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5/21 11:41:45
Name 왜그래아잉
Subject [질문] 법무사or회계사 시험을 보려면 뭘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

제가 파란만장까지는 아니여도 금전적으로 꽤나 힘든 삶을 살았습니다. 뭐 한마디로 하면 고3때 집에 부도가 나고,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제 정신을 조금 차리고, 먹고 살만해지니까 제 미래가 걱정이 되는데요...법무사 또는 회계사가 되려고 합니다.

근데 기반지식이 전혀 없어서 뭘 공부해야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법대가 없어진 지금 대학을 간다고 해결될거 같지도 않고, 제가 이제 서른인데 어디 취직하기도 힘듭니다.

법무사or 회계사가 되기위해 공부하기 위한 추천교제와, 지방이여서 그런데 인터넷 강의 같은거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이버에 올리니 무슨 광고만 떠서 말이죠...

둘중 한가지만 답변 해주셔도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캐리건을사랑
14/05/21 11:51
수정 아이콘
관련 카페에서 정보를 찾으시는게 제일 빠를듯 합니다.
일반 자격증처럼 응시하고 공부해서 시험보는게 아니라서..
보통 1차(평균 60이상 40과락) / 2차 시험 이고 영어는 토익 700점으로 대체..
회계 과목 관련 대학교 몇학점 이상 같은 응시 자격도 있을 겁니다.
PolarBear
14/05/21 11:54
수정 아이콘
회계사는 나무 경영아카데미를 이용하시는게 제일 빠르실겁니다... 물론 모든 강의 선생님들이 베스트라고 하긴 어렵지만... 현재 최다 수강생과 최다 합격생을 내고 있죠..(광고같군요..흠..).. 그리고 인강은 아무래도.. 그 선생님과 나와의 호흡이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무리 탑클래스의 선생님이더라도 나랑 안맞으면.... 80~90강을 듣는다는게 너무나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항상 학원에서는 샘플강의로 1강을 열어둡니다. 그거 들어보시고 판단하시는게 좋을것 같군요.. 추천강의를 각 과목별로 써드릴테니 한번 시간내셔서 들어보시고 판단하시길 빕니다. 그리고.. 한번에 너무 욕심안부리셨으면 합니다. 지금 시작하시면.. 기본강의를 3개월에서 5개월안에 다 들으셔야 되는데 생각보다 강의시수도 많고.. 인강인지라 동기부여가 많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왜그래아잉님의 실력이 어디까지인지 몰라서 함부로 재단해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복습을 탄탄히 하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편의상 밑은 선생님을 빼도록 하겠습니다..
재무회계: 김현식(나무경영), 김영덕(우리경영), 김기동(위너스경영)
원가회계: 김용남(나무경영), 임세진(우리경영)
세법 : 이승철(나무경영), 이승원(나무경영), 정우승(위너스경영)
상법 : 김혁붕(위너스경영), 이수천(우리경영)
경영학 : 김윤상(나무경영), 전수환(위너스경영)
재무관리 : 김종길(나무경영), 이영우(위너스경영)
경제학 : 김판기(나무경영), 정병렬(우리경영)

정말 열심히 하시면 되는 시험이라 생각합니다..(전 열심히 못해서...흐음..). 꼭 좋은 소식 있길 빌겠습니다.
14/05/21 12:05
수정 아이콘
아는대로 회계사 부분에 대해서만 적겠습니다.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부분은 현재 본인의 컨디션과 향후 진로선정 시 가능한 대안들에 대해 면밀히 고민하고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계사의 경우 라이센스 취득 후 일반적으로 법인 입사를 고려하게 되는데 채용 시 나이와 출신대학이 가장 큰 판단요소로 작용합니다.
물론 드문 사례로 나이 많은 신입사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고려는 미리 하신채로 판단하셔야 할 것 같아요.

이외 시험응시 자격의 요건으로 회계학 12학점, 경영학 9학점, 경제학 3학점 이수가 필요하고 해당 과목의 인정여부는 시험관련 홈페이지에서
조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자격요건은 약간 지난 기억이라 현재는 조금 달라졌을 수도 있습니다.) 꼭 대학 수업만 가능한 건 아니고
인정되는 사이버강의 등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외 토익 700점 이상이 필요하고요.

요약하면, 현재 상황에서 스스로 선택했을 시 비용과 기대효용의 냉정한 검토, 그리고 시작한다면 공부 이외에 응시요건 충족 정도가 되겠네요.
14/05/21 12:49
수정 아이콘
서른 넘으셨으면 냉정히 말씀드려서 회계사 공부 시작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합격해도 법인 못들어가요.. sky 아닌 이상
14/05/21 13:07
수정 아이콘
요즘은 자격증 취득이 문제가 아니라 자격증 취득 후에 취직이 되느냐 안되느냐가 문제입니다....

변호사시험 합격해도 취직할데 없으면 밥 굶죠....
사직동소뿡이
14/05/21 14:02
수정 아이콘
아버지가 공무원 퇴직하시고 법무사 사무실 하시는데 장사 안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사무장?? 을 2-3명 두고 아버지는 사무실에서 걍 시간만 보내시는 듯...
자세히는 모르는데 실질적인 일은 사무장들이 하고 아버지는 수수료라고 해야 하나?? 그런 것만 챙기시는 듯 합니다.
그렇게 해서 수입은.. 연금이랑 별 차이 안 난다고 말씀은 하시는데 거기까진 저도 잘...

법무사가 법인으로 운영을 하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법인은 간혹 있기는 하지만 없는 거나 마찬가지고.
그럼 결국 혼자 사무실을 해야한다는 소리인데 지금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황이라 아무런 인맥도 없이 맨땅에 박치기로는 좀 힘들 것 같네요.
결국 이 바닥도 영업을 해야 하고, 부동산 사무실을 몇 개 뚫어놓으면 일이 잘 풀리겠지만 이것도 말이 쉽죠 뭐...
아버지 말씀도 시험 난이도에 비해서 벌이가 너무 안 좋다고.
법무사 시험 붙을 능력으로 차라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라고 하시네요.
하루끼
14/05/21 14:16
수정 아이콘
회계사에 대해 한정드리자면.. 현재 회계사 수험공부가 중요한게 아니라.
회계사 시험 자격을 갖추는게 급선무라고 생각됩니다. 토익점수도 필요하며, 회계학, 경영학, 경제학 등
학점이 필요하죠. 그 학점과 토익점수를 갖춰야만 시험응시 자격이 부여되는게 회계사 시험이라서요.
위에서도 말씀하셨지만... 30대 넘어서 회계사 시험에 합격해도 가실 곳이 없을겁니다. 지방에.. 로컬정도면
괜찮으려나요??...
귀여운호랑이
14/05/21 16:30
수정 아이콘
법무사는 전망이 어둡고 회계사는 출신학교와 나이가. . . .
정말 독하게 공부하실 수 있다면 차라리 감평사를 알아보시는게 어떨까합니다.
2막3장
14/05/21 18:55
수정 아이콘
회계사가 예전 보다는 사회적인 지위가 좀 낮아진 것 같더군요.(지인 경험상)
나이차가 좀 나는 사촌형이 회계사인데, 재산이 100억정도 된다고 들었어요.. 서강대 출신이고, 80년대 후반 학번이긴 한데....
반면에 여자사람친구의 남편이 회계사하다가, 회계법인 일이 너무 빡셔서, 그만두고, 수도권 모 대학 교직원으로 들어갔어요. (30대후반)
회식문화가 좀 힘들긴 하지만, 회계법인 있을 때 보단 훨 낫다고....
14/05/23 18:51
수정 아이콘
공부하거나 대학을 다닐 여유가 있으시다면 교대를 가는게 어떤가요? 공무원시험도 추천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746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75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69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79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947
181652 [질문] 이직조건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 [14] Mikopap1020 25/09/10 1020
181651 [질문] PGR21 글씨체가 바뀐 건가요? [4] 223.321313 25/09/10 1313
181650 [질문] 아기 초기이유식 설사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옥동이1384 25/09/10 1384
181649 [질문] 현관문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고장났습니다. [4] 다이어트2025 25/09/10 2025
181648 [질문] 중국어 번역용 AI 질문입니다 [7] Kusi1731 25/09/10 1731
181647 [질문] 야구장 가는 법에 대해서 야구장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5] 성북구강챙이1297 25/09/10 1297
181646 [질문] 36개월 아기는 보통 몇시간이나 수면하나요? [18] 윈터1659 25/09/10 1659
181645 [질문] 70-80년대 한국영화는 진짜 애마부인류가 전부인가요? [12] 헤나투1602 25/09/10 1602
181644 [질문] 투자 공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11] 로피탈1164 25/09/10 1164
181643 [질문] 가을에 남해 여행 어떨까요?? [10] 원스2220 25/09/09 2220
181642 [질문] 야구 잘 모르는 야린이 질문드립니다. [15] 오늘보다 나은 내일2358 25/09/09 2358
181641 [질문] 이미지 외부 링크 관련, 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8] 엔쏘2524 25/09/09 2524
181640 [질문] 아이에게 시켜줄만한 pc게임은 뭐가 있을까요..? [63] Restar3757 25/09/09 3757
181639 [질문] 남성용 저자극 스킨,로션 추천 받을수 있을까요 [11] Sebastian Vettel2794 25/09/09 2794
181638 [질문] 아이패드 기변병 문의 [14] 가니야1709 25/09/09 1709
181637 [질문] 미니벨로 어떤가요? [6] 김소현1500 25/09/09 1500
181636 [질문] 갤럭시 버즈 노캔 관련 as 받아보신 분 있나요 Droppen703 25/09/09 703
181635 [질문] 4k 동영상을 1시간 이상 연속촬영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0] 개념은?1284 25/09/09 12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