다 죽음을 맞이한 오퍼튜니티의 원수를 갚겠다 이 비열한 인간놈들아]라고 외치는 AI가 한 명 쯤은 있을 것 같네요 :b
-안군-
20/08/05 17:16
수정 아이콘
알파고님 미리미리 충성충성!! /^^
20/08/05 20:20
수정 아이콘
이런 로버들을 보면 꽤 빨리 움직일수 있을거 같은데 실제 움직이는 영상보면 엄청 천천히 움직이더라고요
지니팅커벨여행
20/08/06 18:52
수정 아이콘
마지막 사진에 까페베네 로고가 빠졌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메가트롤
21/06/25 08:1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유목민
21/06/25 09:34
수정 아이콘
둘 다 사실 NASA에서 뽕을 뽑아먹었죠.
그래도 지구처럼 비오고 눈오고 안하는 사막환경 비슷해서 더 오래 버틸 수 있었을지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3966
3981 [PC] 어릴적 꿈을 이뤘습니다 (바람의나라 클래식) [28] 냉면냉면12834 24/12/29 12834
3980 천재가 생겨나는데 필요한 비용 [10] 번개맞은씨앗12716 24/12/31 12716
3979 AI 리서치툴, genspark.ai 추천 [20] 깃털달린뱀12476 24/12/31 12476
3978 2024년 12월 24일. 사랑하는 우리 첫째 반려견 사랑이가 소풍을 떠났습니다. [15] Fairy.marie12122 24/12/25 12122
3977 [2024년 결산]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전문위원 활동기 [24] 성야무인12095 24/12/22 12095
3976 [무협] 구백오십검법(九百五十劍法) [22] meson19270 24/12/18 19270
3975 나라가 흉흉한 와중에 올려보는 중국 주하이 에어쇼 방문기 -1- (스압/데이터) [18] 한국화약주식회사18614 24/12/09 18614
3974 아름다움이 모든 것을 결정하던 시대 [11] 식별18862 24/12/03 18862
3973 [잡담] 좋좋소 블루스 - 직원도 남다른 좋좋소 [13] 언뜻 유재석19075 24/12/03 19075
3972 삼국지 요약 [46] 식별18675 24/12/02 18675
3971 친구의 계급, 친구의 거리 [38] 만렙법사16142 24/11/30 16142
3970 [역사] 그 많던 CRT 모니터는 어디로 갔을까? / 디스플레이의 역사 [18] Fig.115266 24/11/30 15266
3969 『눈물을 마시는 새』 - 변화를 맞이하는 고결한 방법 [36] meson15364 24/11/24 15364
3968 한나라가 멸망한 이유: 내우(內憂) [10] 식별15118 24/11/20 15118
3967 실제로 있었던 돈키호테 [3] 식별16936 24/11/17 16936
3966 울트라에서 프로맥스로..아이폰 10달 사용기 [14] Lord Be Goja17753 24/11/26 17753
3965 DDP 야경을 뒤로 하고 프로미스나인 'DM' 커버 댄스를 촬영하였습니다. [22] 메존일각16649 24/11/23 16649
3964 피지알 회원들의 AI 포럼 참가 후기 [19] 최애의AI16449 24/11/20 16449
3963 멀웨어 제로 한 번 돌려보세요 [39] 밥과글15916 24/11/16 15916
3962 100년 전 사회과부도 속의 유럽을 알아보자 [26] 식별18180 24/11/14 18180
3961 [LOL] e스포츠 뷰잉파티에서의 팬 경험 : '빛의 시어터'와 함께하는 결승전 T-Gether [41] 노틸러스16687 24/11/08 16687
3960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 + 적립식 S&P500 투자의 장단점 [83] SOXL19008 24/11/13 190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