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25 16:08:49
Name 드림
Subject [질문] 크로스핏과 PT에 대한 질문
작년 10월부터.. 건강해 지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헬스장을 다니기 시작했는데요.

혼자 다니다 보니 뭔가 의욕도 안생기고, 자세가 맞는지도 모르고, 무게는 안늘어서..  PT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는데요.

PT 가격을 알아보니 너무 비싸서 쉽게 정하기가 힘들더라구요..

제 목표는 근육을 막 키우는 것 보단, 몸 전체를 건강하게 기초체력을 기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PT도 제 목표에 잘 맞겠지만 크로스핏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봤는데요.

크로스 핏의 경우 1:1 코칭은 불가능 하지만, 가격이 PT에 비해 월등히 싸다는 장점이 있더라구요..



여기서 질문 있습니다.

1. 만약 PT로 제 몸을 기르기 시작 하려고 한다면 몇번 정도 받는게 적당할까요?

상담 받아보니 12번을 얘기 하던데... 현직 백수에게 63만원이라는 돈이 너무 큰것 같기도 하구요..
3~4번 정도만 받는 것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돈을 좀 주더라도 10번 이상 받는게 좋을 까요?


2. PT에 비싼돈 주지 말고... 크로스핏을 해보는건 어떤가요? (한달에 16~18만원입니다.)


3. PT와 크로스핏에 대한 아무 일반 조언 부탁드립니다.



ps. 피드백이 조금 늦을 수도 있는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aul Pogba
17/02/25 16:29
수정 아이콘
12번정도받으면 어느정도 운동하는 요령이 생기니까 12회만 딱 한다고 치고

헬스장가격 요즘 저렴해서
pt12회+헬스1년 잡으면
크로스핏 1년보다 쌀거같아요

운알못인데 가격적인 면으로만 말씀드렸습니다
후후훗
17/02/25 17:19
수정 아이콘
피티12번 후에 혼자서 그강도로 운동을 계속 하실수 있는 의지가 있으시면 피티, 아니면 크로스핏 추천드립니다
크로스핏 장점이 다같이하다보니 으쌰으쌰해서 고강도의 운동을 나도모르게 하게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관절을 좀 조심해야되긴 하지만요.
제친구 멸치 크로스핏 1년 반만에 각종 마라톤 철인경기 다나가고있고
저도 다치기전에 크로스핏 약 6개월정도 했었는데 그때가 인생에서 몸이 가장 좋았던듯.....
울트라면이야
17/02/25 18:52
수정 아이콘
의지박약러에겐 크로스핏같은 단체 교육운동?이 제일 좋아보여요. 혼자하면 그냥저냥 타협할거같은것도 다같이 하니까 눈치도 보이고 내가 쟤보다 못해?라는 비교우위?같은기분도 느끼면서 어영부영...그러면서 꾸준히하게되면 체력도 늘구요
동네형
17/02/25 19:32
수정 아이콘
운동을 배우는거면 pt 인데 10회안에 어느정도 개념이 잡힐만큼 트레이너가 터치가능하면 PT
옆에서 누구하나가 딱 달라붙어서 어린아이 챙기듯이 어르고 달래고 해야 운동하는 스타일이면 PT
횟수 끊는걸 목적으로 하는 센터들만 주변에 있다면 크로스핏
괜찮게 피드백 받으면서 운동할 수 있는 체육관이 주변에 있다면 크로스핏
사람들과의 유대감(동호회같은) 형성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면 크로스핏
먹는걸 운동량으로 커버해 보고 싶다면 크로스핏

피티는 두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운동을 배우는 트레이너가 있거든요
운동을 시키는 트레이너가 있거든요

많은 트레이너가 후자입니다. 전자를 찾으면 세션 열개에 꽤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아 그리고 세션 열개 끊을건데 주에 두세개씩 쓰면 답 안나올꺼에요
17/02/26 08:53
수정 아이콘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5665 [질문] 노트북 상태가 이상합니다.. [4] 동네꼬마1588 17/07/13 1588
104440 [질문] 세무사 시험을 보려고 합니다 [7] Repppo4625 17/06/19 4625
103877 [질문] 방콕가는데 파타야를 갈지말지 너무 고민됩니다. [15] 짱짱걸제시카2746 17/06/08 2746
102274 [질문] 플랭크 운동법 관련 질문입니다. [8] 호박때리기3417 17/05/08 3417
101611 [질문] 애초에 교육정책에 답이 있나요? [15] moqq1647 17/04/25 1647
100322 [질문] 신용카드 발급 질문입니다. [5] 하이띵크2440 17/03/31 2440
100236 [질문] 형제간 갈등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5] 포이리에3600 17/03/30 3600
99741 [질문] 개인 사업자 등록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 [3] 자마린2123 17/03/20 2123
98584 [질문] 크로스핏과 PT에 대한 질문 [5] 드림4812 17/02/25 4812
97133 [질문] 2016년 백수의 연말정산 관련 문의입니다. (무식주의) [4] 김철(32세,무직)4282 17/01/26 4282
96947 [질문] 휴대폰 구입시 발품 요령은 어떻게 되나요? [4] MaruNT2968 17/01/23 2968
96813 [질문] 작년 10월에 퇴사했는데 연말정산 어떻게 하죠? [6] 지수3782 17/01/20 3782
96591 [질문] 은행인턴 합격하신분들 계신가요? [2] 하이띵크3075 17/01/16 3075
96280 [질문] 4대보험 지급 업체에서 1달 일하고 퇴사시 질문드립니다 [10] 신묘4318 17/01/10 4318
96232 [질문] 남자 신발 질문입니다. [2] 하이띵크2842 17/01/10 2842
95590 [질문] 생일쿠폰이나 할인혜택 주는 업체 좀 알려주세요~ [6] 재출발자2751 16/12/29 2751
95072 [질문] 하루에 몇시간까지 운동이 적당할까요?? [5] 카롱카롱4339 16/12/19 4339
94946 [질문] 회사로고 뱃지 질문입니다. [13] 하이띵크4677 16/12/17 4677
94146 [질문] 정치인들 다 똑같다, 그놈이 그놈이다. 이런 생각을 지칭하는 용어가 있나요? [10] 영원한우방2687 16/12/02 2687
93575 [질문] 자신이 무엇을 하고싶은지 정확히 인지하나요? [27] 롯데닦이2727 16/11/22 2727
93532 [질문] 다이어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11] 하카세3435 16/11/21 3435
93439 [질문] 울산사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스캔 가능한곳 있나요? [4] 지수4346 16/11/20 4346
93357 [질문]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컴맹입니다.) [1] 하이띵크1943 16/11/18 19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