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12 09:14:51
Name 보로미어
Subject [질문] 오므라이스 소스를 만들었는데 이상하게 만들어져서 질문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wQ7VZonHXA&list=PLl_PD8Pzzohm23rwaMSajjnuTNtOWH2jb&index=3


뚠뚠 채널(유재석)에서 남창희씨가 오므라이스를 만들어주는 영상입니다.
이걸 보고 처음으로 어제 오므라이스를 만들어봤는데요. 볶음밥은 참 맛있게 잘 됐는데
영상을 봤을때 가장 쉬워보였던 소스가 의외로 실패했습니다.

영상에서는 10분부터 보면 2인분 기준으로 우유 300ml 케챱2스푼, 돈가스소스 6스푼을 넣고 걸쭉해질때까지 끓여준다.
이렇게 간단하게 나옵니다.

저는 우유는 보통 대용량으로 파는 우유가 아닌 팩에(200ml) 담긴 저지방 우유로 끓였는데.. 처음엔 강불로 끓이다가 부유물(뭐라고 표현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건더기같은게 막 올라왔어요)이 막 올라오길래 약불로 걸쭉해질때까지 끓여본다고 막 끓엿는데

너무 오래 끓인건지(한 5~10분 정도 끓인 것 같습니다), 불의 강도가 문제인지 소스는 실패했습니다.
이게 사진을 찍어놨더라면 좋았을텐데 어제 실패하고 안 해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가 어제 볶음밥은 너무 맛있어서 다시 도전해볼
생각이 오늘 들더라구요. 그래서 혹시 제가 뭘 잘못했는지 아시는 분이 있지 않을까 싶어 질문드립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친친나트
25/04/12 09:47
수정 아이콘
우유를 졸인다 = 수분을 날리고 유지방을 남긴다 인데 저지방 우유를 사용하시면 안되겠지요. 따로 버터나 다른 기름을 넣지 않는이상은요.
그리고 우유 끓이면 몽글몽글해지는건 단백질 분리되어서 그럴텐데 열심히 저어줘야합니다. 불이 너무 세도 안되고요.
보로미어
25/04/12 09:56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역시 저지방 우유가 문제였네요. 그리고 제 딴에는 소스 먼저 끓여주고 볶음밥 열심히 만들고 나중에 확인해보니 망해있었는데 그러면 안 되고, 약한 불에 끓여주면서 수시로 저어줘야되나보네요. 오늘 저녁에 다시 도전해보겠습니다
과수원
25/04/12 11:19
수정 아이콘
케챱이나 돈가스 소스에는 식초가 함유되어 있는데
식초는 단백질 응고를 도와주기 때문에 (실제로 치즈를 만들 때 식초나 레몬즙 등의 산을 씁니다.
단백질이 응고될 정도까지 팔팔 끓이면 안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소스류에 마무리로 우유 넣어서 부드러운 맛을 내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우유를 베이스로 끓이는 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
보로미어
25/04/12 17:05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 진짜 약한 불에 잠깐 끓여야 되겠네요? 첨에 쎈불에 끓으니까 얼마 안되서 부유물이 금방 생기는 것 같았는데.. 영상을 보면 시식하는 사람들이 소스가 정말 맛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이대루 다시 한번 도전해볼까 하는데 소스부터 제대로 정성들여서 해봐야겠습니다.
소용락
25/04/12 17:23
수정 아이콘
어짜피 저 재료로는 팔팔 끓여도 큰 상관 없어요. 단백질 뭉친거 걍 휘휘 저어서 갈아버리세요.
만약 그래도 맛이 없다면 레시피 말고 다른걸 추가한걸거에요.
친친나트
25/04/12 18:36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을 신경쓰시려면 우유만 졸인것에 케찹과 돈까스소스를 넣어서 섞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복타르
25/04/12 17:15
수정 아이콘
위의 댓글들 보고나서 영상을 보니까, 처음 소스를 만들고 강불에 쭈욱 팔팔 끓여야 하는 것처럼 되어 있네요...
댓글대로라면 영상(편집?)에 좀 더 조리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을 것 같은 아쉬움이 있네요.
25/04/12 2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스는 기본적으로 유화, 그러니까 물과 기름을 섞어서 적당한 농도를 갖추게 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우유에 지방(기름)이 없으니 수분이 날라가 그나마 있는 단백질만 남아 돈가스 소스와 퍼석퍼석한 상태가 될 때 까지 오버쿡 하셨거나, 아니면 반대로 농도가 물과 가까운 상태였을겁니다.

유화는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니 초보자일수록 저온에서 계속 만져주는게 좋고 (저어주면서) 강불은 확실히 아는 것 외에는 안쓰는게 좋습니다. 이 조리법에서는 밥의 수분을 빠르게 날려야 할 때 정도가 있겠네요. 면을 익히거나 하는 게 강불을 쓸 수 있고..

다시말하면 저지방우유를 사용하셧다면 버터나 올리브유를 듬뿍 넣어주었다면 유화가 일어났을겁니다. 만약 저였다면 중불에서 우유가 끓을랑말랑 할 때 약불로 낮추고 케찹 돈가스소스 올리브유 버터등을 넣어 팬의 온도를 낮추며 살살 저어주면서 상태에 따라 불조절(끄는 것 까지) 했을 거 같네요.

정리하면 유화는 애초에 재료 비율이 틀리면 일어나지않으니 온도와 물 기름의 비율을 생각하면서 만들어보세요.
그렇다고 기름을 너무 많이 넣으면 안되는게, 대부분의 경우 물이 기름보다 많아야 유화가 잘 일어납니다.
25/04/14 00: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직 입장에서 영상 봤는데 소스의 테두리의 상태를 보면 영상의 저 소스도 분리가 나있는거로 보입니다
조금 흐릿해서 확실히 보이지 않아 추측의 영역이긴 한데 제가 봤을때는 그렇게 보입니다.
직접 해보진 않았지만 비율을 봐도 그럴 확률이 높구요

영상을 보면 중간중간 먹는도중의 접시가 나오는데
어느정도 먹은쪽의 남은 소스를 보면 작은 입자나 방울처럼 알갱이져서 남아있는게 보이는데
저런게 전형적인 분리가 난 소스의 모습입니다.
또, 완성해서 처음 부었을때의 소스의 테두리를 보면 투명한 막같은거로 싸여있는게 보이는데, 그게 기름일 확률이 높습니다.
소스가 분리되서 지방이 밀려나온거죠. 위에 말한 방울처럼 입자가 보이는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분리되어 지방이 액체 테두리로 나온겁니다.
물론 제가 직접 근접해서 본게 아니라, 영상을 통해 추측한거라 잘못본거일 수도 있지만,
매우 높은 확률로 분리가 난 소스로 생각됩니다

저 조합의 소스를 꼭 만드시려고 한다면
개인적으로는 케찹과 돈가스 소스를 먼저 가열해 따뜻할정도로 가열해준 다음
물과 우유(가급적 생크림 ... )를 조금씩 섞는걸 추천 드립니다.
노른자를 섞는것도 좋지만 그건 일이 너무 커지니 ...

무언갈 더 넣는다면 간장같은 물기가 있는 양념을 섞어주세요.

만드신 소스의 그 건더기를 면보에 거르면 돈까스 케첩 풍미의 리코타 치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가열한 우유+크림 1L 정도에 제품 레몬주스 40mL만 넣어도 리코타 치즈가 나옵니다.
보로미어
25/04/14 23:46
수정 아이콘
상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제가 일요일날 저녁에 저지방 우유 말고 일반 우유 300ml, 돈가스 소스 6스푼, 케챱 2스푼 넣고 중불로 쉬지 않고 저어줘서 만들어봤는데요.
처음 저지방 우유로 할때만큼 부유물이 많이 생긴 건 아니였지만, 두번째 만들때도 약간 하얀 부유물이 조금 생기더라구요.
걸쭉하게 소스를 만들지는 못하고 더 가열하면 부유물이 더 많이 생길 것 같아 적당히 타협하고 먹었는데 소스 맛은 나쁘진 않았는데
생각보단 별로였습니다. 부유물이 뭘까 궁금했었는데 말씀 들어보니 치즈 같아보이네요.
25/04/15 04:37
수정 아이콘
저런 산미있는 크림소스를 원하신다면,
방법을 바꿔서, 처음에 버터를 녹이고 밀가루를 섞어 루를 만드신다음
시판 소스들을 섞어주고 그 다음 물이나 유제품을 넣는게 안정적입니다.
루가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있으면 훨씬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산이 들어있는 액체에 지방을 넣을때는 천천히 넣으면서 저어주어야 합니다.

대충 비율이 버터 : 밀가루 : 우유 = 1 : 1: 10 정도 잡고 잘 섞으면 베샤멜소스가 나옵니다 (흔히 보는 기본적인 화이트 소스)

저 레시피는 궂이 말하자면 상급자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조리원리를 알고있는 사람이 한번 읽고 시작하면 잘 만들수있는 레시피
실제 저 연예인조차 제 눈에는 실패한거로 보이구요. 연출로 아닌것처럼 만들었을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53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46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0770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69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503
180342 [질문] 에센피500 이게 아닌가요? 챗지피티가 아니라곤하는데.. [5] 라리434 25/04/15 434
180341 [질문] 슬레이 더 스파이어가 너무 어렵습니다 [6] 빵pro점쟁이305 25/04/15 305
180340 [질문] 운동, 음주 횟수 기록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가니야1013 25/04/15 1013
180339 [질문] 손목통증이 있으면 항상 배탈이 납니다 [8] 나이스후니2158 25/04/14 2158
180338 [질문] 미국시장에서 자금이 빠진다면 어디로 갈것 같으신가요? [21] 무냐고2895 25/04/14 2895
180337 [질문] 공진단의 의학적 효과에 대해 [26] 793992 25/04/14 3992
180336 [질문] 지난 주말부터 하루에 세네차례 머리 좌측 상단이 갑자기 시원한 느낌이 듭니다. [3] 바카스3031 25/04/14 3031
180335 [질문] 신차 용품점에서 신차검수해서 불량으로 회수됐는데요. [11] 본좌2850 25/04/14 2850
180334 [질문] 창문형 에어컨 VS 이동식 냉풍기 [17] 모챠렐라1630 25/04/14 1630
180333 [질문] 포스코 노조 가입되있으신분 계신가요? 이시연1447 25/04/14 1447
180332 [질문] 가정용 편도결석 흡인기 쓸 만한가요? [1] 앗흥1131 25/04/14 1131
180331 [질문] 악연, 엔딩 크레딧에 이광수, 공승연 이름이 빠진 건 일부러 그런 것이겠죠? [2] 칠상이2344 25/04/14 2344
180330 [질문] 주식을 살 때 다른 물건보다 덜 주의해서 사게 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38] nexon2267 25/04/13 2267
180329 [질문] 원래 나이들면서 지능이 떨어지나요? [17] 바꿔3316 25/04/13 3316
180328 [질문] 램 교체후 부팅이 안됩니다 [6] 요들2038 25/04/13 2038
180326 [질문] 8월 중순 해외여행지는 어디가 좋을까요? [23] 사다드2015 25/04/13 2015
180325 [질문] sk broadband 문의 드립니다.(btv) [6] Neo1217 25/04/13 1217
180324 [질문] 옛날 분식집 스타일의 떡볶이 서울 맛집을 찾습니다! [12] 행복을 찾아서1407 25/04/13 1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